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2016.12.06 07:32

간을 지키는 습관

조회 수 35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40대 사망원인 2위 간이 위험하다 간질환이란 간염, 간경병, 간암 등 주변에서 흔히 듣는 간 관련 질병들을 말한다.

2005년에 발표된 국내 사망자 원인 순위에 따르면 간질환이 6위.
특히 40대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라 불리는 간은 체내에 들어온 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나쁜 독소를 걸러 건강한 몸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하지만 간은 침묵의 장기라고 불릴 정도로 웬만큼 나빠지지 않으면 그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자칫하면 큰 병을 얻을 수도 있다.
병이 있어도 쉽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간을 미리미리 챙기는 것이 필요하다. 
 

간을 지켜야하는 이유(간 기능) 

● 대사작용: 
몸에 섭취된 영양소는 각 조직에 배분되고 그곳에서 몸의 성분으로 저장되거나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분해되기도 한다.
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간이다.
간세포 내에는 1,000여 가지의 효소가 있어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뿐 아니라 비타민과 무기질, 호르몬 대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간은 이러한 영양소를 저장해두었다가 음식을 먹지 않았을 때도 온몸에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저장고이기도 하다. 

 

● 배설기능:
간의 매우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담즙을 만들어 배출하는 것인데 하루 대략 500~1,000ml의 담즙이 분비된다. 담즙은 소장에서 지방을 소화시키고 흡수하는 일을 돕는다.
그리고 혈액세포 중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비장과 간에서 파괴될 때 만들어지는 빌리루빈이란 노폐한 색소도 담즙과 함께 배출된다. 이 과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으면 황달 증상이 타나난다.
즉 간은 콩팥의 배설작용과 함께 우리 몸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한다. 

 

● 해독·방어기능:
우리 몸에서 생성되거나 약물 등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수많은 물질 중 그대로 체외로 배출되지 못하는 물질은 모두 간에서 해독작용을 거쳐 소변 또는 쓸개즙을 통해 배설되는데, 알코올도 간에서 분해된다.
이러한 해독과정이 없다면 약물과 해로운 물질이 체내에 쌓여 극심한 부작용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한다.
그리고 간은 신체에서 군사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와 살균작용에 중요한 보조 역할을 하는 보체라는 단백질을 만들어 살균작용을 돕는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각종 감염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순환기능:
간에 흐르는 혈액의 양은 1분에 1.5ℓ정도로 혈액을 저장하거나 방출해 몸 전체의 혈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간의 손상으로 혈류가 정상이 아니면 주위의 작은 혈관으로 혈액이 모여 혈관벽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또한 간은 혈액 응고 요소를 합성하여 혈액 내에 공급하는데 간이 손상되면 혈액 응고에 영향을 주어 피가 잘 멎지 않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피곤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남편의 푸념을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면 오늘은 남편의 간을 체크해보자.
또 그놈의 술 때문이겠지 하고 그냥 넘겼다간 이미 고장난 남편의 간을 되돌릴 수 없을지 모른다.
우리 몸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화학공장, 간을 건강하게 지키는 생활습관. 건강한 간을 위한 생활습관 

 

● 과로·과음:
폭음이나 폭식, 특히 안주도 없이 빈속에 많은 술을 마시는 경우에 간에 무리가 오기 쉽다. 또 쌓인 피로를 풀지 못하고 계속 과로를 하는 것도 간을 힘들게 하는 것이다.
과로를 피하는 것은 간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원칙. 술이나 담배를 즐기지 않는 사람이라도 무리하게 과로를 하게 될 때는 간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 걱정스러운 일이 있어 초조하고 불안해하는 상태가 계속되면 정신적인 
피로가 몸에 영향을 미친다.
마음을 편하게 갖고 숙면을 취하며 신체적으로 무리가 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다. 

 

● 소화기 건강 체크:
변비가 있으면 장에서 분해, 흡수되어야 하는 성분들이 정상적인 분해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유독성분이 되어 간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화기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급한 마음에 변비약을 복용하기보다는 섬유질 식품이나 냉수 등을 섭취해 자연스럽게 해소하는 것이 좋다. 

 

● 규칙적인 식습관:
몇 끼씩 제대로 먹지 않다가 한꺼번에 몰아서 먹는다든지, 먹을 때 소화에 무리가 갈 정도로 많이 먹는 등의 식습관은 소화기뿐만 아니라 간에도 무리를 준다.
특히 영양의 균형이 깨져 간에서 필요로 하는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해주지 못하면 간의 기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각의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루 세끼를 규칙적으로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 
간 지키는 생활습관 & 간 해독 식품 

 

 

간 해독에 좋은 식품 

● 결명자:
간에 쌓인 열을 없애고 간의 기운을 북돋워주며 간의 독열을 다스린다.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경우 복용하면 좋다. 

 

● 녹두:
의약품의 남용으로 인한 독을 풀어주고 농약과 중금속 중독 치료에도 도움을 주는 녹두는 알코올 해독작용 또한 뛰어나다.
이러한 해독과정을 거친 유해물질을 소변을 통해 빠르게 배설하도록 돕는 역할까지 한다. 

 

● 부추:
간의 채소라 할 만큼 간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이 우수한 채소로, 대·소장을 보호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며 인체 기능을 북돋우는 역할을 한다. 

 

● 쌀:
쌀에 있는 단백질은 몸 안의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활성산소를 정화하는 효능이 있어 매 끼니마다
해독제를 먹고 있는 것과 같다. 또 쌀에 함유된 섬유질은 중금속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 모시조개:
타우린과 호박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약해진 간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탁월하다.
특히 모시조개는 살뿐만 아니라 껍질에도 약효가 있다. 이 외에도 바지락, 대합 등의 조개류와 새우, 낙지도 타우린이 풍부하다. 

 

● 우엉:
위장에 좋다고 알려진 우엉에는 이눌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위장장애가 있는 경우 간의 해독작용을 방해한다.
이눌린은 이러한 박테리아 독소를 제거하여 위장은 물론 간의 해독까지 도와 피를 맑게 한다. 

 

● 무:
동맥경화의 주요인으로 밝혀진 호모시스테인이라는 독성물질의 해독을 가속화하는 물질인 베타인이 무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또한 숙취를 해소하는 데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손상된 간을 보호해주기도 한다. 

 간 지키는 생활습관 & 간 해독 식품 

 

간 건강 체크리스트 

 

□ 어깨나 목이 뻐근하고 피로가 지속된다. 

 

□ 신경이 예민하고 얼굴색이 어둡다. 

 

□ 소변에 거품이 많고 황색이나 다갈색이며 지린내가 심하다. 

 

□ 정신이 멍하고 기억력과 집중력이 약화된다. 

 

□ 코, 잇몸, 항문 등에 출혈이 자주 있다.

 

□ 피부에 거미 모양의 혈관이 생긴다. 

 

□ 상복부가 가끔 뻐근하다. 

 

□ 발열이 잦고 감기몸살 같은 증상이 오래간다. 

 

□ 눈이 쉽게 피로하고 안구, 피부가 황색으로 변하는 황달이 생긴다. 

 

□ 식욕이 없고 구역질이 난다. 

 

 

※ 5개 이상 해당된다면 전문의를 만나 간 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간 지키는 생활습관 & 간 해독 식품 

 


  1. 탄수화물을 줄이는 방법

    체지방 감량을 위한 다이어트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일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고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을 섭취하면서도 않고서도 탄수화물 제한했을때와 같은 다이어트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Date2017.01.04 Byflexmun Views460
    Read More
  2. 30초 만에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는 방법 4

    일상에서 내외적으로 발생하는 긴장상태인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생활의 일부분이다. 잘 관리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동기를 높이는 요소이지만, 방치하면 삶의 의욕을 잃는 무기력에 빠질 수 있고 다양한 신체질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줄이...
    Date2016.12.27 Byflexmun Views222
    Read More
  3. 운동 열심히 하면 식욕도 줄어든다

    운동 열심히 하면 식욕도 줄어든다 배부름 신호 보내는 뇌세포가 활성화 돼 운동을 열심히 하면 근육을 키우고 칼로리만 태우는 것이 아니라 식욕도 억제시켜 살을 빼는데 도움을 준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캄피나스주립대 에두아르도 로펠레 교...
    Date2016.12.26 Byflexmun Views300
    Read More
  4. 불타는 식욕 끌어내리는 방법

    일조량이 줄어들면 식욕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해가 짧은 겨울에 폭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볕을 쬐는 시간이 줄면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세로토닌'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탓이다. 세로토닌은 '행복 호르몬'으로도 불리는데, 일...
    Date2016.12.16 Byflexmun Views336
    Read More
  5. 체중을 줄이는 아주 작은 습관

    다이어트 방법과 조언은 차고 넘치도록 많다. 한데 그런 방법들은 지방을 없애라, 탄수화물을 먹지 마라, 한 가지 음식만 먹어라 등 극단적인 식생활 개선을 요구한다. 그러나 우리 몸은 갑작스런 변화는 잘 견디지 못한다. 대개 얼마 못가 포기하고 보상 심리...
    Date2016.12.16 Byflexmun Views266
    Read More
  6. 40代부터 해마다 근육 1%씩 감소…

    근육량 줄어들면 질병 위험 상승 주 3회, 스쿼트 등 근력 운동해야… 영양 균형 맞춘 보충제 섭취 도움 자영업자 한모(64)씨는 며칠 전 송년 모임에 참석했다가 지인들에게 '왜 이렇게 팔이 얇아지고 살이 빠졌느냐?'라는 말을 들었다. 실제로 1...
    Date2016.12.14 Byflexmun Views292
    Read More
  7. 염분섭취가 체지방을 늘릴까?

    소금은 우리 국민들에게 가장 가까운 식품첨가물이자 설탕과 함께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 중에 하나이다. 이런 소금의 섭취는 여러가지 질병 유발과 관련하여 경계되어져 왔는데, 특히 고혈압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트륨 또는 소금의 섭취는 매우 위험한 요인...
    Date2016.12.13 Byflexmun Views549
    Read More
  8. 체중과 노화의 관계

    나이가 들수록 살이 찐다. 예전과 먹는 양도, 활동량도 별로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왜 자꾸 살이 불어날까. 사실 나이가 드는 과정에서도 적정체중을 유지할 수는 있다. 단 젊었을 때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함정이 있다. 나이와 살은 무슨 관...
    Date2016.12.12 Byflexmun Views277
    Read More
  9. 밀가루가 위험한이유

    밀가루가 위험한 진짜 이유(글루텐 때문이 아님) 밀가루에 알러지가 있거나 소화이상을 겪는 미국 사람들이 이탈리아 휴가지에서 먹은 파스타에서는 아무런 증상을 겪지 않았다는 이메일을 해 왔다. 내 남편은 집에서 내가 만든 밀가루 음식은 아무렇지 않은데...
    Date2016.12.06 Byflexmun Views379
    Read More
  10. 간을 지키는 습관

    40대 사망원인 2위 간이 위험하다 간질환이란 간염, 간경병, 간암 등 주변에서 흔히 듣는 간 관련 질병들을 말한다. 2005년에 발표된 국내 사망자 원인 순위에 따르면 간질환이 6위. 특히 40대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라 불리는 ...
    Date2016.12.06 Byflexmun Views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