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1.JPG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여 승모근이 덜 쓰이게 만들어준다. W레이즈를 가장 많이 추천한다. 상부승모근에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견갑골이 모이면 능형근 수축이 맞다.

극상근은 견갑거근과 연결되고, 극하근은 능형근과 연결되어 기능을 만든다. 우선 척추와 가까운 근육부터 잘 쓸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견갑거근이 견갑골을 거상시키고, 능형근이 견갑골을 후인시켜 준 다음에 외회전근 운동을 해서 팔을 움직여야 한다.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하근

2.JPG3.JPG

 

 

어깨 뒤에 위치한 극하근은 어깨관절을 굴곡할 때 더 활성화된다. 팔을 앞으로 내밀었을 때 팔이 앞으로 굴러가지 않게 극하근 정지부가 원래 길이보다 길어져 뒤에서 잡아주는데, 극상근과 함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근육이다. 

한국 사람들에겐 흔하지 않지만 미국사람들은 극상근과 극하근 파열이 흔하다. 팔을 앞으로 내밀고 있으면 극하근은 능형근과 함께 정상길이보다 길고 뻣뻣해진다. 교정운동인 W레이즈 진행시 능형근을 수축한 후에 외회전 한 팔을 들어올리고 지면과 전완이 수평이 되게 해야 하는데 어깨 뒤쪽에 쥐가 날 거 같은 느낌이 든다면 비정상적으로 표층 가동성 담당 근육인 후면삼각근이 동원하게 된 것이다. 극하근에서 가장 뻣뻣한 부위를 찾아 마사지볼로 압박하여 풀고 외회전 운동을 해야 전체적인 수축이 잘 된다. 그렇지 않으면 긴장도가 높아진 정지부만 수축하여 쥐가 나거나, 후면삼각근이 팔 뼈를 앞으로 밀어버려 어깨 통증이 발생한다. 후면삼각근을 억제하지 못하면 외회전 운동시 어깨에 통증이 생긴다. 극하근을 풀어주고 W레이즈 진행시 하각이 흉추쪽으로 가까워지는게 보여야 능형근이 수축한 것이고, 상각만 모이면 승모근이 수축한 것이다.

4.JPG

 


  1. 공덕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극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
    Date2024.12.29 Byflexmun Views572
    Read More
  2. 아현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
    Date2024.12.15 Byflexmun Views555
    Read More
  3. 용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표면후방상지선 어깨가 아프다고 어깨만 보지 말고 발부터 살펴봐야 한다. 발의 불균형은 어깨까지 연결 될 가능성이 있다. 심부후방상지선은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들의 연결이고, 1차적으로 먼저 ...
    Date2024.11.24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4. 도화동 피티 PT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후방 기능선의 대표적인 움직임은 점프이다. 굽혔다 펴는 힘을 많이 사용하는데 운동종목에선 역도가 후방기능선의 대표적인 동작이다. 후방기능선은 폭발적인 신전을 담당하는데 흉요근막이 중심에 위치하여 광배...
    Date2024.11.10 Byflexmun Views279
    Read More
  5. 마포피티 기능선 특징 및 전방기능성(대흉근 복직근 장내전근)

    [기능선] 폭발적인 힘을 내기 위한 라인이다. 왼쪽발을 바닥에 디딘 상태에서 고정이 되고, 왼쪽의 장내전근이 치골을 잡고 골반을 회전 시킨다. 뒤쪽에 있던 골반이 회전하면서 몸통 요추가 신전되고 흉추도 신전+회전되면서, 몸통 앞쪽 내복사근 오른쪽 외...
    Date2024.10.06 Byflexmun Views319
    Read More
  6. 대흥동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2 (요추의 회전) 왼다리를 앞으로 내민 상황에서, 골반을 안정을 시켜주기 위해 왼쪽 골반과 연결된 요추 기립근이 활성화 되고, 몸이 균형을 잃고 넘어가지 않기 위해 반대쪽 흉추 기립근도 활성화된다. 흉추는 왼다리를 앞으로 내민...
    Date2024.08.11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7. 염리동 피티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보행으로 이해하는 나선선1 (회전) 동물은 척추를 완전히 접었다 피면서 전력질주하는 동물들과 달리 인간은 빠르게 달리기 위해 반드시 척추의 회전이 필요하다. 걷거나 달리기 할 때 골반에 회전이 생기는데, 골반이 회전하는 방향대로 몸통이 같이 회전하게...
    Date2024.07.07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8. 공덕동피티 나선선 전거근

    나선선 – 전거근 상 중 하부섬유로 나뉜다. 상부섬유는 쇄골 때문에 잘 움직이지 않고, 중부섬유는 소흉근이 있어 잘 움직이지 않는다. 그래서 견갑골이 상방회전 할 때 전거근의 하부섬유가 가장 많이 쓰인다. 견갑골 전인과 상방회전을 하게 해 줄 수 ...
    Date2024.06.09 Byflexmun Views524
    Read More
  9. 공덕피티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나선선 – 소능형근 & 대능형근 1. 팔을 앞으로 내밀 때 견갑골이 너무 멀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 능형근이 견갑골의 움직임을 어느방향에서든지 안정시켜줘야 한다. 어깨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근육이다. 팔을 앞으로 내밀어서 무언가를 짚을...
    Date2024.06.02 Byflexmun Views534
    Read More
  10. 아현동피티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나선선 – 두판상근 & 경판상근 왼쪽으로 방향 전환을 할 때, 시선을 먼저 돌려 위험을 살피기 위해 경추가 회전을 하는데, 이 때 왼쪽의 두판상근과 경판상근이 관여한다. 경추가 먼저 회전을 하고 몸이 회전을 하게 된다. 두판상근 두판상근이 뻣뻣...
    Date2024.05.26 Byflexmun Views4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