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2.JPG 3.JPG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어깨 안정성을 담당하는 극상근, 극하근,  회전근개까지 연결되고 견갑거근과 능형근까지 연결된다. 잘 쥐어야지 잘 당겨주고 안정성이 생긴다. 뇌에서 손으로 쥘 때 불안함을 느끼면 힘을 잘 안 쓰려 하기 때문에 쥐는 힘이 좋아야 한다. 원숭이는 엄지손가락이 짧아 인간처럼 손가락의 대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원숭이는 젓가락을 4개의 손가락만으로 잡고 섬세한 동작이 불가능하다. 뇌와 손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발달한 인간의 뇌는 대뇌피질에서 동물이 구분하지 못하는 시간 개념을 만들어준다. 뇌출혈 등의 문제로 한 쪽 몸에만 마비가 온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쪽을 최대한 많이 움직여주면 뇌에선 마비가 있는 쪽에도 신호를 같이 보내게 되어 마비가 된 쪽도 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악력을 만들어내는 소지굴근은 척측수근굴근, 척측수근신근과 연결되어 어깨와 연결되어 안정성을 만들어준다. 근비대 목적으로 운동 할 때 스트랩을 최대한 안 쓰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좋다. 아니면 견갑이 계속 전인 하강되어 극상근이 버티지 못한다. 소지굴근이 강화되어야 척측수근 굴근과 신근의 연결을 타고 올라가 회전근개와 삼각근을 전체적으로 활성화 시켜 줄 수 있다. 악력계로 쥐는 훈련을 하거나 클럽벨로 손목을 굴곡 신전하면서 척측 수근 굴근과 신근을 강화시켜야 한다. 

 


  1. 아현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4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근의 연결. T레이즈 할 때 인버티드로우 할 때 연결되는 것. 맞은편 운동은 벤치프레스이다. 벤트 오버 바벨로우는 길항관게에 없다. 수평내전운동하고 수평외전운동을 해줘야 한다. 앞 뒤 균형이 맞지 않...
    Date2025.04.13 Byflexmun Views13
    Read More
  2. 용강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1, 2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1 어깨가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은 골반까지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 통증은 외상이 아닌 이상 모두 움직임 조절의 문제이다. 앞 쪽의 움직임은 큰 힘을 쓸 때 나오고, 움직임의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후방에서 나...
    Date2025.03.09 Byflexmun Views83
    Read More
  3. 도화동 피티 PT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삼각근과 승모근은 강하게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는 쇄골에서 끝나 전면 삼각근과 연결, 상부승모근 후섬유는견봉에서 끝나 측면삼각근과 연결되고, 중부승모근은 팔을 T자...
    Date2025.02.23 Byflexmun Views30
    Read More
  4. 마포 피티 PT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
    Date2025.02.16 Byflexmun Views30
    Read More
  5. 대흥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
    Date2025.02.09 Byflexmun Views27
    Read More
  6. 염리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팔뼈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삼총사-1번 극상근, 2번 상완이두의 장두힘줄, 3번 상완 삼두의 장두로 가장 적게 일을 한다. 야구선수가 볼을 던질 때 대퇴직근처럼 어깨관절의 굴곡과 팔꿈치를 펴주는 ...
    Date2025.02.02 Byflexmun Views74
    Read More
  7. 공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견갑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대원근은 잘라진 단면은 가래떡 정도의 두께이고 소원근은 밀떡 정도의 두께이다. 극하근 아래쪽에 있는 소원근은 길이가 짧아 팔을 안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팔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길이 변화에 민감...
    Date2025.01.12 Byflexmun Views56
    Read More
  8. 공덕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극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
    Date2024.12.29 Byflexmun Views50
    Read More
  9. 아현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
    Date2024.12.15 Byflexmun Views48
    Read More
  10. 용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표면후방상지선 어깨가 아프다고 어깨만 보지 말고 발부터 살펴봐야 한다. 발의 불균형은 어깨까지 연결 될 가능성이 있다. 심부후방상지선은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들의 연결이고, 1차적으로 먼저 ...
    Date2024.11.24 Byflexmun Views1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