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65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이어트를 하거나 공복을 길게 유지하면 우리 몸은 에너지를 더 저장하려고 지방 합성을 증가시킨다. 다이어트 중 지방을 섭취하여 지방 합성 효소의 활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1.jpg

 

 

다이어트를 하다보면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한가지를 들자면 "다이어트를 하거나 공복을 길게 유지하면 지방을 더 저장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과연 사실일까? 많은 사람들이 1일 섭취 열량을 적게 줄여서 섭취함에도 공복이 길게 유지되면 지방을 더 저장하려 한다고 말하며 식간을 짧게 가질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다이어트를 하면 우리 몸은 저장을 하기 위한 모드에 돌입한다.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 체내 글리코겐이 감소하면서 몸은 글리코겐 저장 효소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또한, 체지방이 감소하고 에너지 섭취량이 감소되면서 우리 몸은 지방을 저장하기 위해 체지방을 합성하는 효소의 활성 마저도 증가시키기 된다.

 

일반적으로 열량섭취를 유지하면서 활동량을 증가시켜서 에너지 소비를 늘리게 되면 상기에 제기된 체지방을 증가시키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하면서 극단적인 탄수화물 절제를 하면 글리코겐을 저장하는 효소의 활성은 극대화가 된다. 그래서 흔히 치팅데이라고 말하는 보상을 주거나 하루 정도 먹을 것을 먹으면 체중이 고대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탄수화물 로딩처럼 글리코겐이 저장되기 위해 3배의 수분을 같이 끌어들이기 때문에). 

 

다이어트 초기 체중이 많이 빠지는 현상은 결국 대부분 탄수화물 섭취 감소에 의한 글리코겐 감소로 이어지는 체수분량의 감소에 국한된다. 1주일 만에 2~3kg을 빼고 좋아한다면 그 다음날 탄수화물을 충분히 섭취해봐라. 그렇게 하면 당신의 체중 감량이 가짜였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반대로 해석해보면 저탄수화물 식사를 하면서 체중감량이 인바디에서 근육량이 더 많이 줄었다면 단기적으로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글리코겐을 보충해 보면 다시 올라온다). 

 

실제로 하루에 1시간 정도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1달 내내 운동을 할 경우 감소할 수 있는 체중은 1kg정도이다. 예를 들어 지방 1kg이 7700kcal인데 1시간 정도 유산소 운동을 할 경우 180~250kcal정도의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1개월에 5400~7500kcal정도를 소비할 뿐이다. 결국 지방이 감소하는 양은 1kg에도 도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fatty-acid-synthesis-48-728.jpg

 

또한, 우리 몸은 12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하거나 계속적으로 에너지 섭취량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킬 경우 기초대사량을 50%이상 낮춰 버린다. 우리가 하루에 소비하는 열량의 70%정도가 기초대사량임을 감안하면 1일 소비하는 열량의 35%정도가 12시간 이상을 공복으로 유지하거나 장기간 저칼로리르 섭취하면서 감소되는 것이다.

 

다이어트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방과 열량의 섭취를 감소시킨다. 단기적인 지방섭취의 감소는 몸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장기적으로 지방섭취를 감소시킬 경우, 지방에 의해 나타나는 대사가 감소되게 된다. 또한, 저지방 섭취가 계속될 경우 인체의 지방을 합성하는 효소 반응이 증가하게 된다. 실제 같은 칼로리 및 같은 지방산 조성 조건에서 10%이하의 지방섭취와 30%의 지방섭취를 비교한 결과 30%의 지방섭취 조건이 지방 합성 효소의 활성이 제한되며 체지방 증가가 나타나지 적었다.

 

반대로 칼로리까지 절제되는 조건에서 체지방이 비정상적인 수준(일반적으로 10%이하) 이하로 떨어질 경우 몸은 지방을 합성하는 효소의 활성을 늘려 에너지 부족에 대한 보상 작용을 체지방 합성으로 일으킨다. 이에는 인슐린/글루카곤/에피네프린 등 호르몬과 함께 PPAR, FAS, LPL 등 지방 대사와 관련된 효소의 작용이 깊게 관여된다. 

 

결국 우리 몸은 극단적인 저칼로리 조건에서 항상성 유지를 위해 에너지 저장 및 체온 보호를 위한 비상체계에 들어가게 된다. 결국 다이어트 시에도 전체 섭취 열량의 20~30% 정도를 지방 섭취(포화지방 비율은 전체 지방섭취의 20%)로 충족 시키는 것이 지방 합성 효소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허리아프다고 무조건 디스크가 아니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알약톡톡2의 가애란입니다.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이라 불리는 중요한 기관이죠. 하지만 동시에 나이가 들거나 무리를 하면 가장 쉽게 피로와 통증을 느끼는 부위이기도 한데요. 혹시 허리가 아플 때 무심코 허리 디스크, 추간판 ...
    Date2016.08.30 Byflexmun Views1301
    Read More
  3. 임신중 골반운동

    골반을 돌려다오 fitness 바쁜 육아로 병원을 찾기 힘든 당신을 위해 마련했다. 집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골반 관리 동작을 소개한다. 강남 세린의원 김수연 원장이 알려주는 몇 가지 동작을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해도 출산 전 예쁜 골반을 되찾을 수 있다....
    Date2016.08.28 Byflexmun Views855
    Read More
  4. 유산소 운동에 강도와 시간

    체지방감량을 위한 유산소운동(시간과 강도에 대하여) 체지방 감량을 위한 유산소운동시 운동시간과 운동강도를 어느정도로 해야 하느냐가 많은 사람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다. 근육은 지방과 근글리코겐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지방과 근글리코겐을 연...
    Date2016.08.28 Byflexmun Views930
    Read More
  5. 유산소 운동에 대한 오해

    아래 글은 공복간 유산소를 권장하는 의미로 오인 할수 있는데 공복간 유산소에 유용성은 현재도 계속 놀란 중이라 뭐가 맞다 틀리다 말할 수 없습니다. 아래 의견은 박기석 선수 개인적인 의견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체지방감소를위한 유산소운동시 ...
    Date2016.08.28 Byflexmun Views617
    Read More
  6. 보디빌딩에 대해 당신이 알아야 할 100가지

    보디빌딩에 대해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번쯤은 읽어봐야할 내용) 일반인,네츄럴웨이터,아마츄어,프로... 상황에 따라 내용이 맞기도 틀리기도 하니 읽고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보디빌딩에 대해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1.중량들기는 근육에 미세...
    Date2016.08.28 Byflexmun Views3280
    Read More
  7. 다이어트를 하려거든 지방을 섭취해라!!

    다이어트를 하거나 공복을 길게 유지하면 우리 몸은 에너지를 더 저장하려고 지방 합성을 증가시킨다. 다이어트 중 지방을 섭취하여 지방 합성 효소의 활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이어트를 하다보면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한가...
    Date2016.08.25 Byflexmun Views657
    Read More
  8. 목디스크 원인 거북목 운동으로 잡자

    목디스크 환자 80%가 '거북목' 목근육 강화하면 목뼈 부담 줄어… 수건·공 이용해 쉽게 할 수 있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86만9729명이 목 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환자 중 70~80%는 거북목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형외과 전문의들은 잘못된 스마트폰 사용법...
    Date2016.08.19 Byflexmun Views911
    Read More
  9. 흉근 어깨통증에 원인?

    Date2016.08.18 Byflexmun Views1126
    Read More
  10. 지방감량에 필요한 조언

    1. 복부 지방 연소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이 필요합니다. 강도(Intensity)와 훈련의 양 - 여러분은 반드시 최대에 근접하는 신진대사 강도 그리고 아주 많은 양의 훈련을 해야만 합니다. 여러분 몸속의 염증을 줄이고 면역력을 강화시켜야 합니다. 스트레스와 ...
    Date2016.08.18 Byflexmun Views809
    Read More
  11. 김연아도 척추측만증으로 고생한다

    ▲ 척추 측만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연아./조선일보DB 대부분 책상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최근 들어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량까지 늘면서 바르지 못한 자세를 유지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이 때문인지 '척추측만증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사람...
    Date2016.08.05 Byflexmun Views12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