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19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jpg

 

누워 있거나 앉았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머리가 ‘핑~’ 도는 현기증을 느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 번쯤 겪어본 분들이 많을 텐데요, 심하다면 무심히 넘어가면 안 됩니다.

많은 사람이 그저 빈혈이겠거니 하고 가볍게 넘기거나, 빈혈에 좋다는 음식이나 영양제를 챙겨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빈혈이 아닐 수 있습니다. 바로 빈혈과 비슷하게 느껴지는 기립성 저혈압이라는 게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SBS '라이프'에서는 매해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 알아봅니다.

■ 증상 비슷한 빈혈과 기립성 저혈압

빈혈과 기립성 저혈압일 경우, 대표적인 증상으로 낮은 자세로 있다가 일어날 때 어지럼증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빈혈은 핏속의 적혈구(헤모글로빈)가 부족한 것이고, 저혈압은 혈압 자체가 낮아서 적혈구가 부족하지 않지만 부족한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입니다.

 

▶ 빈혈이란?
빈혈(貧血) 말 그대로 피가 부족하다는 뜻인데, 의학적으로는 피 자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핏속에 적혈구 성분이 부족한 것을 말합니다. 또는 적혈구는 부족하지 않더라도 산소공급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입니다.

빈혈은 외관상으로는 얼굴이 창백하고 눈꺼풀 아래를 확인하면 빨갛지 않고 하얗습니다. 하지만 기립성 저혈압은 적혈구가 아닌 혈압의 문제입니다.

 

1.jpg

 

▶ 기립성 저혈압이란?
혈압은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우리 몸과 뇌까지 무리 없이 원활하게 잘 전달하게 합니다. 혈압이 100mmHg(수은주 밀리미터), 이상일 때 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정상 수치는 수축기 혈압 120mmHg, 확장기 혈압 80mmHg입니다. 하지만 기립성 저혈압 환자는 이보다 10에서 20mmHg가 낮습니다.

보통 수축기 혈압 100mmHg 이하, 확장기 혈압 60mmHg 이하인 경우, 또 그 상태가 3분 이상 지속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기립성 저혈압…왜 '핑' 도는 걸까?

일반적으로 사람이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는 중력에 의해 혈액이 하체로 몰립니다. 그러다 일어나면 신경 반사기구에 의해 혈압이 유지되면서 아래로 몰린 혈액이 다시 온몸으로 보내집니다.

하지만 기립성 저혈압인 사람의 경우, 이런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하체로 몰렸던 혈액이 일시적으로 심장과 뇌까지 도달하지 못해 머리가 '핑' 도는 어지럼증을 겪게 되는 겁니다.

혈액이 시신경과 관련된 후두부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 눈앞이 캄캄해지고 그 자리에 주저앉는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 기절하기까지 하는데요, 장시간 서 있을 때도 이런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별다른 증상 없이도 혈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저혈압이 고혈압보다 무서운 이유

기립성 저혈압의 문제는 외상(外傷) 입니다. 앉았다 일어날 때 어지러워서 쓰러지거나 의식을 잃을 때 다른 다칠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노인 실신 원인 중 1/3을 차지하기도 합니다. 고령자의 경우 순간적으로 몸을 가누지 못하고 쓰러지면 뇌진탕이나 골절 등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한 현기증은 20년 후엔 치매로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 연구에 따르면, 45~64세 중년 남녀 1만1503명을 대상으로 약 20년간 조사한 결과, 중년에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났던 사람들이 노년에 치매에 걸릴 위험이 4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 롤링스 박사는 기립성 저혈압이 순간적으로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일과성 현상이라 하더라도, 뇌의 혈류를 감소시켜 장기적으로는 뇌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혈압으로 치매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저혈압도 치매의 원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린 겁니다.

 

■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은 한가지로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평소 항고혈압제, 정신질환치료제, 안정제 등을 오랫동안 복용했을 때 생긴다는 연구 결과도 있고요, 당뇨나 만성 알코올 중독증, 류마티스 질환 등 만성질환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또 심장병에 쓰는 혈관확장제를 복용 중일 경우 약이 인위적으로 혈관을 늘려 수축 기능을 낮추기 때문에 기립성 저혈압이 생기기 쉽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2.jpg

 

■ 생활습관으로 예방하자

기립성 저혈압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증상이 있다고 모두 직접적인 치료를 하는 건 아닙니다.

원인 질환에 대한 검사를 통해 부작용이 나타나는 약물을 찾아 조정하고, 수액을 공급하거나 저혈압 방지 약물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생활습관을 바꿔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기획·구성: 김도균, 송희 / 디자인: 김은정)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115159&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1. 디톡스 어디까지 믿어야하나?

    ■유행하는 디톡스요법, 정말 독을 빼줄까 ■효과 검증된 디톡스 방법은? 요즘 TV 건강·미용 프로그램을 보면 체내 독소 배출에 도움을 준다는 각종 ‘디톡스요법’이 연일 소개된다. 특히 세계적인 가수 비욘세, 배우 기네스 펠트로, 모델 미...
    Date2017.05.01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2.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비만, 냉증을 예방 개선할 수 있다?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비만, 냉증을 예방 개선할 수 있다? 열 생산의 열쇠를 쥐고 있는 단백질「살코리핑」 “근육박사” 石井直方先生(東京大学教授)이, 근육의 메커니즘이나 기능을 매회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이번에도, 몸 속에서 열을 만들...
    Date2017.04.27 Byflexmun Views310
    Read More
  3. 다이어트 음료 마시면 뇌졸중·치매 위험 3배 높아진다

    다이어트 소다로 불리는 탄산음료를 지속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치매와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미국 USA투데이와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심장학회(AHA) 학회지 '스트로크(Stroke)'는 다이어트 소다를 즐...
    Date2017.04.24 Byflexmun Views377
    Read More
  4. 제로칼로리 설탕 감미료 오히려 지방 축적 촉진"

    설탕이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단맛을 내는 설탕 대체제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저열량 인공감미료를 많이 섭취할 경우 오히려 지방 축적을 촉진하고 대사활동을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워싱턴대학...
    Date2017.04.21 Byflexmun Views330
    Read More
  5. 지방이 빠지는 순서?

    다가올 여름을 위해서 몸매관리 하고 계시나요? 여성분들은 유난히 자신의 몸매 중 특정부위 살만 빠졌으면 좋겠다고 얘기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과연 신체부위에 따라 지방이 축적되거나 빠지는 순서가 있을까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지방이 인체에 ...
    Date2017.04.20 Byflexmun Views1074
    Read More
  6. 비타민B, 미세먼지로부터 심장 보호

    각종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공기는 심장에 해를 끼친다. 그런데 비타민B 보충제를 꾸준히 섭취하면 이런 악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연구팀의 안드레아 바카렐리 박사는 “오염...
    Date2017.04.17 Byflexmun Views181
    Read More
  7. 피로 유발하는 식습관 5가지

    잠도 잘 자고 운동도 꾸준히 하고 있는데 활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몸이 처지고 기운이 없다면 당신의 식생활을 한 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의 몸은 음식으로부터 얻는 영양분과 에너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엇을 어떻...
    Date2017.04.17 Byflexmun Views250
    Read More
  8. 심장에 좋은 식사하면 뇌건강에도 좋다

    알츠하이머 예방을 위한 최신 식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혈관과 심장 건강에 좋은 식사가 뇌 건강을 지키는데도 가장 도움이 된다. 뇌 건강을 위한 최신 식사지침으로는 ‘캐나다 뇌 건강 음식 안내(Canadian Brain Health Food Guide)’와 미국 하...
    Date2017.04.14 Byflexmun Views311
    Read More
  9. 귀리 농약기준 설정, 식약처 한발 늦은 대응

    2016년 8월 23일, 우리 국민의 식품안전을 책임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서는 세계적인 오트밀 생산/유통 기업인 퀘이커사의 퀵 오츠 및 오트밀 관련 제품에 잔류농약 Glyphosate 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긴급 회수 명령을 내렸다. 이 보도자료로 인하여 ...
    Date2017.04.12 Byflexmun Views3646
    Read More
  10. 기립성 저혈압 방치땐 치매온다

    누워 있거나 앉았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머리가 ‘핑~’ 도는 현기증을 느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 번쯤 겪어본 분들이 많을 텐데요, 심하다면 무심히 넘어가면 안 됩니다. 많은 사람이 그저 빈혈이겠거니 하고 가볍게 ...
    Date2017.04.06 Byflexmun Views19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