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숨가쁜 운동만이 능사 아냐”…어슬렁걷기 등 ‘존 제로’운동이 뜬다?

존 제로(Zone Zero), 최대 심박수의 50% 미만인 ‘매우 가벼운 운동’ 개념…어슬렁걷기, 슬로우 조깅, 스트레칭, 가벼운 요가, 정원·텃밭·화초 가꾸기 등이 이에 해당

최대 심박수의 50% 미만에 해당하는 운동 강도를 ‘존 제로(Zone zero)’라고 한다. 호주 비영리매체 ‘더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에 따르면 운동 강도를 나타내는 존(Zone)은 통상 5단계(존1~존5)였지만, 최근 ‘존 제로(Zone Zero)’가 추가됐다.  

영국 버밍엄대 톰 브라운리 부교수(스포츠운동과학)는 “최근 ‘존 제로’ 운동이 노약자나 건강이 나쁜 사람, 부상·질병 등 이유로 새롭게 운동을 시작해야 하는 사람 등에게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더 컨버에이션’에 쓴 글을 통해서다. 그는 “어슬렁걷기 등 매우 가벼운 운동은 많은 사람에게 부담이 없고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포츠운동과학 전문가들에 의하면 운동을 할 때 심박수가 최대 심박수의 50% 미만이면 존0(Zone Zero), 50~60%미만이면 존1(Zone One), 60~70%미만이면 존2(Zone Two), 70~80%미만이면 존3(Zone Three), 80~90%미만이면 존4(Zone Four), 90~100%이면 존5(Zone Five)라고 한다.

‘존 제로’ 운동은 최대 심박수의 50%에 못 미치는 ‘매우 가벼운 운동’이다. 준비운동(워밍업)보다 더 느린 매우 부드러운 동작으로도 할 수 있다. 이런 가벼운 운동으로는 어슬렁 걷기, 천천히 달리기(슬로우 조깅), 스트레칭, 가벼운 요가, 정원·텃밭·화초 가꾸기, 가벼운 심부름 하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모든 스포츠운동 과학자가 ‘존 제로’ 개념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노약자 등에게 운동의 대안적인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일, 가족, 스트레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지 않고도 긴장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퇴근 후 소파에 푹 쓰러지는 대신, 30분 동안 조용히 걷는다면 스트레스를 푸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어슬렁걷기 등 매우 가벼운 운동 등 신체활동도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혈당을 조절하고, 심혈관병 위험을 낮추고, 스트레스를 누그러뜨리고,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운동은 실천하기가 쉽고 일관성도 유지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브라운리 부교수는 “어슬렁걷기 등 ‘존 제로’ 운동은 지속적으로 할 수 있고, 신체의 회복을 돕고, 앉아서 생활하는 것보다 훨씬 더 건강에 좋다. 존 제로 운동은 헬스장과 피트니스센터에서 밀어붙이는 것과는 정반대의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자전거 페달을 천천히 밟는 사람들,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느린 속도로 달리는 사람, 뚜렷한 목적 없이 어슬렁거리며 산책하는 사람 등이 ‘존 제로’ 운동을 실천하는 이들이다. 쉬워 보일 수 있지만, 힘을 들이지 않고 하는 움직임이 ‘존 제로’ 운동의 핵심이다. 숨 가쁘게 운동하는 대신, 편하게 이야기 나누며 천천히 움직일 수도 있다.  

운동 계획을 짠 뒤 곧 포기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기준을 너무 높게 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존 제로’ 운동은 유지하기가 쉽다. 수면과 기분의 개선, 만성병 위험 감소 등 효과가 몇 달, 몇 년에 걸쳐 꾸준히 나타난다. 물론 한계도 없지 않다. 마라톤을 완주하거나 체력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는 게 목표라면, 가벼운 움직임만으로는 어림도 없다. 몸을 더 강하게 만들려면 더 높은 강도의 도전이 필요하다.

열심히 훈련하든 아예 하지 않든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사고방식으로는 핵심을 놓치기 쉽다. ‘존 제로’는 다른 활동의 기반이 될 수 있고, 건강을 증진하는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존 제로’ 운동에는 고급 장비나 최신 웨어러블 기기가 필요 없다. 큰 무리 없이 움직일 수만 있으면 이를 항상 실천할 수 있다. 이 운동이 주는 메시지는 단순명료하다. “아무리 가벼운 운동이라도, 꾸준히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27431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공지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flexmun 2021.10.07 2021.10.07 6584
1054 공덕 피티 PT 오젬픽과 위고비도 요요현상을 피하는 기적은 만들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 file flexmun 2025.09.09 2025.09.09 39
1053 아현 피티 PT 주말에 몰아서 운동을 해도 조기 사망과 심장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file flexmun 2025.09.05 2025.09.05 50
1052 용강동 피티 PT 한낮 운동은 운동 능력 향상에 좋아...자신이 꾸준히 할 수 있는 시간대 골라야 file flexmun 2025.09.03 2025.09.03 44
1051 마포 피티 PT 항생제뿐 아니라 비(非)항생제 약물도 항생제 내성을 유발 file flexmun 2025.08.31 2025.08.31 69
1050 염리동 피티 PT 24시간 단식 한다면 시간대별로 몸은 어떻게 반응할까? file flexmun 2025.08.27 2025.08.27 55
1049 애오개 피티 PT 체중 감량은 세포 수준에서 신체의 지방 조직을 변화시켜 조직의 대사 과정을 바꾸고, 회춘까지 file flexmun 2025.08.27 2025.08.28 113
» 대흥 피티 PT 존 제로(Zone Zero), 최대 심박수의 50% 미만인 ‘매우 가벼운 운동’ file flexmun 2025.08.25 2025.08.25 83
1047 도화 피티 PT 발 각도 변화에 따른 무릎 하중 분석…개인에 맞춘 보행 패턴으로 무릎 골관절염 통증 줄일 수 있어 file flexmun 2025.08.22 2025.08.22 92
1046 공덕 피티 PT 눈 비비는 습관, 원추각막 위험 높이고 눈 주위 피부 노화 촉진 file flexmun 2025.08.15 2025.08.15 65
1045 아현 피티 PT 근력 운동은 얼마나 무거운 것을 드느냐 보다는 적은 무게라도 꾸준히 드는 것이 중요 file flexmun 2025.08.14 2025.08.14 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7 Next
/ 10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