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일건강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허리 아플 때 운동, 할까 말까…요통에 대처하는 법 4

허리 통증이 우리에게 친숙한 만큼 이에 대한 정보도 넘쳐난다. 주변에서 잘못된 정보를 전해들은 뒤 이를 사실로 알고 잘못 대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낫는다?”=모든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심한 디스크이거나 척추염이 있을 때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킨다.

“수영이 가장 좋은 운동이다?”=걷기에 비해 수영은 근력을 기르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반면 물의 부력으로 체중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요통이 심하거나 무릎이 아픈 경우엔 효과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평영과 접영은 오히려 극심한 요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허리가 아플 땐 딱딱한 바닥에서 자는 것이 좋다?”=너무 푹신하거나 딱딱한 침대는 척추에 부담을 준다. 딱딱한 바닥에 누워 잘 때는 2~3㎝ 이상 두께의 요를 깔아주는 것이 좋다. 또 무릎을 조금 구부리거나 양 무릎 사이에 베개를 끼도록 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똑바로 누워 잘 때는 베개로 무릎을 적당히 받혀주는 것이 좋다. 엎드려서 자는 자세는 목이 돌아가 허리에 좋지 않다.

“허리가 아플 때 뜨거운 찜질이 좋다?”=특히 확실한 이유 없이 갑자기 통증이 시작되거나 통증이 있는 부위가 빨갛게 변하고 부어오른다면 염증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염증이 있는 경우라면 온찜질로 오히려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찜질 대신 냉찜질을 해야 한다. 

http://ptgym.co.kr/index.php?mid=workout&document_srl=36512


  1. 요즘 핫한 건강정보

  2. No Image 21May
    by flexmun
    2025/05/21 by flexmun
    Views 521 

    하루 세 끼 먹는 사람과 두 끼 먹는 사람 중 누가 더 뚱뚱할까요?

  3. No Image 19May
    by flexmun
    2025/05/19 by flexmun
    Views 476 

    해마로 분비되는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수치↑

  4. No Image 16May
    by flexmun
    2025/05/16 by flexmun
    Views 369 

    “달리기 잘하려면 10% 규칙 지켜라!”…부상없이 달리는 방법 4가지

  5. No Image 15May
    by flexmun
    2025/05/15 by flexmun
    Views 219 

    6세 때의 BMI는 다른 시점보다 18세가 됐을 때 과체중이나 비만 위험을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

  6. No Image 14May
    by flexmun
    2025/05/14 by flexmun
    Views 203 

    허리 통증 흔하게 발생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대처하면 악화돼

  7. No Image 13May
    by flexmun
    2025/05/13 by flexmun
    Views 195 

    신장병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이 중요하다.

  8. No Image 11May
    by flexmun
    2025/05/11 by flexmun
    Views 231 

    감자 ‘이렇게’ 먹으면 2달만에 5kg 이상 체중 감소 효과

  9. No Image 09May
    by flexmun
    2025/05/09 by flexmun
    Views 179 

    태어나기 전인 인간 발달의 가장 초기 단계에 기대 수명을 예측하는 열쇠가 있다

  10. No Image 07May
    by flexmun
    2025/05/07 by flexmun
    Views 208 

    수박 속 시트툴린의 혈관확장 효과, 비아그라와 유사한 작용

  11. No Image 04May
    by flexmun
    2025/05/04 by flexmun
    Views 183 

    뇌가 추위에 대한 기억 형성하면 신진대사 조절할 수 있게 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06 Next
/ 20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