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2016.07.18 08:31

필수 아미노산 리신

조회 수 9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img-l-lysine-babassuate.png

리신은 필수아미노산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는 8가지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리신은 단일 리신 또는 리신을 함유한 단백질 급원으로부터 섭취되어야 한다. 반면, 식물이나 박테리아들은 필수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으로 부터 리신을 합성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 리신이 운동 등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손상으로부터 근육이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다. 이는 리신이 필수아미노산 중에 가장 흡수가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 아미노산이라는 것 때문이다. 이로 인해 리신은 근육 단백질을 구성하고 합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중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리신의 대사산물인 Allysine은 피부나 머리카락 등을 구성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구조에 의해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 성분들은 결체조직을 구성하는데 이로 인해 스포츠성 상해나 부상으로부터 회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리신은 칼슘 흡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리신이 칼슘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도우며 소변으로 부터 손실되는 칼슘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리신의 혈중 농도를 유지하는 것은 골다공증 등 칼슘 대사와 관련된 질환들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리신과 아르기닌은 이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Untitled-2.png

아르기닌의 경우 비필수아미노산이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 다른 소스로부터 만들어 낼 수 있지만 필수아미노산인 리신이 부족할 경우 뼈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혈관확장 등을 목적으로 아르기닌을 다량 섭취할 경우(특히 리신과 함께 섭취하거나 전체 아미노산과 함께 섭취할 경우) 염기성 아미노산 대사의 불균형때문에 리신 흡수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리신을 많이 섭취하면 아르기닌 흡수에 방해를 받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리신은 카르니틴 합성에도 참여하는데, 식이지방/체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쇄사슬지방산(LCFA/LCT)의 에너지화를 위한 이화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르니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기 때문이다. 이 카르니틴이 부족할 경우 지방이 에너지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체지방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CTD(Carnitine Transporter Deficiency)가 발생된다. 

 

임상적으로 리신의 보충이 헤르페스 바이러스(단순성 포진)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제시된 바 있지만 이에 대한 임상적인 근거도 없으며 FDA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성인에게 있어 리신의 필요량은 체중 kg당 12mg선으로 70kg 성인의 경우 0.84g의 리신이 1일 필요량에 해당된다. 권장섭취량은 30mg/kg으로 같은 70kg의 남성은 1일 2.1g의 리신을 섭취해야만 한다. 리신을 공급하는 단백질 급원 식품은 계란, 육류(적색 육류, 양고기, 돼지고기, 가금류), 대두, 완두콩, 강남콩, 치즈, 대구나 정어리같은 생선류가 있다.

 

maxresdefault.jpg

 

리신은 대부분 곡류에 있어 제한아미노산(필요량보다 적거나 없어서 단백질 합성을 제한하는 아미노산)이지만 반대로 대부분의 콩류에는 충분한 아미노산이다. 그래서 쌀과 콩을 섞어 먹으면 서로 부족한 리신과 메티오닌(콩류의 제한아미노산)을 상호보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콩을 충분히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들에게 리신에 의한 단백질 합성 저해를 받을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리신의 부족할 경우 신장 결석, 갑상선호르몬저하증, 천식, 만성바이러스감염, 발육이상 등이 관찰된다. 너무 과도한 단백질 식사, 아르기닌 섭취, 고당류 섭취, 리신 보충제의 과도한 섭취 등이 리신 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리신을 섭취해야 하는 사람은 운동선수 혹은 보디빌딩을 하는 사람들 중에 채식주의자일 경우, 일반적인 식사를 해도 근육량이 너무 과도한 보디빌더들의 경우, 과도한 화상/조직손상/근육손상 등을 당한 환자들의 경우이며 구토, 설사, 매스꺼움, 복통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70kg 이하는 2g의 리신을, 70kg 초과는 3g의 리신을 하루 1~2회로 나눠서 섭취할 것을 권한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1. 필수 아미노산 리신

    리신은 필수아미노산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는 8가지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리신은 단일 리신 또는 리신을 함유한 단백질 급원으로부터 섭취되어야 한다. 반면, 식물이나 박테리아들은 필수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으...
    Date2016.07.18 Byflexmun Views927
    Read More
  2. 포화지방 몸에 해롭다 연세내과 조흥근교수

    포화지방은 여전히 위험합니다. - 현혹되지 마세요. 최근 포화지방은 해롭지 않다, 오히려 이롭기 까지 하다, 포화지방은 억울하다라는 보도가 많이 나오고 연구도 많이 나옵니다. 의료나 영양학 분야의 전공자라도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면 "글쎄.. 옛날 ...
    Date2016.07.12 Byflexmun Views1054
    Read More
  3. ‘출렁출렁’ 나잇살 만드는 나쁜 식습관 다섯가지

    월과 함께 늘어나는 뱃살과 체중은 중년에 이른 사람들 대부분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신체변화 현상이다. 나이가 들면 신진대사가 느려져 살이 찌기 때문이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들은 성인이 된 이후 매년 평균 0.7㎏씩 체중이 증가한다. 불규칙한 호르몬, 근...
    Date2016.07.08 Byflexmun Views1345
    Read More
  4. 포화지방 몸에 해롭지 않다

    Advice to eat more fat is irresponsible and potentially deadly, Public Health England's chief nutritionist has said. Dr Alison Tedstone was responding to a report by the National Obesity Forum, which suggests eating fat could help cut o...
    Date2016.07.03 Byflexmun Views4788
    Read More
  5. 단백질 평가기준 DIAAS에 대해서

    우리가 단백질 식품을 먹는 이유는 체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함이다. 우리가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전분을 섭취(ex. 쌀, 빵, 떡, 고구마, 감자)하여 체내에서 소화과정에 의해 포도당을 만들고 이를 흡수하여 다시 글리코겐으로 저장하고 필요할때마다 포...
    Date2016.07.03 Byflexmun Views1527
    Read More
  6. 근경련 왜 ?

    축구 경기를 보다보면 후반전이 끝나갈 무렵, 연장전이 진행될 때 혹은 고온다습한 지역이거나 상당히 팽팽하고 운동량이 많은 경기를 할 때 선수들이 다리를 붙잡고 눕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명 "쥐가 났다"라고 하는데 정식 용어로는 근육 경련이 ...
    Date2016.07.03 Byflexmun Views1491
    Read More
  7. The science of fat burning

    The Science of Fat Burning - All You Need to Know Over-the-counter fat-reducing drugs and supplements strengthen the credibility of their claims through the use of scientific-ish reports and anatomical diagrams with bold arrows. While the s...
    Date2016.06.19 Byflexmun Views67219
    Read More
  8. 무서운 현미에 독성

    현미독성 원인 물질 휘친산에 대한 연구는 잘 축적이 되어 있다. 현미독성의 원인은 피틴산이라는 물질이다. 피틴산(휘친산)은 현미쌀의 껍질에 g당 9.4mg(백미에는 2.0mg) 포함되어 있으며 체내의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흡착하여 배출함으로 문제가 되고...
    Date2016.06.08 Byflexmun Views1934
    Read More
  9. No Image

    몸속에 능력자 ....맨즈헬스에서 퍼옴

    몸속에 능력자가 살고 있다건강한 심신의 윤활유, 호르몬 확대보기 그렇다. 당신 몸의 호르몬은 능력자이다. 하지만 그 능력 발휘는 당신 손에 달렸다. 이들이 당신을 원하고 갈망했던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에 아마 깜짝 놀라고 말 것이다. 몸이 [포...
    Date2016.06.02 Byflexmun Views1459
    Read More
  10. 내가 먹고 있는 식품은 소화되는데 몇시간이 걸릴까?

    내가 먹고 있는 식품은 소화되는데 몇시간이 걸릴까? 식사를 하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 본적이 있을 것이다. 식품이 소화되는데 있어서 지방이 가장 오래 걸린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느끼고 있다. 하지만 실제 여러가지 식품과 식품별로 유형이 다르기 ...
    Date2016.05.21 Byflexmun Views76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Next
/ 12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