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2017.04.20 09:27

지방이 빠지는 순서?

조회 수 107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ercise-841167_960_720.jpg

 

다가올 여름을 위해서 몸매관리 하고 계시나요?

여성분들은 유난히 자신의 몸매 중 특정부위 살만 빠졌으면 좋겠다고 얘기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과연 신체부위에 따라 지방이 축적되거나 빠지는 순서가 있을까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지방이 인체에 주로 축적되는 부위는 나이, 성별, 유전적 요인, 호르몬,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합니다.

지방이 축적되는 부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성호르몬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성호르몬은 지방축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서 주로 엉덩이(Hip)와 넙적다리에 지질을 축적시킵니다. 그래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지되는 폐경기 이후의 여성은 허리와 복부에 지방이 많이 축적됩니다.

plus-size-2136549_1920.png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받아 피하지방이 여성보다 적고, 여성호르몬이 적어서 허리와 복부에 더 많은 지방이 축적됩니다.

man-2021062_1280.jpg

 

인체의 지방조직은 크게 내장지방피하지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내장지방이 약 20%, 피하지방이 약 80% 입니다. 내장지방량은 당뇨병과 고지혈증, 그리고 심혈관계질환의 발생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탄수화물이든, 지방이든, 단백질이든 에너지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이 넘치는 에너지원은 인체의 지방조직에 저장됩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피하지방보다는 간, 심장, 창자 등 내장지방에 저장되기 쉽습니다.

 

인종에 따라서도 지방분포가 영향을 받습니다. 

한국인과 같은 아시아인은 유럽인에 비해 몸통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기 쉽고, 내장지방이 많습니다. 또 지중해연안에 사는 여성들은 허벅지 바깥부위에 지방조직이 발달하기 쉽습니다.

 

 

그렇다면 지방은 어떻게 빠지는걸까요?

우리의 바람과는 달리 인체특정부위의 지방만을 선택해서 뺄수는 없습니다. 체중이 감소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부위가 먼저 빠지는 것이 아니라 마치 양파껍질이 벗겨지듯 몸 전체의 지방층에서 지방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은 특정부위에서 비례적으로 더 많은 지방이 감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인체의 모든 부위에서 지방이 감소되지만, 특정부위가 비교적 더 많은 지질분해가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방의 감소는 인체가 소비하는 전체에너지량에 비례해서 일어나는 것이어서 특정부위를 운동한다고 해서 그 부위의 지방이 연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체지방은 가장 최근에 지방이 축적된 부위, 즉 가장 나중에 지방이 축적된 부위부터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몸통부위에 가장 먼저 지방이 축적되었다면 이 부위의 지방이 가장 나중에 빠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것은 왜 남자들은 다이어트를 통해 얼굴의 살은 빠졌는데, 뱃살은 그대로인지 모르겠다고 불평하는 이유입니다. 여성들은 다이어트 후에 가슴은 작아졌는데 힙의 크기는 별로 줄지 않았다고 불평하기도 합니다.

 

운동이나 단식을 할 때 신체부위에 따라 지방이 감소되는 순서가 나타나는 이유는 카테콜아민과 결합하는 두 종류의 수용체인 알파(α)와 베타(β) 수용체의 분포가 신체부위별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운동이나 저혈당에 의해 부신수질로부터 분비가 자극된 카테콜아민이 베타 수용체와 결합하면 지방조직에 분포된 혈관이 확장되어 더 많은 혈류가 흐르고, 지방분해효소인 HSL (Hormon-Sensitive Lipase)가 활성화됩니다. 반면 카테콜아민이 알파 수용체와 결합하면 그 부위의 혈류량이 감소하고, HSL의 활성도도 감소합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은 알파수용체의 수와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과도하게 섭취한 칼로리는 하체와 엉덩이부위에 우선적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셀룰라이트 (Cellulite)가 형성된 지방조직은 지방이 감소하기 더 어려운데, 이는 섬유성 결체조직의 그물망이 지질분해에 의해 지방산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즉, 지방이 감소됨에 따라 그물모양의 섬유조직으로 인한 압박이 증가하고, 이는 혈류의 공급을 저해하여 지방의 추가적인 제거를 어렵게 합니다.

 

 

남성은 체중감량에 의해서 내장지방이 더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여성은 피하지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리고 다이어트만을 할 경우에는 내장지방이 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체중은 줄었지만, 외견상 변화는 없다고 불평하는 원인이 됩니다. 운동이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을 모두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데에 거의 대부분의 연구가 일치하고 있습니다. 운동을 통해 체중이 5~10% 감소하면 내장지방은 약 10~30% 감소하는 효과를 거둡니다. 연구에 따르면 가임기 여성에게 식사조절과 운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시켰더니 내장지방이 가장 먼저 감소하고, 다음은 복부와 피하지방, 그리고 하체의 피하지방의 순서로 살이 빠졌다고 합니다.

 

 

 

 

active-19413_960_720.jpg

 

 

 

 

 

요약 : 체지방은 가장 최근에 지방이 축적된 부위, 즉 가장 나중에 지방이 축적된 부위부터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알아두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체지방 감량에 있어 우리몸은 양파의 전체 껍질하나가 벗겨지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는 것입니다. 개개인마다 생김새와 몸매와 체형이 다르듯이, 체지방이 집중되는 부위도 다르기 마련입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없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부위의 체지방만 쏙 빠지고 다른 부위는 그대로 두고 싶어하는 게 사람마음이지요.

하지만 우리몸은 노력을 배신하지 않습니다. 참고 한번 더, 하루 더, 조금만 더 하면 꼭 좋은 결과가 생깁니다^^

 

출처  몬스터짐 PT-rex


  1. 디톡스 어디까지 믿어야하나?

    ■유행하는 디톡스요법, 정말 독을 빼줄까 ■효과 검증된 디톡스 방법은? 요즘 TV 건강·미용 프로그램을 보면 체내 독소 배출에 도움을 준다는 각종 ‘디톡스요법’이 연일 소개된다. 특히 세계적인 가수 비욘세, 배우 기네스 펠트로, 모델 미...
    Date2017.05.01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2.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비만, 냉증을 예방 개선할 수 있다?

    근육을 늘리면, 당뇨병, 비만, 냉증을 예방 개선할 수 있다? 열 생산의 열쇠를 쥐고 있는 단백질「살코리핑」 “근육박사” 石井直方先生(東京大学教授)이, 근육의 메커니즘이나 기능을 매회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이번에도, 몸 속에서 열을 만들...
    Date2017.04.27 Byflexmun Views310
    Read More
  3. 다이어트 음료 마시면 뇌졸중·치매 위험 3배 높아진다

    다이어트 소다로 불리는 탄산음료를 지속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치매와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미국 USA투데이와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심장학회(AHA) 학회지 '스트로크(Stroke)'는 다이어트 소다를 즐...
    Date2017.04.24 Byflexmun Views377
    Read More
  4. 제로칼로리 설탕 감미료 오히려 지방 축적 촉진"

    설탕이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단맛을 내는 설탕 대체제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저열량 인공감미료를 많이 섭취할 경우 오히려 지방 축적을 촉진하고 대사활동을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워싱턴대학...
    Date2017.04.21 Byflexmun Views330
    Read More
  5. 지방이 빠지는 순서?

    다가올 여름을 위해서 몸매관리 하고 계시나요? 여성분들은 유난히 자신의 몸매 중 특정부위 살만 빠졌으면 좋겠다고 얘기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과연 신체부위에 따라 지방이 축적되거나 빠지는 순서가 있을까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지방이 인체에 ...
    Date2017.04.20 Byflexmun Views1074
    Read More
  6. 비타민B, 미세먼지로부터 심장 보호

    각종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공기는 심장에 해를 끼친다. 그런데 비타민B 보충제를 꾸준히 섭취하면 이런 악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연구팀의 안드레아 바카렐리 박사는 “오염...
    Date2017.04.17 Byflexmun Views181
    Read More
  7. 피로 유발하는 식습관 5가지

    잠도 잘 자고 운동도 꾸준히 하고 있는데 활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몸이 처지고 기운이 없다면 당신의 식생활을 한 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의 몸은 음식으로부터 얻는 영양분과 에너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엇을 어떻...
    Date2017.04.17 Byflexmun Views250
    Read More
  8. 심장에 좋은 식사하면 뇌건강에도 좋다

    알츠하이머 예방을 위한 최신 식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혈관과 심장 건강에 좋은 식사가 뇌 건강을 지키는데도 가장 도움이 된다. 뇌 건강을 위한 최신 식사지침으로는 ‘캐나다 뇌 건강 음식 안내(Canadian Brain Health Food Guide)’와 미국 하...
    Date2017.04.14 Byflexmun Views311
    Read More
  9. 귀리 농약기준 설정, 식약처 한발 늦은 대응

    2016년 8월 23일, 우리 국민의 식품안전을 책임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서는 세계적인 오트밀 생산/유통 기업인 퀘이커사의 퀵 오츠 및 오트밀 관련 제품에 잔류농약 Glyphosate 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긴급 회수 명령을 내렸다. 이 보도자료로 인하여 ...
    Date2017.04.12 Byflexmun Views3646
    Read More
  10. 기립성 저혈압 방치땐 치매온다

    누워 있거나 앉았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머리가 ‘핑~’ 도는 현기증을 느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 번쯤 겪어본 분들이 많을 텐데요, 심하다면 무심히 넘어가면 안 됩니다. 많은 사람이 그저 빈혈이겠거니 하고 가볍게 ...
    Date2017.04.06 Byflexmun Views19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