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1.JPG

 

지방간 발병 16년 전부터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은?

5가지 단백질 분석으로 5년 전 84~90%, 16년 전 76~82% 정확도로

증상이 나타나기 16년 전부터 지방간 질환의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음 달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소화기질환주간회의(DDW)에서 소개될 중국 연구진의 발표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25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발표를 맡은 중국 광둥성 런민병원의 소화기내과의 레지턴트인 시이 유 박사는 5가지 특정 단백질을 찾는 혈액 검사로 지방간 질환으로 불리는 ‘대사 기능 장애 관련 지방간질환(MASLD)’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5가지 단백질 검사는 발병 5년 후 지방간 질환을 예측하는 데 84%의 정확도, 진단 16년 전에 이를 예측하는 데 76%의 정확도를 보였다는 것.

유 박사는 “사람들은 진단을 받고 증상에 대처하기 전에 자신이 간 질환의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며 “이 분야에는 효과적인 생체지표와 예측 모델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의 연구는 혈장 단백질이 조기 예측 및 개입을 위한 새로운 잠재적 전략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지방간 질환은 지방이 간에 축적되기 시작하여 결국 염증과 흉터를 유발할 때 발생한다. 지방간질환이 있는 사람은 지방간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조기 사망 위험이 최대 두 배나 된다고 연구진은 배경 노트에서 설명했다.

그 발병 예측을 위해 연구진은 영국의 장기 건강연구인 UK바이오뱅크에 참여한 5만 명 이상의 혈액 샘플을 분석했다. 2700개 이상의 혈액 매개 단백질을 검사한 연구진은 지방간질환의 조기 경보 신호로 보이는 5개의 단백질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체질량지수(BMI․신장과 체중을 기준으로 한 체지방 추정치)와 일일 운동량과 같은 지방간질환의 다른 단서를 추가할 경우 혈액검사의 정확도를 5년 후 90%, 16년 후 82%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유 박사는 “중국 내 별도의 코호트(특정 집단)에서 이 예측 모델을 시험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며 “이는 모델의 견고성을 더욱 뒷받침하고 다양한 인구집단에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유 박사는 5월 4일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식 발표할 예정이다. 의학 회의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는 동료 심사를 거친 학술지에 게재되기 전까지는 예비 연구로 간주돼야 한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r302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2714986/


  1.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2. 대흥피티 PT 무더위가 지속될수록 체중 증가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 도화 피티 PT 중년에 당뇨병 전 단계 많은 이유…근육 감소도 영향

  4. 공덕 피티 PT 짧은 시간에 빨리 걷기, 사망률 낮추는 데 훨씬 더 큰 효과…특히 심혈관병 위험 더 많이 낮춰줘

  5. 아현 피티 PT 당뇨위험이 있다면 식후 근육 속으로 포도당이 스며들도록 하는 근력 운동 좋아

  6. 용강 피티 PT 운동 '주 2시간30분' 수준으로 늘렸더니…치매 일으키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플라크) 훨씬 더 적어진다.

  7. 마포 피티 PT 4,50대 시기에 체중의 6.5%만 줄여도 나중에 질병과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8. 염리동 피티 PT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보다 조금이라도 매일 꾸준히 움직여야 수면 질 더 높아져

  9. 애오개 피티 PT 하루에 10분 걸었는데 살빠지고 뇌기능도 좋아 질 수 있다.

  10. 대흥 피티 PT 지방간 예측 5가지 단백질 분석으로 5년 전 84~90%, 16년 전 76~82% 정확도로

  11. 도화 피티 PT 체중 감량과 관련해서 이른 아침이 운동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으로 나타났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