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동물은 척추를 완전히 접었다 피면서 전력질주하는 동물들과 달리 인간은 빠르게 달리기 위해 반드시 척추의 회전이 필요하다. 걷거나 달리기 할 때 골반에 회전이 생기는데, 골반이 회전하는 방향대로 몸통이 같이 회전하게 되면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같은 발 같은 손을 내밀며 걸으면 회전이 되지 않아 무게중심이 잡히지 않고 에너지가 좌우로 빠져서 앞으로 걸어가는 것이 힘들다. 회전이 반복되지 않으면 무게중심을 맞춰 앞으로 달릴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나선선이 발달되었다. 나선선은 허리에서 많이 끊긴다. 나선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달리기를 하면 허리가 아플 가능성이 높다. 과체중인 사람은 무릎에 회전이 걸려 무릎 통증이나 발목 염좌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발의 회전) (고관절의 회전)

나선선은 보행시 뒤꿈치닿기에서 고관절의 내전, 발의 외번에 개입하여 발목관절을 안정시켜주는 연결이다.

 

전경골근 힘줄과 비골근이 끝나는곳은 내려가면서 발을 한 번 감싸며 올라오게 된다. 나선선에서 같이 쓰이기 때문에 전경골근과 비골근은 같이 뻣뻣해지는 경향이 있다. 걷다가 전경골근과 비골근이 뻣뻣해지면 표면전방선이나 외측선이 아닌 나선선에서 뻣뻣해지게 된다. 발목이 불안정할수록 이 근육들의 긴장도가 높아진다.

1.JPG

 

대내전근 끝나는 힘줄 부분과 대퇴이두 단두가 힘줄부분으로 연결되어있는 부위를 제4햄스트링이라고 하는데, 보행시 뒤꿈치닿기, 체중수용기와 중간입각기에서 고관절 외전근으로 쓰이는 대둔근과 중둔근 상부섬유의 힘을 안쪽으로 당겨 안정시켜준다. 내회전된 고관절은 균형을 깨지게 하고, 내측의 대내전근이 대둔근 대신에 고관절 신전근으로 쓰여지면서 불안정한 걸음걸이가 된다.

 

  1. 도화동 피티 PT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후방 기능선의 대표적인 움직임은 점프이다. 굽혔다 펴는 힘을 많이 사용하는데 운동종목에선 역도가 후방기능선의 대표적인 동작이다. 후방기능선은 폭발적인 신전을 담당하는데 흉요근막이 중심에 위치하여 광배...
    Date2024.11.10 Byflexmun Views115
    Read More
  2. 마포피티 기능선 특징 및 전방기능성(대흉근 복직근 장내전근)

    [기능선] 폭발적인 힘을 내기 위한 라인이다. 왼쪽발을 바닥에 디딘 상태에서 고정이 되고, 왼쪽의 장내전근이 치골을 잡고 골반을 회전 시킨다. 뒤쪽에 있던 골반이 회전하면서 몸통 요추가 신전되고 흉추도 신전+회전되면서, 몸통 앞쪽 내복사근 오른쪽 외...
    Date2024.10.06 Byflexmun Views137
    Read More
  3. 대흥동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왼다리를 앞으로 내민 상황에서, 골반을 안정을 시켜주기 위해 왼쪽 골반과 연결된 요추 기립근이 활성화 되고, 몸이 균형을 잃고 넘어가지 않기 위해 반대쪽 흉추 기립근도 활성화된다. 흉추는 왼다리를 앞으로 내민...
    Date2024.08.11 Byflexmun Views230
    Read More
  4. 염리동 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동물은 척추를 완전히 접었다 피면서 전력질주하는 동물들과 달리 인간은 빠르게 달리기 위해 반드시 척추의 회전이 필요하다. 걷거나 달리기 할 때 골반에 회전이 생기는데, 골반이 회전하는 방향대로 몸통이 같이 회전하게...
    Date2024.07.07 Byflexmun Views212
    Read More
  5. 공덕동피티 나선선 전거근

    나선선 – 전거근 상 중 하부섬유로 나뉜다. 상부섬유는 쇄골 때문에 잘 움직이지 않고, 중부섬유는 소흉근이 있어 잘 움직이지 않는다. 그래서 견갑골이 상방회전 할 때 전거근의 하부섬유가 가장 많이 쓰인다. 견갑골 전인과 상방회전을 하게 해 줄 수 ...
    Date2024.06.09 Byflexmun Views351
    Read More
  6. 공덕피티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1. 팔을 앞으로 내밀 때 견갑골이 너무 멀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 능형근이 견갑골의 움직임을 어느방향에서든지 안정시켜줘야 한다. 어깨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근육이다. 팔을 앞으로 내밀어서 무언가를 짚을...
    Date2024.06.02 Byflexmun Views367
    Read More
  7. 아현동피티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왼쪽으로 방향 전환을 할 때, 시선을 먼저 돌려 위험을 살피기 위해 경추가 회전을 하는데, 이 때 왼쪽의 두판상근과 경판상근이 관여한다. 경추가 먼저 회전을 하고 몸이 회전을 하게 된다. 두판상근 두판상근이 뻣뻣...
    Date2024.05.26 Byflexmun Views291
    Read More
  8. 용강동 피티 심부전방선 + 외측선 사각근

    요트의 돛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줄처럼 경추 좌우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늑골 1번에서 시작하고, 후사각근은 늑골 2번에 붙어있다. 전사각근 > 옆에서 뒤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중사각근 >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후사각근 > 앞쪽...
    Date2024.05.19 Byflexmun Views195
    Read More
  9. 도화동피티 내복사근 외복사근

    외측선 – 외복사근 & 내복사근 흉추회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다. 회전시에 뼈의 분절마디가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해주는데, 이 과정을 안정시켜주는 근육이 다열근과 회선근이다. 흉추는 회전시에 체간의 앞쪽에서 탄성이 나오는데, 골반...
    Date2024.04.28 Byflexmun Views838
    Read More
  10. 마포피티 외측선 요방형근

    외측선 – 요방형근 가로방향의 복횡근이 끝나는 부위에 세로 방향의 요방형근이 채워준다. 복횡근은 압력 조절 때문에 가로 방향이고, 요방형근은 요추의 안정성을 위해 세로방향이다. 상체를 앞으로 숙일 때 요추의 후관절이 너무 벌어지지 않게 잡아...
    Date2024.04.28 Byflexmun Views2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