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54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금은 우리 국민들에게 가장 가까운 식품첨가물이자 설탕과 함께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 중에 하나이다. 이런 소금의 섭취는 여러가지 질병 유발과 관련하여 경계되어져 왔는데, 특히 고혈압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트륨 또는 소금의 섭취는 매우 위험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소금을 많이 섭취한 군에서 호흡기계 합병증, 심혈관계질환, 2형 당뇨병, 골다공증 및 고혈압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음이 드러났다.

1.jpg

 

우리나라의 나트륨 섭취량은 평균 4,800mg 선으로 국제 권장섭취량인 1,500mg의 약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소금양으로 따지면 2.5배인 11.3g(11,300mg)으로 밥수저로 한수저 분량의 소금을 매일 먹고 있는 것이다. 1일 2g의 소금을 섭취하는 사람보다 10g의 소금을 섭취하는 사람들에게서 비만률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소금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고혈압과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매우 중요한 비약제적 치료법으로 입증되었다. 실제로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따르면 식염섭취가 감소하면 고혈압 등의 발병자 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왔다. 

 

img_20150119123133_b5db5060.jpg

 

이런 질환자들 뿐만 아니라 비만 또는 미용적인 목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려는 사람들에게서 소금은 다이어트의 적처럼 여겨져 왔다. 그 이유는 고염식 또는 고나트륨 섭취를 할 경우 다이어트가 되지 않고 비만을 유발한다는 것인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런 이유로 다이어트를 할 때 저염식 혹은 무염식을 즐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고염식은 비만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소금을 먹으면 체내에서 수분을 저장하려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수분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이 느는 것이지 체지방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런 주장에 대해 이견을 제기하였다. 또한, 짜게 먹는 사람들이 비만이 된다면 짠 음식을 먹기 때문에 그것을 중화하기 위해 다른 음식을 더먹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짜게 먹는 식습관이 체지방을 증가시키고 비만을 유발하는 것의 진실은 과연 무엇일까? 많은 다이어터들이 믿고 있는 대로 짜게 먹는 식습관은 비만을 유발할까? 아니면 일부 사람들의 주장대로 관련이 없을까?

 

체네 체지방의 증가는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에 의해 일어난다. 결국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에 비해 과도하게 많은 경우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실험에서 에너지 섭취를 똑같이 한 조건에서도 에너지 요인을 넘어서서 체지방을 증가시키고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런 결과를 보이는 주요 요인은 바로 호르몬이다.

 

50639a807b98b.jpg

 

실제로 동물 실험과 임상 실험 결과 고염식은 혈압을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체지방량과 포만감 호르몬으로 알려진 렙틴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고염식은 높은 인슐린 반응성을 보이게 만들었는데, 고염식을 한 사람에게서 체지방량의 증가는 에너지 섭취의 증가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인슐린에 의한 포도당의 지방 전환이 증가함에 의함이 드러났다. 이 말은 소금에 의해 인슐린이 없는 상태에서도 포도당의 지방 전환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인슐린과 렙틴의 연관성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렙틴은 포만감을 결정짓는 호르몬으로 렙틴 호르몬이 분비되면 우리는 포만감을 느끼고 그만 먹게 된다. 하지만 이 호르몬은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내성처럼 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렙틴 내성이 유발되면 혈중 렙틴 농도는 높아도 렙틴에 대해서 몸이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인슐린은 렙틴의 분비를 자극하고 반대로 렙틴은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그래서 적절한 지방의 섭취가 인슐린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지만 과도한 고지방 식이는 인슐린 대사를 망가뜨리고 당뇨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렙틴 생성 및 분비의 증가는 체지방량에 비례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렙틴 호르몬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기 때문인데, 실제로 지방세포는 호르몬, 사이토카인뿐만 아니라 렙틴, TNF-α, IL-6, 안지오텐신, 아디포넥틴 등 다양한 물질들을 분비한다. 이런 렙틴은 렙틴은 식욕과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면서 체지방량을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렙틴은 비만으로 유발되는 고혈압과 연관되어 있는데, 고염식을 할 때 혈중 높은 렙틴 농도를 보이고 이는 고염식으로 인한 체지방량의 증가로 인해 증가된 체지방으로 부터 분비되는 렙틴의 양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저염식 초기에는 식사 섭취량이 감소됨을 보였으나 금새 저염식이에 적응하게 되고 정상적인 식사량으로 돌아옴을 보였다. 적절한 나트륨섭취(2000mg/day, 1일 5g의 소금) 시에 위에 언급된 고염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체지방 증가 및 렙틴/인슐린 대사의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51b9a681e76eb.png

 

결국 나트륨은 필요한 만큼 먹어야 하고 너무 과하거나 너무 부족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영양소이다. 보디빌딩 식단을 칼륨 섭취가 충분한 식단이기 때문에 식사 중에 적절한 나트륨 섭취에 대해서 너무 인색하게 굴 필요는 없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1. 탄수화물을 줄이는 방법

    체지방 감량을 위한 다이어트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일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고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을 섭취하면서도 않고서도 탄수화물 제한했을때와 같은 다이어트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Date2017.01.04 Byflexmun Views460
    Read More
  2. 30초 만에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는 방법 4

    일상에서 내외적으로 발생하는 긴장상태인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생활의 일부분이다. 잘 관리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동기를 높이는 요소이지만, 방치하면 삶의 의욕을 잃는 무기력에 빠질 수 있고 다양한 신체질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줄이...
    Date2016.12.27 Byflexmun Views222
    Read More
  3. 운동 열심히 하면 식욕도 줄어든다

    운동 열심히 하면 식욕도 줄어든다 배부름 신호 보내는 뇌세포가 활성화 돼 운동을 열심히 하면 근육을 키우고 칼로리만 태우는 것이 아니라 식욕도 억제시켜 살을 빼는데 도움을 준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캄피나스주립대 에두아르도 로펠레 교...
    Date2016.12.26 Byflexmun Views300
    Read More
  4. 불타는 식욕 끌어내리는 방법

    일조량이 줄어들면 식욕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해가 짧은 겨울에 폭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볕을 쬐는 시간이 줄면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세로토닌'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탓이다. 세로토닌은 '행복 호르몬'으로도 불리는데, 일...
    Date2016.12.16 Byflexmun Views336
    Read More
  5. 체중을 줄이는 아주 작은 습관

    다이어트 방법과 조언은 차고 넘치도록 많다. 한데 그런 방법들은 지방을 없애라, 탄수화물을 먹지 마라, 한 가지 음식만 먹어라 등 극단적인 식생활 개선을 요구한다. 그러나 우리 몸은 갑작스런 변화는 잘 견디지 못한다. 대개 얼마 못가 포기하고 보상 심리...
    Date2016.12.16 Byflexmun Views266
    Read More
  6. 40代부터 해마다 근육 1%씩 감소…

    근육량 줄어들면 질병 위험 상승 주 3회, 스쿼트 등 근력 운동해야… 영양 균형 맞춘 보충제 섭취 도움 자영업자 한모(64)씨는 며칠 전 송년 모임에 참석했다가 지인들에게 '왜 이렇게 팔이 얇아지고 살이 빠졌느냐?'라는 말을 들었다. 실제로 1...
    Date2016.12.14 Byflexmun Views292
    Read More
  7. 염분섭취가 체지방을 늘릴까?

    소금은 우리 국민들에게 가장 가까운 식품첨가물이자 설탕과 함께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 중에 하나이다. 이런 소금의 섭취는 여러가지 질병 유발과 관련하여 경계되어져 왔는데, 특히 고혈압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트륨 또는 소금의 섭취는 매우 위험한 요인...
    Date2016.12.13 Byflexmun Views549
    Read More
  8. 체중과 노화의 관계

    나이가 들수록 살이 찐다. 예전과 먹는 양도, 활동량도 별로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왜 자꾸 살이 불어날까. 사실 나이가 드는 과정에서도 적정체중을 유지할 수는 있다. 단 젊었을 때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함정이 있다. 나이와 살은 무슨 관...
    Date2016.12.12 Byflexmun Views277
    Read More
  9. 밀가루가 위험한이유

    밀가루가 위험한 진짜 이유(글루텐 때문이 아님) 밀가루에 알러지가 있거나 소화이상을 겪는 미국 사람들이 이탈리아 휴가지에서 먹은 파스타에서는 아무런 증상을 겪지 않았다는 이메일을 해 왔다. 내 남편은 집에서 내가 만든 밀가루 음식은 아무렇지 않은데...
    Date2016.12.06 Byflexmun Views379
    Read More
  10. 간을 지키는 습관

    40대 사망원인 2위 간이 위험하다 간질환이란 간염, 간경병, 간암 등 주변에서 흔히 듣는 간 관련 질병들을 말한다. 2005년에 발표된 국내 사망자 원인 순위에 따르면 간질환이 6위. 특히 40대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라 불리는 ...
    Date2016.12.06 Byflexmun Views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