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추와 코어 안정화 가이드
1. 척추의 기본 구조와 특징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천장관절로 구분되며, 각 부위마다 기능과 움직임의 특징이 다릅니다.
2. 척추 관절과 인대
주요 인대의 기능
3. 체간 근육의 역할
체간 근육은 움직임과 안정성을 동시에 담당합니다.
움직임 | 주요 근육 |
---|---|
신전 | 척추기립근, 다열근, 두·경·흉·요부 근육 |
굴곡 | 복직근, 내·외복사근 |
측굴 | 내·외복사근, 요방형근, 기립근 |
회전 | 내·외복사근, 회선근 |
복압 조절 | 횡격막, 복횡근, 복직근, 골반기저근 |
이 근육들은 서로 협력해 자세 유지, 움직임의 효율성, 부상 방지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4. 코어 안정화의 원리
자세 평가 포인트
5. 근육 이완과 호흡 조절
효율적인 이완과 호흡은 척추 안정화 훈련에서 필수입니다.
호흡 패턴 교정
이완 및 스트레칭
요통 환자 호흡 훈련
-
-
경추(Cervical)
경추는 움직임이 가장 크고 회전 중심 역할을 하지만 구조적으로 불안정합니다.
주요 움직임: 회전, 굴곡, 신전 -
흉추(Thoracic)
늑골과 연결되어 상체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주로 측면 굴곡이 이루어집니다.
주요 움직임: 측굴, 제한적인 회전 -
요추(Lumbar)
체중을 지탱하고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굴곡과 신전은 잘 되지만 회전은 제한됩니다.
주요 움직임: 굴곡, 신전 -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상·하체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움직임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한 부위입니다.
-
추간판(디스크): 척추 길이의 약 25%를 차지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후관절(Facet Joint): 척추 움직임의 방향을 안내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전종인대: 과도한 신전 방지
-
후종인대: 굴곡 제한
-
황인대: 요추의 탄력 유지
-
극상·극간인대: 척추 정렬을 유지하고 안정성 강화
-
복횡근 활성화: 복횡근의 수축은 흉요근막을 안정화시켜 척추를 지지합니다.
-
발살바 호흡: 적절히 사용하면 척추 압박을 줄여주지만,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스쿼트에서 요추 굴곡 발생: 코어 약화나 둔근의 기능 저하 가능성
-
플랭크·푸시업에서 허리 과신전: 고관절 굴곡근의 단축 의심
-
싯업에서 골반 비틀림: 복부 측면 근육의 불균형 가능성
-
사각근·흉쇄유돌근의 과도한 사용을 줄이고, 횡격막을 중심으로 안정된 호흡을 유도합니다.
-
복직근과 복사근의 과도한 긴장을 풀어주고, 측면 복부 스트레칭으로 흉곽의 움직임을 확보합니다.
-
골반을 중립 위치로 유지하고 흉곽 확장을 활용해 복압을 조절하며 척추 안정화를 유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