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밥 한끼 먹었는데 '혈당 스파이크'?…조영민 교수가 말하는 오해와 진실

"식후 혈당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진짜 혈당 스파이크는 당뇨병 신호"

방송과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혈당 스파이크’라는 용어가 최근 몇 년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일부 인플루언서와 유튜버들은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착용한 채 음식을 먹고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위험성을 경고한다. 이로 인해 많은 일반인이 식후 혈당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불필요한 불안감을 느끼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과도한 불안감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건강한 사람의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까지 ‘혈당 스파이크’로 규정하며 공포심을 부추기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진짜 ‘혈당 스파이크’, 일반인에게는 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의학적으로 정의하는 ‘혈당 스파이크’란 무엇일까.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코메디닷컴과 인터뷰에서 “혈당 스파이크란 식후 혈당이 50mg/dL 이상 급격히 오르거나, 혈당 수치가 140mg/dL을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혈당 상승을 의미한다”고 명확히 정의했다. 조 교수는 최근 혈당 스파이크에 대해 다룬 저서 '혈당 스파이크 ZERO'를 출간하고, KBS ‘생로병사의 비밀’, EBS ‘명의’ 등 여러 건강 프로그램에 출연한 내과 전문의다.

조 교수는 “최근 혈당이 30mg/dL만 상승해도 혈당 스파이크라고 말하는 분들이 많지만, 이 정도의 혈당 변화는 건강한 일반인의 자연스러운 식후 반응으로 걱정할 수준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만약 의학적 기준에 부합하는 혈당 스파이크가 식사 후 규칙적으로 나타난다면, 그 사람은 이미 당뇨병 전단계이거나 당뇨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했다. 즉, 진짜 혈당 스파이크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러한 오해는 최근 일반인에게까지 보급이 확산된 연속혈당측정기(CGM)의 영향이 크다. 본래 1형·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 사용되던 기기지만, 이제는 건강한 사람도 쉽게 구매해 자신의 혈당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CGM 기기에 나타나는 혈당 변화는 30mg/dL보다 적은 변동에도 뾰족한 궤적을 나타내 일반인들에게 과도한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

조 교수는 “평생 한두 번 정도 CGM을 사용해 자신의 식습관 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혈당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사용하면 불필요한 걱정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당 떨어져서 졸려"…대부분은 ‘틀린 말’

‘혈당 스파이크’는 일상 용어에도 깊숙이 파고들었다. 식사 후 졸음이 쏟아지면 "혈당 스파이크가 와서 졸리다"고 말하거나, 배가 고플 때 "당 떨어진다"고 표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 역시 대부분 의학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조 교수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은 혈당 스파이크가 와도 졸음과 같은 특정 신체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그는 “식후 졸리다면, 이는 식사 전부터 피곤이 누적되었거나 식사로 배가 부르면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됐기 때문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당 떨어진다’는 표현도 마찬가지다. 조 교수는 “사람들이 흔히 ‘당 떨어진다’고 느끼는 순간에 실제 혈당을 측정해보면 대부분 80mg/dL 수준으로 정상 범위에 있다”면서 “‘당 떨어진다’보다는 ‘배가 고프다’ 혹은 ‘입이 심심하다’는 표현이 정확한 말”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인 혈당 관리의 최대 적은 ‘과식’

한국인의 혈당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뭘까. 조 교수는 단호하게 "과식"이라고 했다.

조 교수는 "식사의 양과 질, 즉 총 섭취 칼로리와 혈당지수(GI)를 모두 고려해야 하지만, 궁극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루 섭취하는 총에너지의 양"이라며 "특정 음식 하나하나에 집착하기보다는 하루 동안 섭취하는 총칼로리를 과도하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 혈당 관리와 당뇨병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과식 다음으로는 혈당을 직접적으로 상승시키는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경계 대상으로 꼽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건강식품으로 여기는 과일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했다.

조 교수는 "과거의 과일과 달리 지속적인 품종 개량을 거친 현대의 과일은 당도가 매우 높아졌다"며 "이러한 고당도 과일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고혈압 환자 등 기저질환이 있는 취약계층에게는 혈당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경고는 고칼로리,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현대인의 환경에서 더욱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

조 교수는 "예를 들어 양배추 1kg과 작은 버터 한 조각의 칼로리는 비슷하다"면서 "고칼로리 식품을 많이 섭취할 경우 적은 양의 음식 섭취로도 당뇨병 등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274048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6348
1046 공덕 피티 PT 눈 비비는 습관, 원추각막 위험 높이고 눈 주위 피부 노화 촉진 file flexmun 2025.08.15 2025.08.15 19
1045 아현 피티 PT 근력 운동은 얼마나 무거운 것을 드느냐 보다는 적은 무게라도 꾸준히 드는 것이 중요 file flexmun 2025.08.14 2025.08.14 31
» 용강동 피티 PT 진짜 ‘혈당 스파이크’, 일반인에게는 오지 않는다 file flexmun 2025.08.13 2025.08.13 57
1043 마포 피티 PT 음식에 신경 쓰고, 꾸준히 운동을 하는데도 체중계의 눈금이 꿈쩍도 하지 않는 이유는? file flexmun 2025.08.12 2025.08.12 30
1042 염리동 피티 PT 장내 미생물이 보내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신경생물학적 감각’ file flexmun 2025.08.07 2025.08.07 32
1041 애오개 피티 PT 근력 운동을 포함해 일주일에 160분의 운동을 하면 남성의 발기 기능이 상당히 향상 file flexmun 2025.08.06 2025.08.06 49
1040 대흥피티 PT 무더위가 지속될수록 체중 증가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file flexmun 2025.08.04 2025.08.04 34
1039 도화 피티 PT 중년에 당뇨병 전 단계 많은 이유…근육 감소도 영향 file flexmun 2025.08.02 2025.08.02 38
1038 공덕 피티 PT 짧은 시간에 빨리 걷기, 사망률 낮추는 데 훨씬 더 큰 효과…특히 심혈관병 위험 더 많이 낮춰줘 file flexmun 2025.07.31 2025.07.31 35
1037 아현 피티 PT 당뇨위험이 있다면 식후 근육 속으로 포도당이 스며들도록 하는 근력 운동 좋아 file flexmun 2025.07.29 2025.07.30 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