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대흉근

대흉근은 광배근과 길항관계로 성립되는 구간이 생각보다 적고 오히려 승모근과 길항관계가 많이 성립된다. 광배근과 다르게 타고나게 두꺼운 근육이다. 뒤의 팔을 앞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앞에위치하지만 근섬유 방향은 좌우의 결이다. 팔은 앞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몸통이 클수록 역학적 이득이 크다. 그래서 옆통이 두꺼운 사람이 몸을 잘 쓴다.

1.JPG

대흉근은 매우 세세하게 나뉘어져 쇄골 상부섬유, 1~7번 늑골까지 연결되어 있다. 기시부가 매우 넓어서 내전, 굴곡,수평내전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45도 외전 각도에서 대흉근을 가장 많이 쓰게 된다. 대흉근 상부섬유와 하부섬유는 정지부가 서로 달라 꼬여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꼬여있는 부분은 그림과 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상부섬유는 팔을 뒤로 많이 젖혀 아래로 잡아당길 때 개입되고, 하부섬유는 팔이 위쪽으로 많이 올릴 때 쓰인다. 이 때 상완과 가깝게 위치하면 근육이 팽팽하게 당겨져 팔을 위로 많이 올릴 수가 없기 때문에 역학적 이득을 위해 상완골두 가까이 정지부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진화하는 과정에서 던지는 동작을 하기 위해 상부섬유보단 하부섬유가 많이 써져서 하부섬유가 더 발달하게 되었다.  

 2.JPG

 

흉골뼈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더 길게 발달되면, 면적이 넓어져 대흉근의 개입이 더 커진다. 벤치프레스를 할 때 사용되는 근육은 흉골 가운데에 있는데, 이 근육은 얇고 힘이 별로 없다. 흉추가 펴지고 등이 편평해야 제대로 쓸 수 있어 플랫벤치 벤치프레스를 할 때 대흉근 하부섬유가 더 개입하게 된다. 근비대 목적으로 할 때는 흉추를 많이 펴지 않고 근섬유 길이 변화를 최대한 많이 주는 것이 좋다. 전거근 하부섬유의 동원을 증가시키고 가동범위도 짧아져 어깨관절의 안정성도 높아지고 더 무거운 무게를 들 수 있다.

3.JPG

  1. 대흥 피티 PT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대흉근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대흉근 대흉근은 광배근과 길항관계로 성립되는 구간이 생각보다 적고 오히려 승모근과 길항관계가 많이 성립된다. 광배근과 다르게 타고나게 두꺼운 근육이다. 뒤의 팔을 앞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앞에위치하지만 근섬유 방향...
    Date2025.09.14 Byflexmun Views16
    Read More
  2. 염리 피티 PT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원회내근 모지굴근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원회내근 회내 할 때 사용하는 근육. 후방상지선의 상완근과 오훼상완근과 연결되어 이두처럼 일을 한다. 심부전방상지선의 연결로 인해 상지가 안정이 된다. 회내하고, 주관절을 굴곡하고 수평내전해서 앞으로 내미는 정권 ...
    Date2025.07.06 Byflexmun Views106
    Read More
  3. 공덕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소흉근 상완이두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소흉근 소흉근이 짧아진 상태에서는 견갑이 전인되면서 상완이두의 기시부 힘줄이 늘어나 견관절이 불안정해진다. 상완 이두 장두 힘줄은 팔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게 균형을 잡아준다. 소흉근이 짧아지게 되면 견갑골 자...
    Date2025.06.15 Byflexmun Views174
    Read More
  4. 공덕 피티 PT 손목관절 신전근 그룹

    손목관절 신전근 그룹 중요도의 순서: 1) 손가락을 펴는 근육. 엄지, 검지, 소지 (락앤롤) 2) 회외근 3) 손목관절 신전 근육 (척측, 요측신전 포함) 기준은 심부 근육부터 동원되는 순서이다. 손가락 힘줄은 손가락을 굽힐 때 느슨해져 있다. 손가락을 굽힌 ...
    Date2025.05.18 Byflexmun Views708
    Read More
  5. 아현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4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3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근의 연결. T레이즈 할 때 인버티드로우 할 때 연결되는 것. 맞은편 운동은 벤치프레스이다. 벤트 오버 바벨로우는 길항관게에 없다. 수평내전운동하고 수평외전운동을 해줘야 한다. 앞 뒤 균형이 맞지 않...
    Date2025.04.13 Byflexmun Views671
    Read More
  6. 용강동 피티 PT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1, 2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1 어깨가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은 골반까지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 통증은 외상이 아닌 이상 모두 움직임 조절의 문제이다. 앞 쪽의 움직임은 큰 힘을 쓸 때 나오고, 움직임의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후방에서 나...
    Date2025.03.09 Byflexmun Views689
    Read More
  7. 도화동 피티 PT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 삼각근과 승모근은 강하게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는 쇄골에서 끝나 전면 삼각근과 연결, 상부승모근 후섬유는견봉에서 끝나 측면삼각근과 연결되고, 중부승모근은 팔을 T자...
    Date2025.02.23 Byflexmun Views629
    Read More
  8. 마포 피티 PT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 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
    Date2025.02.16 Byflexmun Views687
    Read More
  9. 대흥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 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
    Date2025.02.09 Byflexmun Views610
    Read More
  10. 염리동 피티 PT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 팔뼈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삼총사-1번 극상근, 2번 상완이두의 장두힘줄, 3번 상완 삼두의 장두로 가장 적게 일을 한다. 야구선수가 볼을 던질 때 대퇴직근처럼 어깨관절의 굴곡과 팔꿈치를 펴주는 ...
    Date2025.02.02 Byflexmun Views6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