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1.JPG

 

당뇨, 고혈압 전 단계 “왜 이렇게 많아”...혈압-혈당 내리는 식습관은?

조사 대상 30% 가량이 당뇨, 고혈압 전 단계

 

고혈압, 당뇨병에 걸리면 평생 관리해야 한다. 그래야 위험한 심장-뇌혈관질환 등을 막을 수 있다. 음식 조절, 운동이 중요하다. 특히 전 단계 판정이 나온 경우 실제 고혈압, 당뇨병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각별히 관리해야 한다. 짠 음식을 조심하고 하루 30분 이상 걷는 등 몸을 움직여야 한다. 당뇨, 고혈압 전 단계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30% 가량이 당뇨, 고혈압 전 단계...“너무 많아”

학술지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서 우리나라 19~39세 3609명(남성 1646명·여성 1963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0%가량이 당뇨나 고혈압 전 단계라는 논문이 실렸다. 남성의 당뇨 전 단계는 29.2%, 고혈압 전 단계는 31.1%였다. 여성의 당뇨 전 단계는 17.7%, 고혈압 전 단계는 12.5%로 나타났다. 남성들 중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인 비만 유병률은 45.4%에 달했다. 여성의 경우 비만은 20.5%였다.

전 단계에서 막아야...흡연, 짠 음식 등 생활 습관 바꿔야

고혈압은 평균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이다. 전 단계는 120-139mmHg 이내, 80-89mmHg 이내인 경우다. 혈압을 높이는 위험 요인은 흡연, 짠 음식 섭취, 과음 등 식습관, 운동 부족, 지나친 스트레스, 유전 등이다.

적정량의 소금을 먹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다만 너무 많이 먹는 게 문제다. 식사 때 김치-깍두기, 나물, 찌개 등 짠 음식이 많은데도 국에 소금을 더 추가하는 것은 고혈압은 물론 위암 예방에 좋지 않다. 건더기 위주로 먹고 짠 국물은 남기는 게 좋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소금 섭취를 하루 5g 이하(1 작은술)가 적정량이다. 과체중이나 비만일 경우 고혈압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체중을 줄이면 혈압을 낮출 수 있다.

당뇨병 막기 위해...어떤 음식 줄여야 하나

당뇨병은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경우다. 전 단계는 공복혈당 100-125mg/dL 또는 당화혈색소 5.7% 이상 6.4% 이내를 말한다. 혈당을 높이는 위험 요인으로 고탄수화물-고열량-단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등이 꼽힌다.

탄수화물(흰빵, 면, 쌀밥), 단 음식, 기름진 음식을 줄여야 한다. 식사할 때 채소(식이섬유)-->고기, 생선(단백질)-->밥 순서로 식사를 하면 혈당이 천천히 낮게 오르도록 도와준다.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먼저 먹으면 탄수화물로 인한 혈당 급상승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유발해 과식을 막을 수 있다.

운동도 중요...유산소 운동 먼저

고혈압,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해 운동도 중요하다. 빠르게 걷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하루에 30분 이상, 일주일에 5회 이상 하면 혈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금연은 필수이고 절주, 스트레스 관리도 필요하다. 혈당은 식후에 급상승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면 조절이 가능하다. 혈당은 30분~1시간 사이 상승하는데 이때 몸을 움직이면 혈당을 낮출 수 있다. 식사 직후에 가볍게 몸을 움직여도 좋다. 과식하지 않고 몸을 많이 움직이면 체중 관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7929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6253
982 공덕 피티 PT 잘못된 방법이나 무게 맞지 않는 기구로 운동하면 효과 안 나타나 file flexmun 2025.02.13 2025.02.13 214
981 아현동 피티 PT GLP-1 유사체 위고비 삭센다등 정말 시력 상실 유발할까? file flexmun 2025.02.12 2025.02.13 256
» 용강동 피티 PT 당뇨, 고혈압 전 단계 “왜 이렇게 많아”...혈압-혈당 내리는 습관은? file flexmun 2025.02.06 2025.02.06 183
979 마포 피티 PT 새로운 시도가 작심 3일을 넘어 습관이 되려면 얼마나 시간이 흘러야 할까. file flexmun 2025.02.03 2025.02.03 202
978 염리동 피티 PT 설 연휴 과식으로 급격히 찐 살, 운동과 식단 관리 통해 빠르게 빼야 file flexmun 2025.01.28 2025.01.28 239
977 애오개 피티 PT 간헐적 단식이나 운동을 할 땐 혈당이 낮아진다. 이럴 땐 면역세포가 장에서 췌장으로 ‘긴급 이동’한 뒤 글루카곤을 만드는 세포를 자극해 혈당을 조절 file flexmun 2025.01.21 2025.01.21 193
976 대흥동 피티 PT 뼈건강을 위해서 하중 견디는 저항 운동 꾸준히 하고, 칼슘 등 각종 영양소 식품으로 섭취해야 file flexmun 2025.01.21 2025.01.21 195
975 도화동 피티 PT 위고비(Wegovy) 등 GLP-1 비만약 사용자들은 상당한 수준의 근육량 감소 file flexmun 2025.01.17 2025.01.17 200
974 공덕 피티 PT 일몰 때 햇빛과 같은 긴 파장의 빨간색 빛...혈전 형성 5배나 줄여 줘 file flexmun 2025.01.15 2025.01.15 180
973 아현동 피티 PT "손가락 딱딱 꺾으면 염증이?"...잘못 알려진 관절염 오해 5 file flexmun 2025.01.14 2025.01.15 2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4 Next
/ 10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