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eskorea 

- 6주차 교육내용 정리- 소메코 이영진 대표님

- 레그컬은 '반막/반건양근'을 활성화 시킨다

- '스티프 데드리프트'는 대퇴 이두 장두와 슬괵근 기시부를 활성화 시킨다

           ※좌식생활을 오래하면 기시부가 늘어난다, 정지부는 짧아진다

                       = '후방경사'는 반대

- '반막/반건양근' 좌식생활 하는 사람 더 타이트

                 = 여성들의 경우 '반막양근'이 더 뻣뻣

                 = '반막양근'이 더 깊게 위치 해 있다

- '장/단 비골근'을 풀어줄땐 '내번' 하면서 풀어준다

- 장비골근 기능중 하나가 저측굴곡

           = 새끼 발가락에 힘 주고 '카프레이즈''를 하면 발목 관절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

- 장경인대는 '요방형근'과도 연결이 되어 있다

          = 뻣뻣해지면 허리가 아프다

                Ex) 양반다리 하고 앉을 때 허리가 아픈 경우

 

[T-21, 저항이 있는 몸통 회전 검사]

- 무릎 90도 굴곡, 골반도 90도 굴곡, 척추는 완만한 굴곡을 만든다(= 앞쪽 근육을 수축시켜 고정)

- T1을 중심으로 회전 가동범위를 확인 할 것

- 결과: 좌/우 35도의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 한 쪽으로만 제한이 있지는 않은지, +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으로 응용

 


- '견갑거근'중 견갑골의 상각이 벌어져 있다면 '견갑거근'이나 '소능형근' 정지부 쪽에 문제가 있는 것

 


[T-22, 저항이 있는 경추 회전 가동범위 검사 - 경/두판상근 test]

- 플랭크 자세에서 코 끝을 바라보기(= 기준으로)

       = 턱 끝을 당겨서 경추의 정상 정렬을 만든다

         -> 목 주변 근육 중 신전근이 작용한 상태에서 회전 가동범위를 측정한다

          = 회전에 제한이 있는 쪽 신전근이 움직임을 방해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Ex) 오른쪽으로 회전이 제한 될 경우 오른쪽 경추신전/외측 굴곡근이 뻣뻣한 것

- 보상작용: 경추의 신전, 경추의 외전, 좌/우 90도의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 '능형근'과 '전거근'은 '길항관계'이다

          -> 능형근이 늘어나면 전거근은 수축한다

          -> '능형근'은 내측연 위주로 풀어주자


[T-23, 엎드려서 팔 들어올리기 검사]

- 중둔근 옆으로 다리 외전할 때 사용

       = 전체 외전근 횡단면적의 60%를 차지한다

       = 전/후 섬유로 구분한다

              -> '전 섬유'는 '소둔근'과 '후 섬유'는 '대둔근'과 기능이 같다

                         Ex) 옆으로 들어올려 뒤로 들때

                            = 앞 쪽 풀어주고 뒷 쪽 강화시켜 주어야 한다

              -> '전 섬유'는 고관절 내회전, 후 섬유는 신전시키면서 외회전 한다


- 골반이 전방경사인데 둔근이 발달하여 있으면 '별 다른 문제가 없다'

         = 'TFL'과 둔근이 발달 되어 있지 않은 경우

                 -> '대 내전근', '반막/반건 양근'의 긴장도가 높아져 있을 것

         = '둔근'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은 '장요근'이 잘 발달 되어 있다는 것.

                 -> '대둔근'과 '장요근'은 길항관계 (= 둔근이 길면 장요근도 길다)

                              = 횡단면적도 비례

                              = 둔근 발달이 안되어 있고 전방경사이면, '장요근 타이트'가 아님

                                     -> 다른문제이다 'TFL'이 범인 일 수도 있다

                                                 Ex) 하이힐


[비골근, 장/단/제 3비골근]


[장비골근, Peroneus longus, 긴 종아리 근]

- 기시: 비골의 외측면의 위 2/3

- 정지: 내측 설상골의 외측부, 제 1중족골의 저부
           
        (= Lateral side of medial Cuneiform, base of first metatasal)

- 작용: 발을 복측굴곡 시키고, 외번시킨다

         = 저측굴곡

- 신경: 천비골신경(L4,L5,S1)

 

[단비골근, Peroneus Brevis, 짧은 종아리근]

- 기시: 비골의 외측면의 아래 2/3

- 정지: 제 5중족골의 저측 외측부

- 작용: 발을 외번, 저측굴곡

- 신경: 천비골신경(= 얕은 종아리 신경, L4,L5,S1)

 

[제 3비골근, Peroneus Tertius, 종아리근]

- 기시: 비골의 전면 아래 1/3과 뼈의 골간막

- 정지: 제 5 중족골의 저부의 배면

- 작용: 발은 배측굴곡, 외번

- 신경: 심비골 신경(= 깊은 종아리 신경, L4,L5,S1)

 


- External & Internal oblique - 외/내 복사근

           = 상부/하부로 나뉘며 이는 복직근 상/하부 섬유와 같이 일을 한다

              ※일을 안하게 되면 '요방형근'이 사용된다

                   = 요방형근은 '심부외측선' 이기도 하고 '심부 전방선' 이기도 하다


- Quadratus lumborum - 요방형근, The deep lateral line

- 뒷 쪽이 아닌 옆 쪽에 있다

- 피해자, 흉요근막과 연결, 숨을 들이 쉴 때 사용된다

- 남자는 '장경인대', 여자는 '중둔근' 일을 안할때 흔들릴때 요방형근이 사용된다

- 스트레칭시 장경인대 누르며 몸을 늘려준다

- IT Band 긴장시 TFL도 같이 뻣뻣해지는 경우

          = 외복사근이 장골 부착부를 끌어내려 '외/내 복사근'이 약화되어 제 일을 못함

                  = 안정목적의 근육, 피해자는 요방형근

                         -> 척추 과 사용시 피해를 입음


[Intercostalis, 늑간근]

   = '횡격막', '외 늑간근' 흡기시 사용 -> '횡격막' 수축

          -> 부수적으로 SCM(= 외측선), 사각근(= 심부 외측선) 사용

                   = '외 늑간근'이 튼튼해야 몸이 흔들리지 않는다

- 앞 쪽은 SCM, 뒷 쪽은 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 나선선은 회전할 떄와 평소 자세 30% 미만시 사용

- 대퇴 이두는 '제 4 슬괵근' 이라고도 불리운다

           = '대퇴 이두 단두'와 '대 내전근' 후부섬유와 연결

                  -> '제 4의 슬괵근'

              = 여성 스쿼트시 내전근 스트레칭 해야 둔근이 잘 사용 될 것.

 

[외/내 복사근과 요방형근]

 

[외복사근, Oblquus Externus Abdominis, 배 바깥 빗근]

- 기시: 아래쪽 8개 늑골

- 정지: 장골능의 전면부, 복건막(= 배널 힘줄에서 백색선)

- 작용: 배의 내용물에 압축, 척추 기둥을 외측굴곡, 회전시킴

- 신경: 8~12번 늑간신경, 천골의 하부(= 엉덩 아랫배 신경), 천골 서혜부(= 엉덩 샅굴 신경)

 

[내복사근, Oblquus Internus Abdominis]

- 기시: 서혜부(샅굴) 인대의 외측 절반, 장골능, 흉요부 근막

- 정지: 제 3,4 늑골의 기저부의 연골, 복건막에서 백색선

- 작용: 배의 내용물의 압축, 척추기둥의 외측굴곡 및 회전

- 신경: 외복사근과 동일.

 

[요방형근, Qudratus Lumborum]

- 기시: 장요인대, 장골능

- 정지: 12번 늑골, 위쪽 4개의 요추 뼈의 횡돌기

- 작용: 척추의 외측 굴곡, 강한 호기를 위해 늑골을 고정

- 신경: T12,L1

 

- '나선선'은 교차는 하지 않는다, 운동강도의 30%이하시 사용

            Ex) 오른쪽 다리 + 오른쪽 허리

                      But 기능선은 반대로 교차 사용

                오른쪽 다리, 왼쪽 허리


- 흉요근막(★★★) - Thoracolumbar Fascia, TLF

           = '대둔근'과 '슬괵근' 과의 연관,,,

            = '왼쪽 대둔근'과 '오른쪽 기립근' 과 연결

              = '오른쪽'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둔근 발달시 '왼쪽기립근' 사용 O

               = '슬괵근'이 쓰이면 '오른쪽 기립근' 사용 X


- 견갑거근과 극상근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외측선은 표면 전/후방선을 서로 연결 시켜준다, 핵심은 TFL

     -> 한 쪽 다리로 딛고 있을떄 불균형(= 활성화)

               Ex) '스플릿 스쿼트'는 '스쿼트' 보다 '대둔근'이 활성화 된다

 


[불균형은,,,]

- 근육은 앞뒤로 있는데 눈은 앞에 달려있어서, 몸통은 하나인데 사지가 달려있으니 좌/우측 불균형

- '장경인대'와 '대둔근'은 연결 되어 있다

- TFL 사용시 - 전상 장골극 아래로 끌어 내려감 (= 외복사근 늘어남)

             = 몸통안정 X

               = 몸통이 회전되어 진다

                 = 요추 피해

- 낮은강도(= 걸을때)에서 활성화 되는 경우보다 달릴때 더 활성화

               ※외측선 안쓰이면 고관절 신전근 사용.

                       ex)대둔근, 내전근 후부섬유, 슬괵근

- 표면 전방성 활성화

   = 무릎, 허리 아픔

       -> TFL, IT Band를 잘 풀어 주어야 한다

 

[흉요근막, Thoracolumbar fascia, TLF]

- 전/중/후 로 3가지로 구성(= 심층, 중간층, 천층)

- 대부분 콜라겐 탄성섬유로 구성

- 골반, 척추, 늑골 뼈에 붙은 근육을 감싸고 있다

- 광배, 대둔근, 장요근, 요방형근, 능형근 등을 연결한다

    = 몸통과 hip을 움직이는데 상당한 역할.

      = 상지와 하지 움직임을 통합(= 힘의 분산)

          -> 척추가 회전할 때 각 근육의 수축을 도움


[T-17, 척추 외측굴곡 가동범위 검사]

        = 외측선 통합 test

= 보상작용으로 척추의 회전

     = T1에서 L5의 외측굴곡이 45도가 normal

         = L5와 S1사이에서 과도한 외측굴곡을 관찰한다

            = 좌/우 가동범위가 같은가>

                = 빌딩이 기울 듯 기울지는 않는가?

- 손을 머리위로 올리고 주관절을 90도 굴곡한다. 척추를 회전시키지 않고

  순수한 외측 굴곡을 한다

- 무릎을 굽히고 앉는 이유는 하체에서 일어나는 보상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이다

       = 서서하면 골반의 움직임이 많이 일어난다(= 보상작용)

               -> 익숙하지 않으면 혼란, 제한하기 위해 무릎을 굽히고 앉음

          ※아예 무릎을 꿇으면 골반의 굴곡이 생기니 반만 꿇는다

- 앞쪽 타이트 하면 몸통이 앞으로 틀어질것.

- 공간의 차이도 보기(= 기립근의 불균형도 볼 수 있다)

 


- '장경인대' 갈어/짧아지면서 약화 가능

              = 뻣뻣해진다


       -> 장경인대 중심으로 풀어주자(= 기시부, 정지부 따라)

      = 장골~경골까지 부착되어 '장경인대'

     - 다리 굽혔다 펴주며 장경인대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 해 주기

- 비골은 '외/내번'의 역할을 한다


[T-18, 다리 옆으로 들고 버티기 검사 (= hip abduction)]

-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지면과 수평하게 들고 5초간 등척성 수축 상태를 유지

          = 반대쪽 다리는 45도 굴곡한 상태로 유지한다

- 목적: 고관절 외전근중 우세하게 작용하는 근육을 찾는다

- 보상작용: 골반의 거상 or 하강 + 몸통 회전, 골반의 굴곡이 생기지는 않는지, 허리의 통증은 있는가?

- 소둔근, TFL, 중둔근 전 섬유 활성화

- 대퇴골이 내회전 되어 있는지는 않는가?

 


- 대둔근의 길이 '로니콜먼'의 경우 대퇴의 절반을 차지한다

     = 무거운것을 반복해서 들기로 유명. 고관절 신전힘이 강하다

- 상부: 엎드려서 다리들기 할때 사용 = 최대 고관절 신전시, 수축력 떨어지면 천골위에 다열근 사용(= Sway back 형태로 됨)

- 하부: 스쿼트시 최대한 길어졌을 때

             Ex)스플릿 스쿼트시 가장 저 점에서

                   -> 대둔근이 일 안하면 '외측광근'이 일 더 하게 굄


[T-19, 엎드려서 고관절 신전 검사]

-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을 펴고 한 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 대둔근 수축

- 보상: 골반의 회전, 요추의 과 신전, 무릎 굴곡

- 결과: 골반관절만 움직여 다리를 들어올려야 한다(= 20도 신전이 가능한지)

            = 허리의 통증시 '요추 신전 증후군', 골반관절의 신전이 일어 나는가?

            = 'ASIS'가 바닥에서 뜨지는 않는지도 check

        ※높이가 낮은 쪽이 스쿼트시 내려간다

                   = 고관절 굴곡근이 짧아져서

          + 골반이 하강되어 있지는 않은지

            = 장경인대 뻣뻣하면 요방형근이 못 견딤, 요방형근이 과 활성화 된다

 


- 나선선에서 대능형근과 전거근을 연결한다

- 아치가 무너지면 전경골근/장비골근이 무너진다

 

[T-21, 저항이 있는 몸통 회전 검사]

- 무릎 90도 굴곡, 골반도 90도 굴곡, 척추는 완만한 굴곡을 만든다(= 앞쪽 근육을 수축 후 고정시킴)

- T1을 중심으로 회전 가동범위를 확인한다

- 결과: 좌/우 35도의 회전이 가능 해야한다

        = 한 쪽으로만 제한이 있지는 않은지, +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으로도 응용이 가능

 

- '견갑 거근'중 견갑골의 상각이 벌어져 있다면 '견갑거근'이나 '소능형근' 정지부 쪽에 문제가 있는 것

 


[T-22, 저항이 있는 경추 회전 가동범위 검사 - 경/두판상근 test]

- 플랭크 자세에서 코 끝을 바라본다(= 기준)

      = 턱 끝을 당겨서 경추의 정상 정렬을 만들어 준다

          -> 목 주변 근육중 신전근이 작용한 상태에서 회전 가동범위를 측정한다

                = 회전에 제한이 있는 쪽 신전근이 움직임을 방해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Ex) 오른쪽으로 회전이 제한된다면 -> 오른쪽 경추신전, 외측 굴곡근이 뻣뻣

- 보상작용: 경추의 신전, 경추의 외전.

     = 좌/우 90도의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 '능형근'은 '전거근'과 '길항관계'이며 능형근은 '내측연 중심'으로 이완하여 주어야 한다 

          = 능형근이 늘어나면 전거근은 수축한다

 

[T-23, 엎드려서 팔 들어올리기 검사]

- 엎드린 자세에서 상완을 'W 형태'로 만들고 손의 위치는 어깨 위치로 한다

             -> 견갑을 후인시키며 가슴은 바닥에 붙인 상태로 양 팔을 들어올린다

- 목적: 어깨 '앞/위 근육'과 '뒤/아래 근육'의 상대적인 근력 균형을 검사

- 보상: 몸통의 회전, 상완골의 내회전, 상완골의 내전, 견갑의 거상, 척추의 신전, 경추의 외측굴곡

- 결과: 전완의 방향이 척추와 같은 방향을 유지하여야 한다

      = 오른쪽으로 안돌면 오른쪽, 왼쪽으로 안돌면 왼 쪽 전거근을 풀어준다

 

- '요추-안정성', '흉추-가동성', '경추-안정성' 관절이다
 


[T-24, 플랭크 test]

- T7 중심으로 굴곡을 만들어 준다

- 견갑의 거상, 익상, 척추의 신전이 있는지 확인한다

 

[T-25, 브릿지 검사 - 둔근이 사용되어야 한다]

    = 주 사용하는(= 되는) 슬괵근을 파악하고, 굴곡근과의 균형을 검사한다

- 보상: 내회전/외회전되는 대퇴골, 고관절의 굴곡

- 결과: 허리의 통증, 내측 슬괵근 경련, 외측 슬괵근, 비복근 경련


        = '내전근을 MET'하고 스쿼트, 케틀벨 스윙해서 둔근위주로 사용 할 것

 

[T-26. 대퇴골 외전 가동범위 검사]

- 보상: 골반의 거상, 대퇴골의 외회전, 척추의 거상

- 결과: 고관절 40도 외전이 가능한가? 통증의 양상이 있는가?

 


- 기능선중 큰 힘을 발휘할때의 핵심은 '흉요근막'이다

- '대흉근'은 방사형근육, 뻣뻣시 굴곡이 제한된다 

   = '광배근' 역시 방사형근육 이며, 뻣뻣이 상완의 외전이 제한된다


          -> '광배근'과 '대흉근' 운동하고 풀어주지 않으면 팔이 쳐진다

             = '광배근' 기시부중 하나인 견갑 하각의 위치, 

                    


  1. No Image

    교정운동 6주차 요약정리...//...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ceskorea - 6주차 교육내용 정리- 소메코 이영진 대표님 - 레그컬은 '반막/반건양근'을 활성화 시킨다 - '스티프 데드리프트'는 대퇴 이두 장두와 슬괵근 기시부를 활성화 시킨다 ※좌식생활을 오래하면 기시부가 늘어난다, 정지부는 짧아진다...
    Date2017.05.19 Byflexmun Views1273
    Read More
  2. 하부기립근MSFT 및 상/하부 컨트롤방법...//...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하부기립근MSFT 및 상/하부 컨트롤방법 다리를 모으고 엎드려서 다리를 살짝 들어 좌우중 더 힘들어간 부분을 찾는다. 일반적으로 대퇴부가 더올라간쪽이다. 부족한부분을 찾아서 ASIS가 안 뜨는 범위에서 다리를 들어 버티기 대퇴부가 외회전되면서 대둔근에 ...
    Date2017.05.14 Byflexmun Views864
    Read More
  3. 척주기립근상부 MSFT...//...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척주기립근상부 MSFT. 요추3번(배꼽)기준 상부 엎드린상태에서 바닥에 이마를 댄다 복부와 둔근을 조이고 전완을 바닥에 댄상태에서 기립근이 약한쪽 견갑만 후인 이때 회전이 되지 않도록한다. 전완을 바닥에서 2Cm든다 버티기가 되면 이상태에서 기립근을 신...
    Date2017.05.14 Byflexmun Views770
    Read More
  4. Erector spinae_superficial back line release...//...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Erector spinae_superficial back line release. 엎드려서 요추를 굴곡한후에 단축되어 있는 부분을 FLX로 풀어준다. 여성의 경우는 롤러를 이용하기도한다. 약 30초정도 기립근은 아래에서 위방향 안에서 밖으로 풀어준다.
    Date2017.05.14 Byflexmun Views668
    Read More
  5. 상부전방 나선선 MSFT...//...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상부전방 나선선 MSFT 누워서 팔을 내밀고 호기후 후방경사 경추 흉추순서로 굴곡하고 어깨 전인후 버티기 다리를 들어 저항을 가중한다. 5초버티기 전거근과 외복사근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견갑전인을 한다. 만약 대퇴 근막 장근이 너무 타이트한경우 개입...
    Date2017.05.14 Byflexmun Views786
    Read More
  6. 하부 복사근의 근방추 촉진 MSFT...//...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헬스장

    하부 복사근의 근방추 촉진 MSFT 누운상태에서 호기후 후방경사 요추굴곡을 최소화한다. 골반거상과 동시에 외측굴곡 5초버티고 중립으로와서 내리기 골반신전시 외측굴곡은 요방형근이 쓰인다.
    Date2017.05.14 Byflexmun Views688
    Read More
  7. 상부 복사근 MSFT...../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상부 복사근 MSFT 누워서 후방경사후 경추굴곡 흉추굴곡후 전체 힘을 준상태에서 외측굴곡 경추의 회측굴곡이나 어깨에 회전이 동반되지 않도록한다.
    Date2017.05.14 Byflexmun Views691
    Read More
  8. 복직근 하부 근방추촉진 MSFT...../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복직근 하부 근방추촉진 MSFT 누워서 무릎을 많이 굽히고 후방경사시키면서 하복부에 힘주고 확인한후에 발을 살짝든다. 5초버티고 내린다. 6회반복 골반이 후방경사가 안되는 경우 다리를 들어 올려서 버티기를 한다.
    Date2017.05.14 Byflexmun Views755
    Read More
  9. 복직근 상부 중심의 근방추 촉진 MSFT18...../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복직근 상부 중심의 근방추 촉진 MSFT18 흉추 후만이 심한 경우 하지 않는다 허벅지 앞에 손을 주고 흡기하면서 전방경사후 후방경사호흡을 내쉬면서 경추굴곡 흉추 굴곡 견갑전인 한상태에서 5초유지 총6세트 전방경사된상태에서 안되도록하고 목뒤가 앞으로...
    Date2017.05.14 Byflexmun Views800
    Read More
  10. 가장 낮은수준에 코어 MSFT...../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가장 낮은수준에 코어 MSFT 누워서 무릎을 굴곡하고 견갑을 바닥에 대고 골반을 전후방경사 흡기(빨대이용) 전방경사 + 도수저항 복부 전체 힘이 들어 갔는지 확인한다. 호기(코로) 후방경사 + 도수+ 복근에 힘을 주고 흉과과 치골사이를 최대한 줄인다. 복부...
    Date2017.05.14 Byflexmun Views7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