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27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뚜렷한 병이 없음에도 지나치게 건강을 염려하면 정말로 병을 부를 수 있다. 불안한 마음이 실제로 몸의 병을 일으키는 것이다. 의학적으론 이를 ‘신체증상장애’라고 부른다.

신체증상장애 환자는 뚜렷한 원인(질병)이 없음에도 △통증 △피로감 △소화불량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지속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일상에 큰 지장을 받을 정도로 몸의 불편함을 느끼며 병원을 찾지만, 정작 진료실에선 ‘이상이 없다’는 말만 듣기 쉽다.

이에 대해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는 “이들 환자는 신체적 불편함에 예민하기 때문에 병원을 찾더라도 진료과를 제대로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잘못 찾아간 진료실에서 반복적으로 ‘이상 없다’는 진단을 받아 불안감과 분노가 커지면 실제 환자의 통증도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이들 환자가 마음건강을 다루는 정신과 진료실을 제대로 찾아오는 게 절실하다는 조언이다.

박 교수는 최근 연구에서 신체증상장애 환자의 이러한 고통을 규명하기도 했다. 불안한 마음이 실제로 신체적 증상을 일으키는 뇌신경 매커니즘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신체증상장애 환자 74명의 △MRI 검사 △혈액검사 △임상심리학적 검사 △혈액 내 신경면역표지자 검사 결과 등을 임상증상 점수(신체증상, 우울, 불안, 분노, 감정표현 장애)와 대응 분석하고 신체증상장애가 없는 45명의 대조군과도 비교했다.

이 결과, 이들 환자는 불안하거나 화가 날 때 실제로도 복통, 어지럼증과 같은 통증을 더 심하게 경험했다. 우울, 불안, 분노 등의 기분증상에 따라 신체적 증상을 더 강화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유발하는 원리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를 지목했다. 멍한 상태이거나 명상에 빠졌을 때 활발해지는 뇌 영역인 DMN은 신체 감각이나 감정,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에서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은 DMN의 연결성이 저하한 경향이 있었다. 특히 불안과 분노 등의 감정상태가 신체적 증상과 DMN의 연결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도 확인했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과 기분 상태가 통증 등의 감각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DMN의 기능을 낮춘다는 의미였다. 즉, 뇌신경의 감각 처리 능력이 왜곡하면서 신체적 증상을 증폭시키거나 과반응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화난 상태의 감정은 위액 분비, 내장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여 위장장애나 복통을 악화할 수 있다.

박혜연 교수는 “불안이나 분노 등 기분증상이 동반된 신체증상장애 환자에게는 기분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신체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면서 “DMN가 신체증상장애 유발하는 중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확인했기에, 인지행동치료나 해당 뇌영역에 대한 신경자극치료 등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학술지인 《뇌, 행동 면역(Brain, Behavior and Immunity)》에 게재됐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681381/%ec%97%86%eb%8d%98-%eb%b3%91%eb%8f%84-%eb%a7%8c%eb%93%9c%eb%8a%94-%ea%b1%b4%ea%b0%95%ec%97%bc%eb%a0%a4%ec%a6%9d-%eb%87%8c%ec%97%90%ec%84%a0-%ec%96%b4%eb%96%a4-%ec%9d%bc%ec%9d%b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3980
886 염리동 피티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오젬픽에 부작용이 심각하다. file flexmun 2024.04.25 2024.04.25 292
» 대흥동헬스 건강염려증과 뇌기능의 관계 file flexmun 2024.04.18 2024.04.18 270
884 도화동피티 유전적 비만인은 이만큼 더걸어야 한다. file flexmun 2024.04.17 2024.04.17 284
883 공덕동피티 뚱뚱한 사람은 이시간에 운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file flexmun 2024.04.14 2024.04.14 354
882 아현동피티 "과민성 장" 이것 세가지만 하면 해결할수 있다. file flexmun 2024.04.11 2024.04.11 358
881 용강동피티 장수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습관 file flexmun 2024.04.09 2024.04.09 333
880 마포피티 이렇게 오래 앉아 있으면 발기부전 위험 file flexmun 2024.04.08 2024.04.08 390
879 염리동피티 노화와 수면 그리고 음식과의 관계 file flexmun 2024.04.07 2024.04.07 360
878 대흥동피티 강한 운동한번만으로도 근육강화 유전자 바뀐다. file flexmun 2024.04.04 2024.04.04 446
877 도화동피티 앉아 있을때 허리가 아프다면 이운동이 효과적이다. file flexmun 2024.04.02 2024.04.02 27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02 Next
/ 1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