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19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요트의 돛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줄처럼 경추 좌우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늑골 1번에서 시작하고, 후사각근은 늑골 2번에 붙어있다.

전사각근 > 옆에서 뒤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중사각근 >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후사각근 > 앞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사각근과 흉쇄유돌근은 턱을 뒤로 당기는 후인 자세에서 수축하여 팽팽해진다. 경추가 후인하면 목의 앞 뒤쪽 근육들은 길고 뻣뻣해지게 된다. 경추는 자연스런 만곡의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경추를 똑바로 펴게 되는 후인자세에선 축상부하가 생겨 디스크가 터지게 된다. 경추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사각근의 긴장도도 높아지고 디스크의 압박은 더 커진다. 사각근은 호흡을 들이마실때 쓰이는 보조호흡근 중 하나인데, 사각근이 뻣뻣하면 호흡하는 내내 쓰여 더 뻣뻣해지게 된다.

 

견갑골이 후인 하강 되어있어서 흉골보다 견쇄관절이 많이 내려가 있으면 쇄골이 신경다발을 눌러 팔이 저릴 수가 있다. 책상 위에 팔꿈치를 올리면 견갑골 아래쪽에 공간이 생기는데, 그 상태에서 기다리면 대부분 손이 저린게 없어진다. 하지만 저림이 계속된 상태라면 디스크가 터졌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503 도화동 피티 PT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file flexmun 2024.11.10 2024.11.10 115
502 마포피티 기능선 특징 및 전방기능성(대흉근 복직근 장내전근) file flexmun 2024.10.06 2024.11.10 137
501 대흥동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file flexmun 2024.08.11 2024.08.11 230
500 염리동 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file flexmun 2024.07.07 2024.07.07 212
499 공덕동피티 나선선 전거근 file flexmun 2024.06.09 2024.06.09 351
498 공덕피티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file flexmun 2024.06.02 2024.06.02 367
497 아현동피티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file flexmun 2024.05.26 2024.05.26 291
» 용강동 피티 심부전방선 + 외측선 사각근 file flexmun 2024.05.19 2024.05.19 195
495 도화동피티 내복사근 외복사근 file flexmun 2024.04.28 2024.04.28 838
494 마포피티 외측선 요방형근 file flexmun 2024.04.28 2024.04.28 2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