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1.JPG

 

뱃살 빼고 피는 깨끗하게... 탄수화물 현명하게 먹는 법은?

탄수화물 과다 섭취 반복하면 고지혈증, 비만 위험

피가 끈적해지고 뱃살이 나오면 기름진 음식부터 떠올린다. 포화지방이 많은 고기 비계, 가공식품 등을 많이 먹으면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빵, 면, 단 음식 등 탄수화물 과다 섭취도 원인이다.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비만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건강을 위해 탄수화물도 꼭 먹어야 하지만 과식이 늘 문제다. 탄수화물을 잘 먹는 법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식사 과식한 후 후식까지... 탄수화물 과다 섭취의 경우

탄수화물은 밥, 빵, 면, 단 음식 외에 감자, 고구마, 과일 등에도 들어 있다. 매일 활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꼭 먹어야 한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탄수화물은 전체 식사량(총에너지 섭취량)의 55~65% 섭취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다이어트가 필요하면 50% 정도로 줄이는 경우가 있다. 문제는 식사 때 늘 과식을 하고 감자, 고구마로 후식을 먹는 식습관은 탄수화물 과다 섭취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감자, 고구마는 오후 출출할 때 먹는 것이 좋다.

탄수화물 적게 먹으면... 고지혈증, 뱃살 줄어드나?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은 핏속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늘어나는 증상이다. 고지혈증 진단을 받으면 기름진 음식부터 안 먹을 생각을 하지만, 뜻밖에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된다. 단 음식-음료도 절제해야 한다. 열량이 높고 당분이 포함된 술도 줄여야 한다. 탄수화물의 열량은 지방의 열량보다 적지만, 과식하면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급하게 짧은 기간에 체중 감량을 하려면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이 일부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체중 감량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요요현상으로 다시 살이 찔 수 있다.

탄수화물 너무 안 먹었더니... 피로, 어지럼증에 집중력 저하까지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줄여도 문제다. 몸의 에너지원이 크게 부족하게 되어 무력감, 피로, 어지럼증,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탄수화물 중 포도당은 뇌의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기억력,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두뇌 활동이 많은 학생이나 판단력이 중요한 직장인은 적정량의 탄수화물을 먹어야 한다. 구취 등 몸에서 냄새가 날 수도 있다. 단백질까지 먹지 않으면 몸의 근육이 급격히 빠질 수 있다.

고지혈증, 비만 예방-관리 돕는 식사법은?

탄수화물을 먹되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당 지수(GI)가 높은 음식(흰쌀밥, 흰빵, 면, 단 음식)을 절제하는 것이 좋다. 대신에 당 지수가 낮은 음식(잡곡, 통곡류, 통밀빵, 채소 등)을 알맞게 먹으면 혈당이 천천히 낮게 올라가 고지혈증, 비만 예방-관리에 도움이 된다. 몸속에서 중성지방-콜레스테롤을 줄이는 식이섬유(채소, 과일, 해조류)를 식사 전에 먹어도 효과를 낼 수 있다. 채소-단백질(고기, 콩)-밥 순서로 먹는 ‘거꾸로 식사법’이다. 생채소를 늘 식탁에 두면 이런 식사법을 실천하기 쉽다. 균형 잡힌 식사를 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742916/


  1. 애오개 헬스장 얼마나 먹어야 폭음인가?

    "취하도록 마신다고 폭음 아냐?"...男은 5잔, 女는 몇 잔? 혈중 알코올 농도 2시간 안에 0.08% 급증하면 폭음 술을 많이 마시는 걸 ‘폭음’이라고 하지만 기준이 명확한 건 아니다. 소주 한두 잔에 정신이 혼미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술 몇 병...
    Date2025.01.09 Byflexmun Views60
    Read More
  2. 아현동 헬스장 아침 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지만 음식의 양과 품질에 따라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너무 적게 먹어도 뱃살 쪄?"...아침밥 '이만큼'은 먹어야 한다고? 하루 섭취 칼로리의 20~30%만 먹어야 아침 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지만 음식의 양과 품질에 따라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영양, 건강 및 노화 저널(Journal ...
    Date2025.01.07 Byflexmun Views34
    Read More
  3. 공덕동 헬스장 겨울 피로 푸는 데 좋은 먹거리는?

    커피만 자꾸 마시지 말고...겨울 피로 푸는 데 좋은 먹거리는? 오메가-3, 마그네슘 등 풍부한 식품은 에너지 증강에 도움 추운 날씨에 몸이 저절로 움츠러드는 계절이다. 겨울은 계절적 요인으로 피로감이 더해지는 시기다. 피곤에 지친 사람은 커피를 연거푸...
    Date2024.12.30 Byflexmun Views48
    Read More
  4. 공덕역 헬스장 단백질을 잘먹는데 왜 근육이 안생길까?

    단백질 식품 많이 먹었는데... 왜 근육 늘지 않을까? 고등어 등 생선에도 닭가슴살과 비슷한 양의 단백질 있어 근육이 재산이라는 말이 유행하면서 단백질 식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근육의 자연 감소가 빨라지는 중년 이상의 사람들이 많이 먹고 있다. 하...
    Date2024.12.25 Byflexmun Views82
    Read More
  5. 대흥동 헬스장 연말 회식 건강하게 먹는 방법

    “연말이라 자꾸 과식하는데”...‘이렇게’ 먹으면 살 덜 찐다? 생선·두부 등 안주 선택하고 식전 물 마시는 방법 등 한 해가 얼마 남지 않은 만큼 과식하는 사람이 많다. 술과 안주도 자주 섭취하는 시기다. 송년회를 즐기다 보...
    Date2024.12.23 Byflexmun Views62
    Read More
  6. 도화동 헬스장 살 빼고, 건강 유지하는 데 도움 되는 호르몬 분비 촉진 식사법

    “아침엔 달걀, 저녁엔 콩밥”...이렇게 식사하면 살 빼주는 호르몬 잘 나와 살 빼고, 건강 유지하는 데 도움 되는 호르몬 분비 촉진 식사법 식욕을 무조건 참고, 식단을 엄격하게 조절한다고 해서 체중이 쉽게 줄어들지 않는다. 건강한 식사법은 ...
    Date2024.12.22 Byflexmun Views62
    Read More
  7. 염리동 헬스장 특정 시간에 와인을 즐기는 것이 지방을 더 효과적으로 태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와인 좋아하는데...'이 시간'에 마셔야 살 덜 찐다고? 연말연시 와인 모임 잦을 때...오후 4시~7시 사이 마시는 것이 살 덜찌게 하는 현명한 시간대 와인 즐기기에 좋은 연말이다. 몸 관리를 하고 있다면 와인을 마실 때 한가지 정보를 아는 것도 좋...
    Date2024.12.18 Byflexmun Views87
    Read More
  8. 용강동 헬스장 간에 쌓인 피로 푸는 데 좋은 음식은?

    시금치, 브로콜리 챙겨 먹었더니...간에 쌓인 피로 푸는 데 좋은 음식은? 신체의 화학 공장으로 불리는 간은 각종 대사 과정에 관여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다. 간은 무게가 1~1.5㎏이다. 간세포는 우리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많이...
    Date2024.12.15 Byflexmun Views50
    Read More
  9. 마포 헬스장 마그네슘은 에너지 생성, 근육 및 신경 기능 그리고 DNA 생성을 포함해 많은 신체 과정에 관여하는 미네랄이다

    매일 100㎎ 마그네슘...당뇨병 위험도 낮추는데, 뭘 먹지? 신체가 자연적으로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나 보충제 통해 섭취해야 마그네슘은 에너지 생성, 근육 및 신경 기능 그리고 DNA 생성을 포함해 많은 신체 과정에 관여하는 미네랄이다. 체내 마그네...
    Date2024.12.11 Byflexmun Views64
    Read More
  10. 애오개 헬스장 건강을 위해 탄수화물도 꼭 먹어야 하지만 과식이 늘 문제다. 탄수화물을 잘 먹는 법

    뱃살 빼고 피는 깨끗하게... 탄수화물 현명하게 먹는 법은? 탄수화물 과다 섭취 반복하면 고지혈증, 비만 위험 피가 끈적해지고 뱃살이 나오면 기름진 음식부터 떠올린다. 포화지방이 많은 고기 비계, 가공식품 등을 많이 먹으면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Date2024.12.10 Byflexmun Views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