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일건강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시간 지나니 지방 태워”…24시간 굶으면 몸에 생기는 변화 보니

최근 공개된 유튜브 채널 ‘GrowFit Health’의 45초 애니메이션 영상이 24시간 단식 시 인체에서 일어나는 대사 변화를 상세히 시각화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상에 따르면 단식 후 4시간이 지나면 소화 활동이 멈추고 인슐린 수치가 하강하며, 체내 저장당(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기 시작한다. 인슐린은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핵심 호르몬으로, 혈당 안정은 기분 개선, 숙면, 집중력 향상 등 여러 건강상의 이점과 연관된다.

8시간 경과 시 혈당이 소진되면서 간에 저장된 글루카곤(포도당 형태)이 에너지원으로 동원된다. 12시간 시점에는 ‘미니 케토시스’ 상태가 시작돼 지방이 연소되며 인슐린 수치가 더욱 떨어진다. 16시간이 되면 세포 내 불필요하거나 손상된 성분을 분해·재활용하는 ‘자가포식(autophagy)’이 활성화된다.

24시간에 이르면 지방이 주요 연료로 전환되고 염증 수치가 감소하며, 인슐린 감수성이 개선되는 ‘진정한 회복’ 단계에 들어선다. 영상은 이 시점을 “몸이 ‘휴식을 줘서 고맙다’고 말하는 순간”이라고 표현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단식 효과가 단기적일 수 있으며, 잘못된 방법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12시간 이후 케토시스 상태에서 간이 지방을 분해해 생성하는 케톤체가 과도하게 쌓이면 혈액이 산성화되는 ‘케토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케토산증은 치료가 지연될 경우 치명적이며, 장기간 케톤 노출은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6시간 이후 진행되는 과도한 자가포식은 세포 사멸을 유발해 장기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하루 한 끼만 섭취하는 OMAD(One Meal A Day) 다이어트 지지자들은 생산성, 기억력·인지 기능 향상, 체중 관리 등의 장점을 주장한다. 또 다른 간헐적 단식 방법인 ‘16:8’ 방식은 하루 16시간 단식 후 8시간 동안 식사하는 것으로, 주로 오전 10시~오후 6시에 먹는 패턴을 따른다. 이는 하루 500kcal로 제한하는 ‘5:2 다이어트’보다 실천이 용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http://ptgym.co.kr/index.php?mid=workout&document_srl=3681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