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6.10.15 06:57

고립이란?

조회 수 124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8f6ae2845496683c80479112bac1575.jpg

 

고립(Isolation)은 기술이 아니다, 중량과 근육 간의 소통방식이다.

 

사람들이 운동을 하다가 보디빌딩에 빠지게 되면, 이 운동의 점정에 선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저 분들은 어떻게 저렇게 몸이 좋을까?", "저 분들은 어떻게 저렇게 운동을 잘할까?", "도대체 어떻게 고립시켜서 하지?". 그래서 고립에 대해서 그런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답은 하나같이 똑같다. "다른 근육을 사용하지 않고 해당 근육으로 운동하면서 반복 숙달을 통해 얻어내는 거다."

 

참, 말은 쉽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고립이란 것을 보디빌딩이란 운동을 하면서 평생 가져가지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보디빌더 중에서도 고립을 못하고 여러가지 다른 요인에 의해서 몸을 만들어온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고립은 무엇이길래? 그렇게 고립을 말하는 것일까?

 

흔히 프레스 류의 운동을 하다보면 중량을 던지는 사람들 볼 수 있다. 무슨 말이냐? 무게가 무거우니까 빨리 밀어내기 위해서 휙휙 위로 던져버리는 것이다. 중량이 해당 근육을 떠나 이미 하늘로 날아가 있다. 그리고 그것을 잡고 있는건 단지 손(전완 등에 근육일 것이다)일 것이다. 

 

풀업 같은 운동을 하면 "휙휙"하고 올라간다. 부러울 정도로 잘 올라간다. 무슨 트램플린(방방? 퐁퐁?) 위에서 뛰는 사람같다. 근데 이상하게도 등에는 힘이 거의 안들어 간다. 우리는 흔히 이런 부분을 고립을 못 시키는 것으로 말한다. 서두처럼 고립(Isolation)이라고 하는 것은 기술이 아니다. 중량과 근육 간의 소통방식이다. 

 

Punnuk-at-the-Hapao-River-820x410.jpg

 

개인적으로 고립이란 부분의 시작은 줄다리기라고 생각한다. 줄다리기가 무엇이냐? 줄다리기를 할때, 한쪽의 힘이 반대쪽의 힘보다 월등히 좋으면 줄이 휙하고 당겨진다. 근데 문제는 반대쪽 사람들이 저항을 해야 하는데 어찌되는지 보았는가? 그냥 와르르 무녀져 버린다. 개인적으로 이런 상태가 고립을 시키지 못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으로 본다. 

 

또한, 와르르 무너져 버리는 상태는 부상까지 유발될 수 있는 상태라고 말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대퇴사두가 수축하는데 대퇴이두가 준비가 안되어 있다면(흔히 급작스럽게 달리려 한다면), 햄스트링/대퇴이두 파열/손상이라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줄다리기에서 양쪽의 힘이 거의 비슷하다면? 힘이 비슷하기 때문에 양쪽의 당기는 힘의 아주 미세한 차이가 한쪽으로 끌려가게 될 것이다. 운동에서 고립이란 바로 이런 약간의 힘의 차이로 중량을 무겁게 들어올리는 것이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설명한다 해놓고 더 어렵게 만든 것 같다. 풀어서 설명을 해보자면,

 

slide_14.jpg

 

우리의 손목, 발목에는 환상 인대가 있다. 이 환상 인대에는 물리적 자극, 즉 중량을 감지하는 수용체(MechanoReceptor)들이 있는데 우리가 손(상체 운동이라고 치자)을 통해 중량을 쥐었을 때 느껴지는 중량은 신경을 타고 중추조절기관인 뇌에게 보고되게 된다. 뇌는 이를 받아들여 손으로부터 온 신호를 해석하고 중량을 감지해 몇 개의 근섬유가 동원될지 해당 근섬유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집중하고, 또 집중해서 팽팽한 줄다리기 하듯이 해당 무게가 항상 무겁게 느낀다면 뇌는 그것을 감지해 무게에 상응하는 근섬유를 동원시킬 것이고, 이를 통해 우리의 몸은 발달되게 된다. 즉, 가벼운 무게에 동원될 수 있는 근섬유는 한계가 있으므로 해당 근섬유가 정확하게 무게를 짊어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는 것이 고립의 시작이다. 

 

10kg를 100kg드는 힘으로 드는 것이 아니다. 레그컬할 때 가벼운 무게로 해서 발목 패드가 다리에 떠서 날라다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고립을 잘하는 사람들은 해당 무게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그에 해당하는 근섬유를 동원해서 최대한 무거운 무게로 동원된 근섬유에 중량을 고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글 감수 : 오경모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만성피로 극복하는 10가지 방법

    만성피로 극복하는 10가지 방법 1. 아침은 먹어라 아침을 먹은 사람이 먹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더 좋은 컨디션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적이 있다.영국 카디프 대학 연구팀은 매일 아침 먹는 씨리얼이 낮은 농도의 스트레스 호르...
    Date2016.10.19 Byflexmun Views632
    Read More
  3. 공복간 유산소

    최근 몇년 전부터 다이어트의 공식은 "공복 = 유산소" 라는게 유행처럼 번졌습니다. 지방 연소를 위한 공복에 유산소를 하는게 일반적인 유산소보다 효과적인 이유는 체내에 축적되어 있던 탄수화물을 긴 수면시간 동안 천천히 소모 시키게 된 상태이기 때문...
    Date2016.10.17 Byflexmun Views989
    Read More
  4. 사딕 트레이닝 일지

    월요일: 등 데드리프트 5 x 11-13 랫 풀다운 4 x 11-13 벤트 오버 바벨 로우 4 x 11-13 시티드 케이블 로우 4 x 11-13 오버핸드 풀업 1 x 실패지점 화요일: 가슴 인클라인 덤벨 플라이 4 x 11-13 인클라인 바벨 벤치 프레스 5 x 11-13 머신 플라이 4 x 11-13 ...
    Date2016.10.17 Byflexmun Views1150
    Read More
  5. 근막경선해부학 2장

    ​2장으로 온 이유는 3장의 다관절 근육을 들어가기에 앞서 2장 참조가 있기에 2장 포스팅을 먼저 선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경선을 이루게 한 규칙들을 알아보고 또한 아직 초급단계(토마스 마이어가 스스로 이야기한)일 수 밖에 없는 한계점도 이...
    Date2016.10.15 Byflexmun Views1083
    Read More
  6. 근매스 늘리기

    아마츄어 보디빌더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어떻게 해야 프로 선수들처럼 커질수 있나요?" 에 대한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20가지 팁을 지금 알려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기본적인 지식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런 기본적인 정보는 가장 간과하기 쉽...
    Date2016.10.15 Byflexmun Views1762
    Read More
  7. 후안 Diesel 모렐의 하체 운동 루틴

    일반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매니아들이 가장 싫어하는 날은 아마도 레그 데이!!!! 체육관에서 가끔 가슴이나 팔 운동 기구들에는 사람들이 사용하기위해 차례를 기다리는 경우는 있지만 스쿼트랙은 비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IFBB PRO 보디빌더 후안 모...
    Date2016.10.15 Byflexmun Views848
    Read More
  8. 고립이란?

    고립(Isolation)은 기술이 아니다, 중량과 근육 간의 소통방식이다. 사람들이 운동을 하다가 보디빌딩에 빠지게 되면, 이 운동의 점정에 선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저 분들은 어떻게 저렇게 몸이 좋을까?", "저 분들은 어떻게 저렇게 운동을 잘할까...
    Date2016.10.15 Byflexmun Views1244
    Read More
  9. 단풍축제 즐길 땐 이런 점 유의해요

    Date2016.10.07 Byflexmun Views479
    Read More
  10. 적은 반복수 vs 많은 반복수

    보디빌딩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공통적인 목표는 근성장(Skeletal Muscle Hypertrophy) 하나로 귀결된다. 물론 근성장을 이루기 위해 근력, 지구력 모두를 향상시켜야 함은 의심할 바가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양한 운동방법론을 이용하여 근성장을 하...
    Date2016.10.04 Byflexmun Views821
    Read More
  11. 투통 원인

    안녕하십니까 퍼스널트레이너 에이스 최원형 입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한번쯤은 겪어보았을 '두통'에 대해서 간단한 생리학적 정보를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두통은 뇌가 아픈게 아닙니다. 뇌자체는 통각에 감수성이 거의 없습니다. 뇌는 인체의 어...
    Date2016.09.21 Byflexmun Views7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