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36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요트의 돛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줄처럼 경추 좌우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늑골 1번에서 시작하고, 후사각근은 늑골 2번에 붙어있다.

전사각근 > 옆에서 뒤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중사각근 >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후사각근 > 앞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사각근과 흉쇄유돌근은 턱을 뒤로 당기는 후인 자세에서 수축하여 팽팽해진다. 경추가 후인하면 목의 앞 뒤쪽 근육들은 길고 뻣뻣해지게 된다. 경추는 자연스런 만곡의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경추를 똑바로 펴게 되는 후인자세에선 축상부하가 생겨 디스크가 터지게 된다. 경추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사각근의 긴장도도 높아지고 디스크의 압박은 더 커진다. 사각근은 호흡을 들이마실때 쓰이는 보조호흡근 중 하나인데, 사각근이 뻣뻣하면 호흡하는 내내 쓰여 더 뻣뻣해지게 된다.

 

견갑골이 후인 하강 되어있어서 흉골보다 견쇄관절이 많이 내려가 있으면 쇄골이 신경다발을 눌러 팔이 저릴 수가 있다. 책상 위에 팔꿈치를 올리면 견갑골 아래쪽에 공간이 생기는데, 그 상태에서 기다리면 대부분 손이 저린게 없어진다. 하지만 저림이 계속된 상태라면 디스크가 터졌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야 한다.

 

  1. 용강동 피티 심부전방선 + 외측선 사각근

    요트의 돛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줄처럼 경추 좌우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늑골 1번에서 시작하고, 후사각근은 늑골 2번에 붙어있다. 전사각근 > 옆에서 뒤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중사각근 >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후사각근 > 앞쪽...
    Date2024.05.19 Byflexmun Views364
    Read More
  2. 도화동피티 내복사근 외복사근

    외측선 – 외복사근 & 내복사근 흉추회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다. 회전시에 뼈의 분절마디가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해주는데, 이 과정을 안정시켜주는 근육이 다열근과 회선근이다. 흉추는 회전시에 체간의 앞쪽에서 탄성이 나오는데, 골반...
    Date2024.04.28 Byflexmun Views1020
    Read More
  3. 마포피티 외측선 요방형근

    외측선 – 요방형근 가로방향의 복횡근이 끝나는 부위에 세로 방향의 요방형근이 채워준다. 복횡근은 압력 조절 때문에 가로 방향이고, 요방형근은 요추의 안정성을 위해 세로방향이다. 상체를 앞으로 숙일 때 요추의 후관절이 너무 벌어지지 않게 잡아...
    Date2024.04.28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4. 대흥동피티 외측선 대둔근

    외측선 – 대둔근 인간 몸에서 힘이 제일 센 근육. 인간만 둔근이 엄청 발달되었다. 네 발 달린 동물은 엉덩이가 전부 햄스트링이다. 두 발로 직립 보행하는 인간은 앞 뒤 불균형 때문에 대둔근이 더 발달되었다. 서 있는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뒤꿈치...
    Date2024.04.21 Byflexmun Views440
    Read More
  5. 염리동피티 외측선 중둔근

    골반은 벌어져 있는 상태로 중둔근이 위치해 있다. 중둔근은 전섬유와 후섬유의 기능이 극명하게 나뉜다. 대퇴골 뼈는 골반의 중간보다 앞에 있다.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앞쪽은 대단히 발달되어 있다. 후섬유는 하는 일이 많아서 전섬...
    Date2024.04.14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6. 공덕동피티 외측선 소둔근

    소둔근은 중둔근으로 덮여있다. 중둔근에 비해 기능이 떨어져서 문제 생기는 일이 별로 없어서 소홀하게 생각하는 근육이다. 골반 뒤보단 앞쪽에 근육이 많이 분포되어있고 횡단면이 두껍게 자리 잡았다. 보행시 뒤꿈치 닿기후 체중수용기의 과정에서, 다리가...
    Date2024.03.24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7. 공덕피티 외측선 장경인대

    외측선 – 장경인대(엉덩정강인대) 인간한테 가장 많이 발달된 조직이다. 한 쪽 다리로 서있기 위해 발달되었다. 그래서 양 다리로 서있을 땐 활성화되지 않는다. 앞으로는 대퇴근막장근, 뒤론 대둔근과 연결되고, 옆에선 중둔근을 덮고 있다. 1) 무릎이...
    Date2024.03.24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8. 아현동피티 발목염좌와 전거비인대

    거골뼈와 비골뼈를 연결시켜주는 전거비인대가 발목 염좌때 가장 많이 손상된다. 발목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면서 삘 때 거골뼈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힘이 확 생긴다. 인대는 손상되면 원래 길이로 돌아오지 못한다. 전거비인대는 단 한번 삔 것만으로도 자...
    Date2024.03.17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9. 용강동피티 외측선 – 장비골근 & 단비골근

    외측선 – 장비골근 & 단비골근 비골뼈에 붙어 비골근이라고 한다. 장비골근과 단단비골근 둘 다 외측 복사뼈 뒤를 주행하여 붙는다. 근육이 뼈에 걸쳐서 움직이는 근육은 역학적으로 낼 수 있는 힘이 확 증가된다. 비골근도 발목 바깥쪽에서 복사뼈...
    Date2024.03.17 Byflexmun Views959
    Read More
  10. 도화동피티 표면전방선 흉쇄유돌근

    표면전방선 – 흉쇄유돌근 경추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앞쪽에서 시작해서 옆쪽으로 끝나기 때문에, 경추 굴곡 외에도 외측굴곡과 회전이 가능하다. 복직근과 복사근을 합쳐놓은 것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경...
    Date2024.03.10 Byflexmun Views3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