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으로 10주간 교육을 받으면서 복습 겸  그 주 배운 내용을 요약하여 올리겠습니다.



 



그림을 첨부하면 좋은데 저작권 문제로 고생한 적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연락하면 관련 이미지를 보내 드릴께요.



 



서론



교정운동은 아래와 같은 범주로 나눌수 있다



재활운동 < 교정운동 < 강화운동 < 선수트레이닝



 



과연 무엇을 교정 할것인가



교정에 최종적인 목표는 올바른 정렬이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 움직임을 관장하는 소뇌를 다시 세팅해야 한다.



 



대뇌 전전두피질은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며 전체 움직임에 10%정도이지만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 소되는 무의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면 전체 움직임에 90%를 차지한다.



 



교정운동을 위해서는



병원 재활운동(최대운동강도에 30%미만)인 프로그램과



최대운동강도 50%에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고정은 70~80%수준에 강도가 되어야 원래 수준으로 회귀하는 것을 막을수 있다



 



♧ 뉴런은 320km/h에 초고속으로 온몸에 신경을 전달한다.



♧ 체중*0.7 = 혈액양



 



 



신경계와 운동과의 관계



중추신경계(뇌/척수(척추속신경)



 



1.뇌



Input



근육/피부/관절:근방추, 골지건기관,관절수용기등 체성 감각신경



내부장기 : 내장 감각신경



 



뇌를 거친 Output



운동신경을 통한 신호전달 : 골격근



교감신경과 부교관신경을 통해서 신호전달 : 내분비선, 심장/내장근



 



뇌의 역할



-대뇌 전전 두피질 : 의식적인(이성) 행동을 만든다,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한 집중,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행동 여부 결정, 외배부 자극을 토대로 감정적 변화



-두성부 : 대뇌의 윗부분에 위치 감각신호를 이해 해석



-후두부 : 시각기능에 관여



-측배엽 : 청각기능에 관여



-소뇌 : 운동동작을 계획하고 척수를 통해서 명령을 전달하는 운동의 중심, 무의식적인 행동, 중심을 잡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만듦



-변연계의 기능:동작학습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기억과 관련된 뇌의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들을 연결하고 있는 시스템, 호르몬반응들과 신경반응들을 조절한다.



 



2.척수



 



반사신경에 관여



감각 뿌리 / 운동 뿌리/ 사이신경 / 회백질



 



총31쌍 : 목신경 8쌍/ 가슴신경 12쌍/ 허리신경 5쌍/ 엉치신경 5쌍/ 꼬리신경1쌍



 



말초신경의 이해



 



1.운동신경



-체성신경계:몸을 움직이기 위한 신경



- 감각신경(정보를 중추로 전달)



- 운동신경(중추신호를 골격근에 전달)



 



-자율신경계



 



2.뉴런



-핵부분은 뇌또는 척수에 연결



-snapse : 신경을 연결하여 네트워크형성



-myeline sheath : 지방으로 두꺼울수록 빠른 신호전달(운동으로 강화가능)



-node of ranvier : 도약전도를 가능하게 함



 



운동 단위 : 1개의 운동신경이 지배하는 근섬유에 합계



-지근:10-180개, 대부분심근으로 조절이 중요, 섬세한 움직임, 근비대는 어려움



-속근:300-1200개, 대퇴사두등, 에너지 과소모, 지근신경보다 두꺼움



근력 : 운동단위를 얼만큼 많이 동원하느냐(중추신경은 근육을 담당하는 감각신경의 보고에 따라서 운동단위를 조절한다.



 



♧ 다열근 (직립보행에 가장 중요, 운동신경 1개당 10개의 근섬유, 가장 섬세한움직임)



 



3.척수의 회백질 부분



-흥분성 뉴런 : 수축과 긴장, 근방추



-억제성 뉴런 : 이완(스트레칭한 자세로 장력을 준다/신장성 수축),



골지건, 불필요한 자극을 통제



 



4.실무율(all or none)



- 지근이 속근보다 더 작은 전기적 자극에도 반응



- 일단 역치를 넘긴 자극에 의한 수축힘은 동일



 



5. 근수축



연축(twitch) : 근육이 한번 축하는 현상 / 불응기가 있다.



가중(sumation) : 불응기가 끝나기 전에 연이은 자극으로 수축력이 점저 강해지는 현상



강축(tetanus) : 가중현상의 반복으로 “근수축이 연속되는 현상”



 



♧ 레그컬 후 종아리 쥐날 것 같음=>종아리근육이 짧아져서 강축이 일어남 운동전스트레칭으로 협력근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한다.



 



6. 힘의 생성 측면에서 시/공간적 가중



시간적 가중 : 역치 이하의 자극이 연달아 일어나면 두 개가 합쳐지면서 역치 이상의



자극으로 바뀐다. 수면중 불편함+불편하=움찔



공간적 가중 : 운동단위의 수가 증가할수록 낼수 있는 힘의 크기가증가하게 되는데



근력과 직결된다. 내측상과 안쪽을 때리면 손끝이 찌릿하는 현상



 



운동 초기의 근력증가 속도가 빠른 이유



사용하지 않아서 차단되 운동단위가 활성화 된다.



 



♧ Trigger point : 실체가 없다 / 근방추 가설론이 존재



♧ 운동간 느낌을 못찾을 때 단축성 수축으로 근방추를 활성화 후에 다시 해본다.



♧ 근육이 활성화 > 체온상승 > 면역력 증가



♧ 운동신경 두께가 두꺼우면 근횡단면적에 비해 발휘하는 근력수준이 높다.



 



 



말초신경 2



 



1 감각 신경



체성신경 중 감각신경 : 반사작용 muscle spindle(통증 유발점/압통점)



-근육의 길이 변화와 변화의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신전에 대한 감지가 주요역활)



-근방추가 대표적 양끝단에 감마 운동 신경



-방추내 근섬유(감각신경)은 수축을 못하며 양쪽 끝단만 강한 수축이 가능(수축>민감도상승)



-근방추가 신전에 민감한 이유는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너무 느슨한 경우 운동느낌이 없다 절정수축/단축성수축 후 본운동



 



2. 원리에 적용 (근방추)



-체성신경 중 감각신경 : 반사작용 – muscle spindle



a.신전반사작용을 이용한 훈련과 => 플라이오 매트릭(스피드/순발력/평형/혐응/반응시간)



-Eccentric contrection



-Amortization(멈추는시간)



-Concentric contrection



b. 근비대를 위한 근방추 촉진 트레이닝



-최대 수축형태의 Concentric contraction 15회 부분반복 2~3세트



-주요운동 최대강도 프리웨이트 위주 종목부터 실행



-케이블플라이후 벤치, 힙 abduction 후 스퀏



 



c. Trigger Point : 지나친 민감도 증가에 의한 가장 많은 통증원인 / 운동 단위로 뭉치는



형태가 생긴다. / 명확한 원인 모름 / 근육이 많은 부위 /



인대나 건위주의 손발목은 거의 없음



-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해서 발생



- 컨디션저하/ 스트레스



- 만성적 근장력 증가



- 수면부족 / 스트레스



- 잘못된 근무환경



- 철,D,B 부족/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 / 혈색소병증/ 갑상선기능저하증



 



 



♧ 낮시간에 강한 햇빛을 많이 쬐면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된다.



♧ 경추 스트레칭은 누워서 한다.



 



 



 



 


  1. No Image

    CES KOREA 교정운동 생리학 1편 (2편은 운동게시판)

    앞으로 10주간 교육을 받으면서 복습 겸 그 주 배운 내용을 요약하여 올리겠습니다. 그림을 첨부하면 좋은데 저작권 문제로 고생한 적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연락하면 관련 이미지를 보내 드릴께요. 서론 교정운동은 아래와 같은 범주로 나눌수 있다 재활운동 <...
    Date2015.07.05 By문종수 Views2698
    Read More
  2. 우리가 먹는 음식이 어떻게 몸에서 연소되는지 알아보자

    우리가 먹는 음식은 크게 세종류가 있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은 포도당에서 글루코스형태로 분해되고 글루코켄형태로 간과 근육에 저장된다. 지방은 지방산 형태로 분해되고 저장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형태로 분해되어 저장또는 몸을 구성하게된...
    Date2015.06.01 By문종수 Views1774
    Read More
  3. 식품안내 피라미드 (일일 영양설계)

    식단관련 자료는 우선은 좀더 체계적인 미 농무부를 먼저 올리겠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것은 미국인 보다 체형이 작고 칼로 소모가 적은 동양인은 미국 기준에 80%정도에 영양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입니다......이점 꼭 유의하면서 보세요... 칼로리별 ...
    Date2015.05.27 By문종수 Views17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