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여 앞으로 내미는 팔의 움직임을 잘 감지하고 안정시켜준다. 

어깨관절 굴곡 가동범위는 앞쪽으로 180도. 뒤쪽으로 50도 신전이다. 앞쪽으로 굴곡이 더 가능한 이유는 견갑골의 기울기 때문이다. 인체는 앞으로 더 많이 움직이기 위해 앞으로 발달되었다. 그래서 견갑도 앞쪽은 열려있고 뒤쪽은 상대적으로 닫혀있다 

극상근은 워낙 많이 쓰인다. 어느 움직임을 하든 무조건 개입될 수 밖에 없는 위치게 있어서 많이 쓰인다. 정지부가 기시부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수축하기 때문에, 정지부쪽으로 슬슬 풀어주면 괜찮다. 몸을 많이 쓰는 육체노동자는 스트레칭을 많이 해주는 게 좋다. 현대는 극상근 손상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이 육체노동자가 아니다. 어깨가 아픈 이유는 팔을 앞으로 내미는 시간이 길어져서이다. 팔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만큼 뒤로 젖히는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면 되는데 그렇지 못하니 어깨 손상이 이어지는 것이다.

극상근은 상부 승모근의 후섬유, 측면삼각근을 잘 쓰지 못할 때 스트레스가 증가한다. 극상근은 일상생활에서 일상적인 움직임을 할 때 동원되는데, 마트에서 무거운 물건을 양손에 들고 나올 때 표층에 있는 후방 상지선이 동원되지 않으면 극상근이 일을 다 해야 한다. 어깨 통증이 있는 아기엄마들이 많은 이유이다. 이불을 털면서 아래로 떨어지는 힘이 생겼을 때도 어깨 파열이 잘 일어난다. 

오버헤드 동작을 하게 되면 견봉과 상완골 공간이 좁아져, 극상근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극상근 손상이 의심될 때, 허킨스 케네디 검사를 해보면 된다. 상완골을 내회전하면 뒤쪽의 극상근이 잡아당겨져 통증을 일부러 유발시키는데, 이 때 아프면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 혹은 옆구리에 팔짱을 끼고 어깨를 앞으로 내밀었을 때 통증이 생긴다면 극상근 손상을 추측할 수 있다. 

2.JPG

견봉 뒤쪽에서 손상이 생기는 이유는 팔을 앞으로 내밀기 때문이다. 팔을 옆으로 들었을 때 상완골의 대결절쪽이 닿아서 손상이 먼저 시작된다. 뒤쪽에서 타는듯한 느낌이 들고, 팔 옆이 아프다.

극상근 교정 운동은 1) 견갑골 정렬, 2) 견갑골 상방회전과 하방회전 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팔을 옆으로 벌리게 되는 과정에서 0~30도에선 극상근만 움직이면 되고, 그 이상 벌릴 땐 견갑골의 상방회전이 일어나줘야 견봉하공간이 만들어져야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 

상부승모근이 뻣뻣해지고 과수축 상태인 것은 이미 어깨가 손상 되어져서일 가능성도 있다. 상부승모근 때문에 손상이 일어난 게 아니라 이후에 어깨손상을 줄이기 위해 견봉을 들어올리려고 과수축됐을 수도 있다.

팔을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복부수축을 잘 하면 상방회전이 잘 되고 전거근 동원이 잘 된다.

일상생활에서 언제 어깨가 아픈지 알아봐야 한다. 브레지어 후크를 풀 때 아프다면, 팔을 뒤로 젖히는 것 자체가 아프니 어깨 끈을 빼고 돌리거나 견갑을 뒤로 모아놓은 뒤에 풀면 통증이 덜 하다. 아프지 않을 방법을 알려줘 우선 염증이 빨리 사라지게 해줘야 한다. 어깨가 아플 땐 염증이 가라앉도록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 

 

  1. 아현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4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근의 연결. T레이즈 할 때 인버티드로우 할 때 연결되는 것. 맞은편 운동은 벤치프레스이다. 벤트 오버 바벨로우는 길항관게에 없다. 수평내전운동하고 수평외전운동을 해줘야 한다. 앞 뒤 균형이 맞지 않...
    Date2025.04.13 Byflexmun Views15
    Read More
  2. 용강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1, 2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1 어깨가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은 골반까지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 통증은 외상이 아닌 이상 모두 움직임 조절의 문제이다. 앞 쪽의 움직임은 큰 힘을 쓸 때 나오고, 움직임의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후방에서 나...
    Date2025.03.09 Byflexmun Views83
    Read More
  3. 도화동 피티 PT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삼각근과 승모근은 강하게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는 쇄골에서 끝나 전면 삼각근과 연결, 상부승모근 후섬유는견봉에서 끝나 측면삼각근과 연결되고, 중부승모근은 팔을 T자...
    Date2025.02.23 Byflexmun Views30
    Read More
  4. 마포 피티 PT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
    Date2025.02.16 Byflexmun Views30
    Read More
  5. 대흥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
    Date2025.02.09 Byflexmun Views27
    Read More
  6. 염리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팔뼈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삼총사-1번 극상근, 2번 상완이두의 장두힘줄, 3번 상완 삼두의 장두로 가장 적게 일을 한다. 야구선수가 볼을 던질 때 대퇴직근처럼 어깨관절의 굴곡과 팔꿈치를 펴주는 ...
    Date2025.02.02 Byflexmun Views74
    Read More
  7. 공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견갑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대원근은 잘라진 단면은 가래떡 정도의 두께이고 소원근은 밀떡 정도의 두께이다. 극하근 아래쪽에 있는 소원근은 길이가 짧아 팔을 안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팔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길이 변화에 민감...
    Date2025.01.12 Byflexmun Views56
    Read More
  8. 공덕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극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
    Date2024.12.29 Byflexmun Views50
    Read More
  9. 아현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
    Date2024.12.15 Byflexmun Views48
    Read More
  10. 용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표면후방상지선 어깨가 아프다고 어깨만 보지 말고 발부터 살펴봐야 한다. 발의 불균형은 어깨까지 연결 될 가능성이 있다. 심부후방상지선은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들의 연결이고, 1차적으로 먼저 ...
    Date2024.11.24 Byflexmun Views1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