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7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지방 다이어트’ 열풍의 이면
최근 문화방송 다큐멘터리 ‘밥상, 상식을 뒤집다-지방의 누명’이 방송된 이후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최근 문화방송 다큐멘터리 ‘밥상, 상식을 뒤집다-지방의 누명’이 방송된 이후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내가 위험한 말을 했다고 하더군요. 회의에서 사람들이 내 옆에 있으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영국 과학전문지 <뉴사이언티스트>는 지난 6월 영국 사우스포트의 공중의사 데이비드 언윈의 발언을 소개했다. 그는 최근 열풍이 불고 있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사의 강력한 옹호자로 관련 연구 결과를 내고 있다. 학회에서 다른 학자들에게 무시당하지만 그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사의 전도사를 자임한다. 전국당뇨포럼에서 활동하는 그는 108.8㎏의 여성 환자가 저탄수화물 식사를 통해 일곱달 동안 7㎏을 줄인 사실을 영국 의학잡지 <비엠제이>에 보고했다.

 

‘저지방’ 표기 금지해야 한다며
권장 식사 반기 든 영국 단체
정부는 이례적으로 사태 개입

 

한국 온 ‘고지방 저탄수화물' 열풍
전문가들 ‘지방의 누명' 공감하면서
“균형과 양질의 법칙 지켜야 한다”

 

지방을 줄여? 탄수화물 줄여?

 

건강의 적은 무엇인가? 탄수화물인가, 지방인가? 다시 논란이 붙었다.

 

주류 영양학계에서 건강의 적은 지방으로 간주되어 왔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주로 먹되 지방은 될 수 있으면 줄이라고 각국 정부는 권장한다. 요약하자면 하루 식사에서 탄수화물을 45~50% 안팎 섭취하고 지방은 20~25% 밑으로 잡아두는 ‘고탄수화물 저지방’ 식사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방이 누명을 썼다’며 탄수화물에 화살을 겨누는 학자들이 생겨났다. 이들이 대안으로 삼는 건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사다. 국내에서도 지난달 26일 <문화방송>(MBC)의 엠비시 스페셜 ‘밥상, 상식을 뒤집다-지방의 누명’ 편이 방송된 이후 관심이 커졌다. 강재헌 인제대 서울백병원 교수(비만센터)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에 관해 묻는 환자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사는 지방 70~75%를 섭취하고, 탄수화물은 5~10%로 대폭 줄이는 것이다. 지방은 최대한 줄이고 탄수화물에서 열량을 가져오라는 게 그간의 정석이었다. 그런데 두 영양소의 자리가 바뀐 것이다.

 

영국에서 논란은 지난 5월 민간단체인 ‘전국당뇨포럼’과 ‘대중건강협의회’(Public Health Collaboration)가 정부의 ‘영양섭취 가이드라인’에 대한 철저한 재점검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몸에 나쁜 것으로 알려진 포화지방조차도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비만과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이들의 의견을 소개하면서, 두 단체가 낸 보고서가 주류 과학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전했다. 두 단체는 식품산업과 전문가들의 유착을 제기했다. 담배와 폐암의 관계를 일부 과학자들이 은폐했듯이, 영국 정부가 펴낸 영양섭취 가이드라인도 식품업계의 전문가들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정부가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등의 식품 표기를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 정부는 이례적으로 바로 반격에 나섰다. 국가보건서비스(NHS)는 두 단체의 보고서가 학술지를 통해 학자들에 의해 검증되어(peer-reviewed) 생산되지 않았으며 유리한 결과만을 취사선택했다고 비난했다. 특히 지방 과다 섭취와 포화지방의 위험성이 간과됐다며 국민의 주의를 당부했다.

 

“고탄수화물도 대사증후군 연관”

 

사실 영양소의 선호도는 과학기술과 문화의 변화와 함께 바뀌어 왔다. 한때 부자 음식의 상징이었던 지방은 공장식 축산의 등장과 함께 건강의 적으로 떠올랐다. 6일 박혜련 명지대 교수(식품영양학)는 “기름진 음식과 육식이 많아지면서 지방에 대한 경고등이 켜진 것”이라며 “과학자들이 식품과 질병의 관계를 파고들어 지방이 암과 심혈관질환 등의 원인으로 지목됐고, 각국 정책에 지방 소비를 줄이라는 지침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나라는 지방 섭취 비율을 20~25% 이하로 줄이라고 권고한다. 반면 탄수화물은 주요 에너지원이다. 45~50% 먹으라고 권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많은 과학자들이 지나친 탄수화물 의존의 폐해에 대해 연구한다. 20세기 중반 미국 사람들은 계란노른자조차 버리고 시리얼을 먹기 시작했지만, 비만율은 되레 늘었다. 가공식품은 탄수화물과 설탕 덩어리다.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당으로 분해된다. 당뇨병과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국내에서도 2014년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연구진이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1998~2009년)를 이용해 고탄수화물 식사군과 고지방 식사군 청소년을 비교 분석한 적이 있다. 결과는 고탄수화물 식사군이 대사증후군과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고지방 식사군보다 상대적으로 중성지질이 높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수치가 낮게 나타난 것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 고지방 식사군은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에서처럼 지방으로 한 끼를 때우는 게 아니라 일반적인 식사보다 지방을 조금 더 먹은 정도였다.)

 

7일 <한겨레>가 조언을 구한 전문가들은 최근 불고 있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사’의 열풍을 우려했다. 이 식사의 원조 격인 ‘앳킨스 다이어트’(황제 다이어트)가 나왔을 때 학계에서 이미 정리된 사안이라며, 식사 한 끼를 지방으로 때우는 건 위험하다고 했다.

 

다만 ‘지방도 억울하다’는 점에서는 의견이 일치했다. 과거에는 지방을 나쁘다고 하면서 무조건 안 먹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명승권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최근에는 지방을 종류별로 접근하는 추세”라며 “이를테면 불포화지방(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은 괜찮지만, 트랜스지방(가공식품에 함유되는 고체성 기름)과 포화지방(고체 상태의 동물성 기름)이 암이나 성인병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많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고지방 다이어트를 하면 당 섭취량 자체가 줄기 때문에 초반에는 살이 빠진다. 그러나 식습관을 계속 유지하지 않는 한 살은 찌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고지방 다이어트는 어쨌든 당류 섭취를 줄여주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에게는 일부 효과가 있을 수도 있겠다는 의견을 낸 전문가도 있었다.

 

그럼 탄수화물은 어떨까? 탄수화물도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다. 탄수화물은 현미나 통밀 등 통곡식으로 섭취하는 게 좋다. 밀가루는 쉽게 단당류로 분해되기 때문에 안 좋다. 강재헌 교수가 말했다. “과거 한국인은 밥을 주로 먹었기 때문에 탄수화물 섭취율이 80%대였다. 지금은 65% 정도인데도 한국인들의 비만율이 높다. 그 이유는 설탕을 비롯한 정제당류 섭취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맛의 대부분을 설탕에 의존하는 가공식품 문화 때문이다. 각국 정부는 탄수화물이 아니라 설탕을 줄이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지난 4월 ‘설탕과의 전쟁’을 개시하고 가공식품에 강화된 당류 표시 기준을 도입했다. 지방이 좋다고 해서 탄수화물 전체를 건강의 적으로 몰아선 안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설탕이다.

 

현대 영양학자들이 놓지 않은 가치는 ‘균형’과 ‘양질’이다. 학계에서 정리된 의견은 통곡식 중심의 ‘양질의 탄수화물’, 포화지방이 적은 닭고기나 콩 등의 ‘양질의 단백질’ 그리고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을 피한 ‘적절한 지방 섭취’이다. 영국 정부는 이례적으로 고지방 다이어트 열풍을 차단했다. 균형과 양질의 법칙을 벗어났기 때문이다. 글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사진 김은정 기자 ejkim@hani.co.kr


출처: 한겨레 신문
Read more: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764875.html#csidxe85d4a733cbd87fb9f2d28c16c7ee08
Copyright © LinkBack


  1. 단백질2

    오늘의 Nutrition School은 AMINO ACID POOL과 AMINO ACID VALUE에 대한 부분입니다. 댠백질 1편에서는 단백질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서 배웠는데요....오늘은 조금 더 심화된 부분은 보려고 합니다. 아미노산 대사는 조직 특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Date2016.11.11 Byflexmun Views463
    Read More
  2. 단백질1

    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영양사 우수입니다. 오늘의 SPORTS SCIENCE는 드디어 단백질에 대한 부분입니다. 워낙 내용이 많고 다룰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러 회에 걸쳐 내용을 나누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단백질은 ‘첫 번째에 위치한다.’라...
    Date2016.11.11 Byflexmun Views339
    Read More
  3. 다이어트간 가장 많이 하는 실수

    1. 무지방 식품 선택 다이어트를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지방 섭취를 줄여서 총 섭취 칼로리를 줄이는 것 입니다. 하지만 무지방 제품이라고 해서 모두 칼로리가 낮은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과일이나 쥬스 같은 음식들은 지방의 칼로리가 없지만 높은 양...
    Date2016.11.09 Byflexmun Views430
    Read More
  4. 술과 운동 그리고 단백질 탄수화물 대사

    오늘의 SPORTS SCIENCE는 알코올과 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에 대해 세심한 공부를 하기 전에 먼저 가장 타격을 받고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중에 하나인 술에 대한 부분을 오늘의 Nutrition School에서 다루려고 합니다. ...
    Date2016.11.08 Byflexmun Views790
    Read More
  5. 탄수화물 : 다당류/단당류

    오늘의 SPORTS SCIENCE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양소, 탄수화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탄수화물은 무엇일까요? 무엇이기에 우리는 매일 탄수화물을 먹으면서 탄수화물을 먹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하는 것일까요? 가장 몸에서 필요한 영양소이자...
    Date2016.11.08 Byflexmun Views705
    Read More
  6. 과음하면 왜 배가 고플까?

    과음을 하고 난 다음날 이상할 정도로 허기질 때가 있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 술을 잔뜩 마시고 난 다음날은 어김없이 강렬한 숙취가 몰려온다. 취기가 채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불쾌하고 불편한 기분이 들고 두통, 설사, 구토 등이 나타나는 게 ...
    Date2016.11.03 Byflexmun Views400
    Read More
  7. 감기 예방, 완화에 좋은 식품 5가지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해 코와 목 부분을 포함한 상부 호흡기계의 감염 증상으로 가장 흔한 급성 질환 중 하나이다. 재채기, 코 막힘, 콧물, 인후통, 기침, 미열, 두통 및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치유된다. 감기 바...
    Date2016.11.01 Byflexmun Views295
    Read More
  8. 고지방다이어트와 죽음

    [미디어오늘 이정훈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박사과정] MBC스페셜 ‘밥상, 상식을 뒤집다-지방의 누명’ 다큐멘터리의 방송 이후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유행이 됐다.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의 식단은 지방을...
    Date2016.10.19 Byflexmun Views574
    Read More
  9. 고지방 다이어트 이면

    ‘고지방 다이어트’ 열풍의 이면 최근 문화방송 다큐멘터리 ‘밥상, 상식을 뒤집다-지방의 누명’이 방송된 이후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내가 위험한 말을 했다고 하더...
    Date2016.10.18 Byflexmun Views377
    Read More
  10. 고지방 타이어트 해본결과..... 정말효과있나????

    한겨레 신문 토요판 르포 고지방 다이어트, 정말 효과 있나? 지난달 26일 <문화방송>의 ‘밥상, 상식을 뒤집다: 지방의 누명’ 편이 방송된 이후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Low Carb High Fat diet)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단...
    Date2016.10.18 Byflexmun Views6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