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기능선] 

폭발적인 힘을 내기 위한 라인이다.

왼쪽발을 바닥에 디딘 상태에서 고정이 되고, 왼쪽의 장내전근이 치골을 잡고 골반을 회전 시킨다. 뒤쪽에 있던 골반이 회전하면서 몸통 요추가 신전되고 흉추도 신전+회전되면서, 몸통 앞쪽 내복사근 오른쪽 외복사근, 중간 복직근이 연결되고, 오른쪽 대흉근이 심부가 아닌 표면에서 엄청나게 강한 장력으로 연결된다. 

 

전방 기능선과 후방 기능선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각자의 연결이다.

2.JPG

 

전방기능선 (대흉근 복직근 장내전근)

기능선을 활용하려면 나선선이 당연히 연결 되어 있어야 하는데, 나선선은 지근 섬유들이다. 폭발적인 힘을 내기 위해선 전방기능선에서 대흉근이 작용된다. 야구 투수가 공을 던 질 때 한 경기에서 대략 80~100회 가량의 볼을 던지는데, 이 때 대흉근의 동원율은 100퍼센트이다. 한 쪽 팔을 사용해서 1회 반복 최대중량 벤치프레스를 80~100회 하는 거랑 똑같다. 어깨 관절이 견뎌내지 못하고 어깨 관절이 앞으로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이 반복되기 때문에 팔이 빠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전방기능선의 중심점은 배꼽 아래쪽인 치골(즉 코어)에 있다. 전방 기능선을 많이 사용하면 그만큼 관절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이고, 연결이 끊기는 쪽에서 스트레스가 누적되게 된다. 

3.JPG

 


  1. 용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

  2. 도화동 피티 PT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3. 마포피티 기능선 특징 및 전방기능성(대흉근 복직근 장내전근)

  4. 대흥동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5. 염리동 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6. 공덕동피티 나선선 전거근

  7. 공덕피티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8. 아현동피티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9. 용강동 피티 심부전방선 + 외측선 사각근

  10. 도화동피티 내복사근 외복사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