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상부승모근을 가장 많이 쓴다. 상부승모근은 견갑골이 전인 하강 될 때 긴장도가 증가하지만, 중, 하부 승모근은 기능이 저하되어 제대로 동원 되지 않는 때가 많으니 운동을 할 땐 중, 하부 승모근을 제대로 쓸 수 있게 만들어 줘야 한다.

1.JPG

 

연구결과에 따르면 승모근 운동을 하면 회전근개의 근활성도가 증가하고, 어깨 통증이 줄어든다고 한다. 어깨 통증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어깨 통증이 생기면 상부승모근이 과활성화 된다고 한다. 극상근이 안 좋은 사람들은 팔을 들어올릴 때 시작하자마자 견갑이 바로 거상된다. 극상근 보호기전으로 상부승모근이 우선적으로 수축하여 견갑을 거상시키고 견봉을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은 상부승모근을 우선적으로 억제하고 중하부승모근이 정상적으로 동원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아니면 상부승모근만 자꾸 동원하게 된다.

팔을 옆으로 벌릴때 30도 범위까지는 극상근 영역이다. 20~70도 범위에서 팔을 벌릴 때 우선 수축해야하는 것이 상부승모근이다.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견봉을 들어올리는 것이 주 목적인데 70~110도 범위에서 중부승모근이 잡아당겨주면 상방회전이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부승모근이 개입되면 110도이상 들어올릴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거근이 단축성 수축, 능형근이 신장성 수축을 해야 견갑골이 안정적으로 돌 수 있다. 전거근이 수축하여 하각을 아래쪽으로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그 뒤에 상부승모근 > 중부승모근 > 하부승모근 순으로 동원되는 게 이상적인 동원 순서이다. 하지만 팔을 앞으로 계속 내밀면 전거근은 짧아지고 능형근은 길어져서 팔을 옆으로 벌릴 때 옆이 아닌 앞으로 자꾸 나가게 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팔이 뒤로 젖히게 된다. 그래서 엉거주춤한 자세로 팔을 올리게 되어 견갑골이 전인하면서 어깨에 충돌이 생기게 되고 어깨가 타는 느낌이 생긴다. 후인 운동을 해주면 좋다.

2.JPG

 

하부승모근은 사람마다 길이가 다르다. 하부승모근이 짧은 사람은 견갑골을 하강시키는 것보다 후인시키는 역할에 가까워 진다. 한국사람들은 허리가 길고 하부승모근이 짧은데 하부승모근 대신 광배근을 더 많이 써서 팔을 떨어트려 어깨가 아프게 된다. 하부승모근이 긴 쪽이 견갑 하강 시키는 능력이 좋다. 하부승모근은 안 쓰다 보니 잘 못쓰게 된다. 자주 쓰게 되면 좋아지는데 Y레이즈를 하면 좋다. 팔을 옆으로 90도까지 벌릴 때 하각에 움직임이 없으면 전거근이 쓰이지 않는 것이다. 플랭크 자세에서 전인 후인을 하면 전거근 활성도가 높아져 하각 움직임이 발생한다.

 

  1. 아현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4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근의 연결. T레이즈 할 때 인버티드로우 할 때 연결되는 것. 맞은편 운동은 벤치프레스이다. 벤트 오버 바벨로우는 길항관게에 없다. 수평내전운동하고 수평외전운동을 해줘야 한다. 앞 뒤 균형이 맞지 않...
    Date2025.04.13 Byflexmun Views15
    Read More
  2. 용강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1, 2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1 어깨가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은 골반까지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 통증은 외상이 아닌 이상 모두 움직임 조절의 문제이다. 앞 쪽의 움직임은 큰 힘을 쓸 때 나오고, 움직임의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후방에서 나...
    Date2025.03.09 Byflexmun Views83
    Read More
  3. 도화동 피티 PT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삼각근과 승모근은 강하게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는 쇄골에서 끝나 전면 삼각근과 연결, 상부승모근 후섬유는견봉에서 끝나 측면삼각근과 연결되고, 중부승모근은 팔을 T자...
    Date2025.02.23 Byflexmun Views30
    Read More
  4. 마포 피티 PT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
    Date2025.02.16 Byflexmun Views30
    Read More
  5. 대흥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
    Date2025.02.09 Byflexmun Views27
    Read More
  6. 염리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팔뼈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삼총사-1번 극상근, 2번 상완이두의 장두힘줄, 3번 상완 삼두의 장두로 가장 적게 일을 한다. 야구선수가 볼을 던질 때 대퇴직근처럼 어깨관절의 굴곡과 팔꿈치를 펴주는 ...
    Date2025.02.02 Byflexmun Views74
    Read More
  7. 공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견갑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대원근은 잘라진 단면은 가래떡 정도의 두께이고 소원근은 밀떡 정도의 두께이다. 극하근 아래쪽에 있는 소원근은 길이가 짧아 팔을 안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팔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길이 변화에 민감...
    Date2025.01.12 Byflexmun Views56
    Read More
  8. 공덕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극하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
    Date2024.12.29 Byflexmun Views50
    Read More
  9. 아현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 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
    Date2024.12.15 Byflexmun Views48
    Read More
  10. 용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표면후방상지선 어깨가 아프다고 어깨만 보지 말고 발부터 살펴봐야 한다. 발의 불균형은 어깨까지 연결 될 가능성이 있다. 심부후방상지선은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들의 연결이고, 1차적으로 먼저 ...
    Date2024.11.24 Byflexmun Views1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