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살 빼준다는 GLP-1 약물, 정말 시력 상실 유발할까?

직접적 연관성 못 찾았지만 시력 이상 느끼면 즉각 안과 찾아야


체중감량제로 각광받는 글루카곤 유사펩티드-1(GLP-1) 약물이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 GLP-1 약물 복용 도중 시력 문제가 발생한 9명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직접적 연관성은 찾지 못했지만 조사가 계속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의학협회저널 안과학(JAMA Ophthalmology)》에 발표된 미국 내 6명 기관 안과전문의 10명의 공동 보고서를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1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논문의 주저자인 유타대 보건대학의 존 A 모란 안과센터의 브래들리 카츠 박사는 GLP-1 약물을 복용하던 도중 한쪽 눈의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을 겪은 환자를 발견하고 이 문제를 처음 지적했다. 해당 환자는 잠시 약물 사용을 중단했다가 사용을 재개한 뒤 다른 쪽 눈의 시력도 잃었다.

놀란 카츠 박사는 안과전문의 전용 이메일 연락망을 통해 비슷한 사례를 발견한 적이 있는지를 문의했다. 이를 토대로 GLP-1 약물인 세마글루티드(오젬픽과 위고비의 약물 성분)와 티르제파티드(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약물 성분)를 복용하던 도중 시력 이상이 발생한 50대와 60대 환자 9명(여성 5명, 남성 4명)의 사례를 모아 분석한 보고서가 작성된 것이다..

9명의 환자 중 7명은 ‘비동맥성 전방허혈성 시신경병증(NAION)’이라는 증상을 보였다. 인구 10만 명 당 10명에게 발생하는 이 희귀 안질환은 혈관이 시신경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신경 손상으로 인한 갑작스럽고 영구적인 부분 시력 상실이 동반될 수 있다.

9명의 환자 중 다른 2명의 환자 중 한 명은 망막의 핵심부위인 황반에 이상이 생겨 시력문제가 발생하는 ‘황반변성’이 발생했다. 또 다른 환자는 시신경염증 중의 하나인 시신경유두염이 발생했다. 시신경유두는 망막 위의 시신경이 모여 뇌로 들어가는 부위를 말한다. 이곳에는 시각세포가 없어 물체의 상이 맺히지 않아 맹점이 생긴다. 시신경유두염이 발생하면 이 맹점이 점점 확대돼 시력저하가 발생한다.

연구진은 매우 드물지만 발기부전 치료제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의 사용으로 NAION이 발병한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당뇨병, 심장병, 비만 같은 일반적인 만성질환도 시력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9명의 환자 모두 비만 및 당뇨병 중 하나 아니면 둘 모두를 갖고 있어 GLP-1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따라서 시력 문제가 GLP-1의 약물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환자들이 갖고 있던 기저 질환 중 하나와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의 일원인 뉴욕주립대 버팔로의 노라 린코프 교수(신경안과)는 GLP-1 약물 사용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혈당 수치 감소가 눈 건강을 악화시킬 수는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GLP-1 약물이 시력상실의 위험을 높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허혈성 시신경 손상의 위험을 더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 중이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린코프 교수는 GLP-1 약물을 복용 도중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시력이 떨어졌다고 하면 가능한한 빨리 안과 의사를 만나보라고 조언했다. “혈당 변동 때문일 수도 있고 더 심각할 수도 있기에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는 것.

연구진은 그 동안 이미 GLP-1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당황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약물과 관련된 시력 문제의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담당의사와 상의하면 된다는 것. 린코프 교수는 “당뇨병과 체중 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많다”면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지난해 7월 같은 《JAMA Ophthalmology》에 발표된 하버드대 연구진의 논문은 세마글루티드를 투약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NAION 위험은 4.28배, 비만 및 과체중 환자의 위험은 NAION 7.64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경고했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282932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7950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3976
986 염리동 피티 PT 다이어트 관련 흔한 오해와 진실 file flexmun 2025.02.23 2025.02.23 58
985 애오개 피티 PT 운동이 콜레스테롤을 건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file flexmun 2025.02.21 2025.02.21 32
984 대흥동 피티 PT 체중 감량을 원한다면 일주일에 적어도 2시간 30분 이상은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 file flexmun 2025.02.18 2025.02.18 45
983 도화동 피티 PT 날씬한 사람들의 남다른 습관은? file flexmun 2025.02.16 2025.02.16 49
982 공덕 피티 PT 잘못된 방법이나 무게 맞지 않는 기구로 운동하면 효과 안 나타나 file flexmun 2025.02.13 2025.02.13 69
» 아현동 피티 PT GLP-1 유사체 위고비 삭센다등 정말 시력 상실 유발할까? file flexmun 2025.02.12 2025.02.13 114
980 용강동 피티 PT 당뇨, 고혈압 전 단계 “왜 이렇게 많아”...혈압-혈당 내리는 습관은? file flexmun 2025.02.06 2025.02.06 47
979 마포 피티 PT 새로운 시도가 작심 3일을 넘어 습관이 되려면 얼마나 시간이 흘러야 할까. file flexmun 2025.02.03 2025.02.03 62
978 염리동 피티 PT 설 연휴 과식으로 급격히 찐 살, 운동과 식단 관리 통해 빠르게 빼야 file flexmun 2025.01.28 2025.01.28 95
977 애오개 피티 PT 간헐적 단식이나 운동을 할 땐 혈당이 낮아진다. 이럴 땐 면역세포가 장에서 췌장으로 ‘긴급 이동’한 뒤 글루카곤을 만드는 세포를 자극해 혈당을 조절 file flexmun 2025.01.21 2025.01.21 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 Next
/ 102
위로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