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B_IMG_1482969634268.jpg



질병 부담 7위, 위암보다 높은 수준… 65세 이상 33%, 年 1회 이상 낙상
뇌손상 위험, 보행 불편 후유증도… 근력 키우면 위험 1% 정도로 줄어

직장인 이모(65)씨는 최근 계단을 내려가다 심하게 넘어져 엉덩방아를 찧었다. 몸이 전혀 움직이지 않았던 이씨는 한참을 바닥에서 누워 있다가 지나가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응급실에 갔다. 검사 결과 이 씨는 고관절이 골절됐고, 뇌진탕 증상까지 보이는 상태였다. 그는 전신마취를 통해 고관절을 고정시키는 수술을 받았고 한동안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수술이 끝나면 큰 문제가 없을 거라 생각했지만, 골절 후유증 때문에 예전처럼 자연스럽게 걷기가 힘들었다. 또다시 넘어질까 겁나 바깥 활동도 자제하게 됐다. 중앙대병원 정형외과 하용찬 교수는 "낙상은 골절이나 뇌손상, 사망 등 노인에게 큰 고통을 주는 질환"이라며 "낙상은 치료 후에도 보행 장애나 심리적 위축 등 많은 후유증을 남긴다"고 말했다.

과거 한국인을 괴롭힌 대표적인 질환은 암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낙상이 대표적인 질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한국인 '질병 부담' 순위에서도 낙상은 새롭게 7위에 진입했다. 기존에 순위권에 있던 간암과 위암은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낙상이 암보다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이 된 것이다. 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도 높고(위암의 경우 90% 이상), 완치 후에는 큰 후유증 없이 잘 사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낙상은 다르다. 낙상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고(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이 생길 경우 1년 내 사망률 약 17%), 낙상으로 골절이 생긴 환자의 60%가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후유증이 심하다.


사진=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그래픽=양인성 기자

사진=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그래픽=양인성 기자

낙상은 65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조심해야 한다. 65세 이상 노인 3분의 1은 매년 1회 이상 낙상을 겪고, 낙상 환자 4명 중 1명은 입원한다(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자료).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박원하 교수는 "65세 이상이라면 젊을 때보다 근력이 약해지고, 운동신경이 둔해져 신체 반사속도가 느려진다"며 "젊은 사람에 비해 더 잘 넘어지고, 똑같이 넘어져도 골다공증 때문에 뼈가 크게 다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인의 낙상 사고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2013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65세 이상 낙상 사고 건수는 294건이었지만 2014년에는 402건, 2015년에는 554건으로 매년 약 35%씩 증가했다.

이처럼 낙상은 위험하지만, 노력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낙상은 ▲균형을 잘 못잡는 질병(치매·어지럼증)을 앓고 있거나 ▲낙상을 잘 유발하는 약물(수면제·항우울제) 복용하거나 ▲음주 ▲정돈되지 않은 집·미끄러운 바닥 등 나쁜 환경이 원인이다. 골다공증이 있다면 낙상을 당했을 때 골절 등이 생길 위험이 커지는데, 이 또한 골다공증을 관리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용찬 교수는 "일반적인 노인의 낙상 위험은 30% 정도"라며 "꾸준한 운동으로 근육을 키우고, 골다공증이 있다면 비타민D와 칼슘을 섭취하고, 집안 환경을 잘 정리하는 노인은 낙상 위험이 1% 정도로 줄어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0/2017011001903.html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나이가 들면 왜 살이 찔까??

    20대 때보다 특별히 많이 먹지도 않는데 자꾸 늘어나는 살, 세월과 함께 속상하게 늘어만 가는 살의 원인은 무엇일까? 나잇살에 대한 진실과 거짓을 알아보자. ◆ 신진대사는 30대부터 느려진다?= 아니다. 신진대사는 20대 때부터 느려지기 시작한다. 청소년기...
    Date2018.10.29 Byflexmun Views737
    Read More
  3. 영국 가디언지가 알려주는 스트레스 해소법

    어깨가 딱딱하고 머리가 아프다면, 스트레스 때문일 확률이 높다. 영국 ‘가디언’이 스트레스를 물리치는 7가지 방법을 보도했다. 1. 원인을 찾아라 무엇이 골치인가? 일인가, 연인인가, 아니면 곧 닥칠 이사인가? 보통 우리를 괴롭히는 문제에는 ...
    Date2018.10.26 Byflexmun Views517
    Read More
  4. 운동하지 않은 아빠 아이의 당뇨병 위험 올라간다.

    운동하지 않는 아빠가 낳은 아이는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부설 조슬린 당뇨병 센터 연구진은 예비 아빠의 운동 여부가 자식이 장차 성인이 됐을 때 대사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
    Date2018.10.24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5. 무시하면 안되는 몸에 신호 4가지

    몸에 열이 나거나 배가 좀 아프다고 해서 병원으로 달려가는 사람은 별로 없다. 하지만 약한 통증이나 경련과 같은 사소한 증상들이 생각지 못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버투아닷오알지’가 소개한 간과하기 쉬운 신체 경고 신호 4가지를 알아본다. 1. 뻑뻑한...
    Date2018.10.23 Byflexmun Views462
    Read More
  6. 50대이상 여성이 골다공증 환자에 94%차지

    폐경 이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증상이 없어 알아차리기 어려운 질환이 있다. 환자는 폐경 후 여성이 90% 이상이지만, 질환을 인지하는 여성은 24%밖에 안 된다. 골다공증이다. 50대 여성이 대부분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막으려면 증상이 없어도 정...
    Date2018.10.17 Byflexmun Views542
    Read More
  7. 30대 만성질환 원인 생활습관

    30대는 사회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다. 하지만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습관이 다른 연령대와 비교했을 때 좋지 않아 생활습관 개선 및 검진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6 ...
    Date2018.10.17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8. 왜 살이 안빠지지?? 생활습관 점검

    다이어트를 할 때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할 때가 있다. 주변에선 한 달에 5킬로그램, 심지어 10킬로그램을 뺐다는 소리도 들리는데, 정작 자신은 1킬로그램 빼기도 어렵다면? 여기엔 몇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체중 감량 속도가 더디다면 다음과 같...
    Date2018.10.17 Byflexmun Views486
    Read More
  9. 하버드대 의사 발기부전 약없이 치료하기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젊을 때처럼 활기차게 야구나 축구, 테니스 등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 이는 성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성생활의 걸림돌인 발기 부전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한다. 특정 약물의 부작용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약 75%는 ...
    Date2018.10.15 Byflexmun Views2740
    Read More
  10. 운동효과를 쉽게 못느끼는 이유가 있다.

    꾸준히 운동을 하지만 살이 좀처럼 빠지지 않는 등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당신의 운동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셰이프닷컴’이 소개한 잘못된 운동법 5가지를 알아본다. 1. 운동을 지치도록 한다 아침 5시부터 일...
    Date2018.10.09 Byflexmun Views489
    Read More
  11. 식후 15분만 걸어도 당뇨가 예방된다.

    걷기 운동은 특별한 장비나 경제적인 투자 없이도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유산소 운동이다.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 노약자, 임산부 그리고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거의 모든 이들이 쉽게 할 수 있다. ​​​​​​​ 걷기는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 및 ...
    Date2018.10.08 Byflexmun Views4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