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요통(허리통증)은 국내 전체 인구의 60~8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요인은 크게 개인적 요인과 직업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업적인 특성과 요통 간의 상관관계가 개인적 요인보다 더 크다는 연구 보고가 많다.

해부학적으로 요통의 원인은 고관절(넙다리뼈·대퇴골)과 밀접한데, 고관절 주변 근육 중 하나인 ‘중둔근’의 약화가 요추와 골반부의 외측 안정성을 감소시켜 결국 하지 기능장애와 요통 유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중둔근은 볼기(엉덩이와 궁둥이)의 중간층 근육으로서 고관절의 큰 돌기로 붙으며, 걸을 때 골반의 자세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폭 조절에도 큰 작용을 하는 근육이다. 따라서 중둔근의 기능 저하는 골반의 좌우 높이 불균형과 같은 허리골반부의 불안정성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허리의 통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처럼 요통과 관련성이 높은 중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면 요통의 통증 자각도와 요통장애지수 감소, 정적·동적 균형능력 향상, 근력 강화 등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요통의 정도를 3~7(VAS 통증 척도 1∼10점 기준)이라고 응답한 30~40대 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 총 26명을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3명씩 나눠 분석한 결과다.

운동집단의 대상자는 녹화된 영상을 따라 각 가정에서 8주간, 주 3회, 최대 60분간 중둔근 중점 강화운동을 비대면으로 실시했다. 연구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제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 ‘중둔근운동’의 자료실에 실제 운동 시간과 같게 녹화된 운동 영상을 올려놓았다.

운동 독려를 위해 앱 ‘푸시(push) 알림’을 매일 정해진 시간에 발송했다. 또한 운동 여부 확인을 위해 대상자는 매 준비운동 시작 전과 본 운동 후 심박수를 측정하여 연구담당자에게 보고했다. 측정은 손목동맥을 가볍게 눌러 15초 동안 맥박을 세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통제집단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자발적인 운동을 하도록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의 모든 대상자는 평소의 식이 습관과 신체활동 및 수면 패턴을 유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운동집단의 통증 자각도(VAS)와 요통장애지수 평가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또한 운동집단의 정적 균형 능력(눈감고 외발 서기)과 동적 균형능력, 그리고 근력계를 통해 측정한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둔근 운동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중둔근 강화에 효과가 뛰어났던 동작 중 보통의 성인 여성의 운동능력으로 수행할 수 있는 6가지 종목으로 선별해 구성했다. 매트 운동 4가지(클렘쉘, 사이드 라잉 어브덕션, 사이드 플랭크, 플랭크 자세에서 다리 들기)와 서서 하는 운동 2가지(한 발 스쿼트, 다이내믹 레그 스윙)다. 각 운동은 5분간의 준비운동으로 시작하여 4~6가지의 중둔근 강화 운동 후 5분의 정리 운동으로 마무리하고, 총 운동 시간은 60분을 넘지 않도록 했다.

이번 연구 내용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이 발행하는 ≪체육과학연구≫(2023년, 통권 135호)에 ‘8주간의 중둔근 강화 운동이 요통이 있는 30~40대 사무직 여성의 통증, 균형능력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경희대 최승호·이정아) 제목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요통의 발생 원인은 체력 수준, 비만, 업무 관련 요인, 나이 및 가족력 등 매우 다양하지만, 신체 활동량과 요부 근력이 낮은 것으로 보고된 30대 40대 사무직 여성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중둔근 강화 운동의 효과를 확인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한, 요통이 있는 사무직 근로자의 지속적인 운동 참여를 위해 스마트폰 앱과 연동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동작 장치 등 기술의 보완을 통해 더 정밀한 비대면 요통 완화 운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677208/%ed%97%88%eb%a6%ac-%ec%95%84%ed%94%88-%ec%82%ac%eb%ac%b4%ec%a7%81-%ec%97%ac%ec%84%b1-%ec%9d%b4-%ec%9a%b4%eb%8f%99-%ed%96%88%eb%8d%94%eb%8b%88-%ed%86%b5%ec%a6%9d-%ec%8b%b9/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염리동피티 노화와 수면 그리고 음식과의 관계

    노화를 피할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의 욕망이지만 나이 들고 늙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다. 하지만 노화를 최대한 늦출 수는 있다. 잠을 잘 자고 좋은 음식을 먹고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는 것이다. 노화와 수면, 음식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장기간 잠 제대로 ...
    Date2024.04.07 Byflexmun Views350
    Read More
  3. 대흥동피티 강한 운동한번만으로도 근육강화 유전자 바뀐다.

    운동은 체중 감량이나 근육의 양 증가를 뛰어넘는 놀라운 효능이 있다. 건강에 관한 거의 모든 측면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더 행복감을 느끼고, 피부가 좋아지고,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체와 정신 건강상 이점은 ...
    Date2024.04.04 Byflexmun Views438
    Read More
  4. 도화동피티 앉아 있을때 허리가 아프다면 이운동이 효과적이다.

    요통(허리통증)은 국내 전체 인구의 60~8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요인은 크게 개인적 요인과 직업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업적인 특성과 요통 간의 상관관계가 개인적 요인보다 더 크다는 연구 보고가 많다. 해...
    Date2024.04.02 Byflexmun Views274
    Read More
  5. 공덕동피티 점점 늘어가는 위한 역류.... 다섯가지만 지키면 된다.

    위의 신물이 식도로 역류하면 아침에 입이 텁텁하고, 목구멍 뒤쪽에 덩어리가 달려 있는 느낌이 들 수 있다. 가슴 통증이 오면 명치 부위가 쓰리고 타는 듯 아픈데, 사람에 따라 협심증으로 오인할 정도로 극심한 흉통을 겪기도 한다. 이런 위식도 역류 질환...
    Date2024.03.31 Byflexmun Views282
    Read More
  6. 아현동피티 잠잘못자는 사람 어느정도 운동을 해야 좋을까?

    꾸준히 일주일에 2회 이상, 1시간 이상(주당) 운동하면 불면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규칙적인 운동은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할 뿐 아니라 수면의 질을 높이고 만성 불면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
    Date2024.03.29 Byflexmun Views393
    Read More
  7. 용강동피티 봄부터 날씬한 여름을 준비해보자

    따뜻한 봄을 맞아 겨울 동안 찐 살을 빼기 위해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다. 봄에 하는 다이어트는 영양소가 다양한 나물을 비롯해 제철 음식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생활 습관까지 더한다면 ...
    Date2024.03.26 Byflexmun Views338
    Read More
  8. 마포피티 근력운동간에 얼굴과 머리부상이 증가한다.

    근력운동(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다가 머리와 얼굴에 부상을 입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두개안면 외과학지(Journal of Craniofacial Surgery)》에 발표된 미국마이애미대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
    Date2024.03.24 Byflexmun Views457
    Read More
  9. 염리동피티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중년여성 건강의 위험

    질병관리청-국립보건연구원이 근력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매주 3번 이상의 근력 운동을 1년 이상 하면 근감소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다. 나이 들면 근육이 자연 감소한다. 단백질 섭취-근력 운동에 소홀하면 감소 ...
    Date2024.03.21 Byflexmun Views412
    Read More
  10. 대흥동피티 근육을 키우는 운동이 기억력도 키워준다.

    고강도 저항 훈련을 잠깐이라도 하면 기억력과 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항 운동(resistance exercise)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흔히 무산소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푸쉬업, 벤치프레스, 복근운동 크런치, 스쿼트 등이 포...
    Date2024.03.20 Byflexmun Views424
    Read More
  11. 도화동피티 근손실이 빨라지는 최악의 생활습관

    나이 들면 몸의 근육은 ‘생존’과 관련이 있다. 결코 과장된 말이 아니다. 하체 근육 부실로 넘어져 고관절 골절로 오래 입원하면 근육이 얼마나 소중한 지를 느낀다. 깁스를 제거하면 다리나 팔이 가늘어진 것을 보고 깜짝 놀란다. 오래 누워 지...
    Date2024.03.17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