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눈 자꾸 비비면 각막 얇아져”…가려울 땐 ‘이렇게’ 해야

눈 비비는 습관, 원추각막 위험 높이고 눈 주위 피부 노화 촉진

눈을 비비는 습관이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제기됐다.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활동하는 안과의사 프레이저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최근 소셜미디어 영상을 통해 눈 건강을 해치는 가장 나쁜 습관으로 눈 비비기를 꼽으며, 눈을 비비는 것보다 더 안전한 방법을 제시했다.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이들 전문가는 눈을 비비는 습관이 원추각막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원추각막은 각막이 점차 얇아지고 원뿔 모양으로 돌출되는 진행성 각막 질환으로, 시력을 왜곡시키며 심한 경우 수술이나 각막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눈 비비는 습관, 원추각막 위험 높이고 피부 노화 가속…대신 눈 주위 뼈 눌러주면 도움

이와 관련해 다수의 연구에서 눈을 과도하게 비비는 습관이 원추각막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됐다. 2021년 국제안과학저널 《그라페 아카이브 임상 및 실험 안과학(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에 실린 연구는 유전과 눈 비비는 습관을 원추각막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연구팀은 8건의 사례-대조군 연구를 분석한 결과, 눈 비비는 습관과 원추각막 사이에 일관된 연관성이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연구진은 눈을 비비는 대신 인공눈물로 수분을 유지하라고 조언했다.

2022년《프런티어즈 인 이뮤놀로지(Frontiers in Immunology)》에 실린 연구에서는 원추각막 환자 중 약 69%가 눈 비비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눈을 비비는 습관이 원추각막의 발병과 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눈을 비비는 습관이 눈 주변 피부의 노화를 촉진한다고도 경고했다. 눈 주변은 피부가 얇고 섬세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주 비비면 피부가 늘어나고 주름이 생기기 쉽다. 이로 인해 눈가에 주름과 처짐이 더 빨리 생길 수 있다.

프레이저 박사는 눈이 가려울 때는 눈을 직접 비비는 대신 “눈 주위 뼈를 부드럽게 눌러주라”고 조언했다. 이렇게 하면 눈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질환이나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전자기기 사용 시 눈 자주 깜빡여야

눈 비비는 습관 외에도 프레이저 박사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충분히 눈을 깜빡이지 않는 문제도 지적했다. 장시간 화면을 볼 경우, 눈이 건조해지고 피로해지기 쉽다. 이때 의식적으로라도 눈을 자주 깜빡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전자기기 사용 시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는 것은 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며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20-20-20 규칙을 적용하면 도움이 된다. 20분마다 20초 동안 20피트(약 6미터) 이상 거리를 바라보며 눈을 쉬게 하는 방법이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27404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6351
» 공덕 피티 PT 눈 비비는 습관, 원추각막 위험 높이고 눈 주위 피부 노화 촉진 file flexmun 2025.08.15 2025.08.15 19
1045 아현 피티 PT 근력 운동은 얼마나 무거운 것을 드느냐 보다는 적은 무게라도 꾸준히 드는 것이 중요 file flexmun 2025.08.14 2025.08.14 31
1044 용강동 피티 PT 진짜 ‘혈당 스파이크’, 일반인에게는 오지 않는다 file flexmun 2025.08.13 2025.08.13 57
1043 마포 피티 PT 음식에 신경 쓰고, 꾸준히 운동을 하는데도 체중계의 눈금이 꿈쩍도 하지 않는 이유는? file flexmun 2025.08.12 2025.08.12 30
1042 염리동 피티 PT 장내 미생물이 보내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신경생물학적 감각’ file flexmun 2025.08.07 2025.08.07 32
1041 애오개 피티 PT 근력 운동을 포함해 일주일에 160분의 운동을 하면 남성의 발기 기능이 상당히 향상 file flexmun 2025.08.06 2025.08.06 49
1040 대흥피티 PT 무더위가 지속될수록 체중 증가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file flexmun 2025.08.04 2025.08.04 34
1039 도화 피티 PT 중년에 당뇨병 전 단계 많은 이유…근육 감소도 영향 file flexmun 2025.08.02 2025.08.02 38
1038 공덕 피티 PT 짧은 시간에 빨리 걷기, 사망률 낮추는 데 훨씬 더 큰 효과…특히 심혈관병 위험 더 많이 낮춰줘 file flexmun 2025.07.31 2025.07.31 35
1037 아현 피티 PT 당뇨위험이 있다면 식후 근육 속으로 포도당이 스며들도록 하는 근력 운동 좋아 file flexmun 2025.07.29 2025.07.30 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