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100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근육 발달을 위해 운동을 하면서 운동에 심취해보면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트레이너, 보조자 혹은 파트너쉽에 의한 강제반복은 몇회가 적당할까?" 

1.jpg

 

 

운동을 하다보면 주변에서 파트너쉽으로 운동을 하거나 PT를 받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재미있는 부분은 운동을 하는 주체가 운동을 하는 것인지? 트레이너/보조자가 운동을 하는 것이지? 모를 정도로 보조/강제반복을 하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는 것이다. 심지에 머신에 앉아서 들리지도 않는 중량으로 체스트프레스를 하는데 앞에서 서있는 트레이너가 머신으로 로우를 하고 있다. 체중까지 뒤에 실려있는 것을 보면 트레이너가 상당한 힘을 사용하고 있다. 보면서 항상 "누가 운동을 하고 있는 거지? 왜 저렇게 운동을 시킬까?"란 생각이 든다. 

 

어떤 사람들은 강제반복을 정해놓고 한다. 적어도 5회 정도의 강제반복을 해줘야 운동이 된다고 하면서 운동하는 사람의 상태는 보지도 않고 5회 정도 강제반복을 한다. 볼때마다 아이러니하다. 정말 누가 운동을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다. 만약 5회 강제반복을 할 때까지 운동하는 사람의 근육의 텐션을 유지하고 있으면 그 사람은 강제반복이 시작되는 시점에 자신의 힘을 최대한 쓰지 않은 상태일 것이다(강제반복의 시작점이 빨랐다). 이런 방식은 운동에 (+)가 아니고 (-)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2회 정도 강제 반복을 했는데 더이상 힘이 없어서 버티기도 안된다. 이 사람을 강제로 3회 더 시켜서 5회 강제반복을 시켰다. 텐션이 풀린 근육을 보조자에 의해 강제로 움직임 당한 것이다. 이 경우는 이 사람이 다음 세트를 할때 본인이 낼 수 있는 힘을 제대로 못쓰게 한다. 이 역시도 운동에 (+)가 아니고 (-)라고 볼 수 있다. 심지어 이럴 경우 근육의 긴장이 풀렸기 때문에 부상을 당할 가능성도 증가된다.

 

strength-and-the-muscular-system-10-638.jpg

 

그렇다면 적절한 강제반복의 수는 몇개일까? 정확히 말하면 네거티브 동작이 안되는 순간 강제반복은 끝나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벤치프레스를 했다. 100kg으로 4개째를 할 때 까지는 동작이 자력으로 일어났지만, 5개째 밀어 올리는 도중에 다 올라오지 않았고 보조자가 살짝 도와줘서 수축을 완성했다. 신전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해서 네거티브를 다시 걸었고 이번엔 아예 밀리지 않아 보조자가 힘을 더해서 수축을 다시 완성했다. 다시 네거티브를 거는데 이번에는 네거티브를 걸다가 저항이 없어지고 "훅"하고 내려갔다. 이때부터는 들어주는 행위가 의미없는 것이다. 

 

위의 경우 처음에는 내리는 동작은 되었고 올리는 동작이 완성이 되지 않아 약간의 보조가 들어갔다. 두번째 반복에서는 내리는 동작은 되었지만 올리는 동작은 아예 일어나지 못했고 보조를 통해 완성했다. 세번째 동작에서는 내리는 동작 조차도 되지 않아 저항이 풀려버렸다. 이때 강제반복을 해서 갯수가 추가되어도 사실 그 사람의 해당 근육은 운동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강제반복은 대부분 2회 정도가 적당하다. 물론 강제반복의 시작점 설정을 잘해야 한다. 그 사람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뽑아내어 포지티브 동작이 완성이 안되는 시점이 강제반복의 시작점이다. 포지티브 완성 보조 1회, 포지티브 보조 1회 정도면 네거티브 동작이 안되는게 정상이다. 2회 정도 보조를 했는데 네거티브가 된다? 라면 아마도 포지티브 완성을 보조하는 시점이 빨랐다는 얘기이다. 그 사람은 그 포지티브 동작을 혼자서 완성할 수 있었다고 봐야 한다(물론 예외도 있긴 할 것이다).

 

강제반복을 효과적으로 하면 근성장에 확실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ALL-OUT성 운동을 할 때, 매 세트를 최대 반복을 하고 올라왔다면 6회 이하로 반복되는 중량에서 2회 반복 증가는 엄청난 도움이 될 부분이다. 하지만 강제반복을 잘못하면 운동 효과를 반감시키고(다음 세트에 본인 스스로 제대로 운동을 못하게 한다), 심지어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할 것이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글 감수 : 오경모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4
    read more
  2. 오래 앉아 있는건 흡연만큼 해롭다.

    오래 앉아 지내는 것이 흡연만큼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 연구진은 18세 이상 미국 성인을 대표하는 샘플 6000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했다. 회사와 집, 그리고 출근길을 합쳐서 매일 앉아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그...
    Date2018.11.22 Byflexmun Views429
    Read More
  3. 몸속에 염증을 없애자 두번째

    추운 날씨 혹은 통증이나 부상 때문에 운동을 하기 힘들다고? 그렇다면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라. 목욕이 운동과 마찬가지로 염증을 다스리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운동을 하면 우리 몸에 ‘염증 반응’이란 게 일어난다. 단기적으...
    Date2018.11.20 Byflexmun Views598
    Read More
  4. 몸속에 염증을 없애자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인 염증은 건강한 삶을 위해 우선적으로 신경을 써야하는 것이다. 염증은 관절염을 비롯해 심장병, 당뇨병, 심지어는 암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프리벤션닷컴’이 체내 염증을 퇴치하는 법 4가지를 ...
    Date2018.11.19 Byflexmun Views699
    Read More
  5. 매일 몸무게를 재면 체중이 3배로 많이 빠지고, 군것질하는 횟수가 줄어든다 /듀크대학교

    피츠버그대 연구팀, 1042명 분석… 신체 상태 자각, 체중 감량 효과 살을 빼려면 매일 체중계에 올라가자. 매일 몸무게를 재는 게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성인 1042명의 1년간 체중 재는 습관과 체중 ...
    Date2018.11.15 Byflexmun Views658
    Read More
  6.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이 우울증을 우발한다.

    과체중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거에도 비만과 우울증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있었으나, 둘 사이의 인과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즉, 살이 쪄서 우울한 건지, 우울해서 살이 찌는 건지 불명확했다. 그러나 영국과 호주의 연구진이 13일...
    Date2018.11.14 Byflexmun Views381
    Read More
  7. 겨울철 운동이 좋은 이유 3가지

    기온이 떨어질수록 운동 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옷을 잘 차려 입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춥고 건조한 바람은 운동하는 것을 쉽지 않게 만든다. 하지만 이런 환경을 딛고 추울 때 운동을 하면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치트시트닷컴’이 추운 겨울에 운동을 하면...
    Date2018.11.12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8. 관절이 안좋을때 운동하는 방법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쉬어야 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비활동적인 생활이 관절 퇴화와 염증 악화를 더 부추길 수 있다. 관절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산소와 근력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프리벤션닷컴’이 관절이 좋지 않을 때 ...
    Date2018.11.08 Byflexmun Views525
    Read More
  9. 운동을 중단하면 나타는 증상들

    ‘가다가 중단하면 아니간만 못하다.’ 이 속담은 운동에도 해당한다. 운동을 꾸준히 하다 중단하면 디트레이닝(detraining)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트레이닝 즉, 운동에 의해 증가한 에너지, 즉 운동 효과가 트레이닝을 중단하면 감소되는 과정을 말한...
    Date2018.11.05 Byflexmun Views487
    Read More
  10. 어깨통증 방치하면 큰일 난다.

    흔히 오십견으로 불리는 동결견(유착성 견관절 낭염)은 어깨 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 막에 염증이 생겨 관절 막이 딱딱하게 굳고 엉겨 붙어 어깨 운동 범위가 감소하고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주로 팔을 들거나 손을 뒤로 할 때 통증이 있고 특히 야간에 통...
    Date2018.11.01 Byflexmun Views561
    Read More
  11. 간단한 독감예방법 4가지

    환자가 기침, 재채기로 뿜은 독감 바이러스는 가구 등의 표면에서 최장 16시간까지 생존할 수 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가 질긴 생명력의 독감 바이러스와 싸우는 방법을 정리했다. 독감은 세 가지 방식으로 전파된다. 먼저 환자와 직접 접촉이다. 악...
    Date2018.10.31 Byflexmun Views3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