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7.05.25 23:49

관절소리에 대해서

조회 수 10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관절 소리에 대한 여러 기사들........

1.jpg

 

 

 

 

 

 

통증이 수반되는 관절소리에 대한 질병

 

하체 스트레칭을 하는 사람

무릎·고관절·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날 때 의심해야 할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사진=헬스조선 DB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계단을 오를 때 관절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힘줄이 인대가 뼈와 부딪히면서 생기는 마찰음이다. 가끔가다 나는 한두 번의 소리는 건강을 크게 위협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움직일 때마다 매번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동반된다면 관절 질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무릎·고관절·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날 때 의심해봐야 할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무릎, 통증·붓기 동반되면 '연골연화증’ 의심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뻐근한 통증이 있는 경우 연골연화증이 원인일 수 있다. 연골연화증은 무릎 슬개골 밑에 있는 연골이 물렁물렁해지고 탄력을 잃는 것이다.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육량이 적은 여성과 나이가 들면서 근육 세포가 소실되는 노인에서 자주 나타난다. 관절이 건강한 사람도 달리기 등 무릎에 몸무게가 실리는 운동이나 축구·농구 등 선수끼리 자주 부딪치는 운동을 하다 슬개골이 손상돼 연골연화증이 발생할 수 있다. 미약한 통증만 있는 경우에는 온찜질로 완화하지만, 통증이 오래가거나 관절 주변이 붓는다면 즉시 병원 치료를 해야 한다. 증상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관절, 움직일 때마다 뚝 소리나면 '관절낭염' 의심
골반과 다리를 연결하는 고관절에서 나는 소리는 대부분 몸을 움직일 때 고관절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뼈와 그 뼈 주변을 지나는 인대가 마찰하면서 생긴 것이다. 통증이 없다면 따로 치료하지 않아도 되지만, 마찰이 반복되면 점액낭염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점액낭염은 말 그대로 점액낭(관절을 감싸는 얇은 막)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고관절에서 '뚝' 소리가 나는 자세와 동작을 피하는 게 좋다. 특히 양반다리를 할 때 나는 소리는 대퇴골두(허벅지 뼈가 시작되는 부분)와 고관절이 맞물린 부위에서 관절이 빠지는 게 원인인데, 여러 번 반복되면 비구순(고관절을 둘러싸 보호하는 조직)이 파열돼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어깨,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오래가면 '어깨충돌증후군' 의심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나고 결리는 듯한 느낌과 통증이 있으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를 덮고 있는 뼈 사이가 좁아지면서 뼈와 근육이 부딪혀 아픈 질환이다. 노화로 인한 관절 퇴행, 과도한 헬스, 골프·야구 등 팔을 쓰는 운동이 원인이다. 옷을 입으려고 팔을 올리거나 뒷짐을 지는 등 작은 움직임에도 바늘로 어깨를 찌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들거나, 통증이 2~3일간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게 안전하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어깨 힘줄이 파열되는 회전근개 등으로 진행될 위험도 크다. 병원 치료를 한 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과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는 근육 강화 운동을 병행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9/2017051902281.html

 

 

무릎소리에 대한 내용과 관련 운동법

 

Q. 무릎 '뚝' 소리, 통증 없다면 괜찮다? 
정답 : O

무릎 안에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 액이 있는데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내부 기압이 변하면서 일시적으로 기포가 생겼다가 터지면서 소리가 나게 됩니다. 
 

 

통증이 없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리가 나는 횟수가 점점 잦아지고 통증이 동반된다면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니까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무릎이 '뚝'! 뻐근하다? : 슬개골 연골 연화증
* 주로 여성에게 발생
*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 위험

뻐근한 통증과 함께 무릎에서 소리가 날 경우 슬개골 연골 연화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무릎 아래 동그랗게 튀어나온 뼈가 바로 슬개골인데, 관절부위를 덮고 있는 연골조직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상태를 말합니다. 

연골이 탄력을 잃고 손상 되면 무릎의 관절 끼리 부딪혀 '뚝'하는 소리가 나게 되는 거죠.

☞ 무릎이 '뚝'! 빠진 것 같다 : 십자인대 파열

또 운동을 하다가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와 함께 빠지는 느낌이 든다면 '십자인대파열'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빠르게 달리던 중에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급히 바꿀 때, 심한 충돌이 일어났을 때 발생한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연골 연화증 예방을 위해서는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피하고 무리한 등산이나 계단 오르내리기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무릎 주변의 근육을 강화에 신경쓰는 것이 중요한데요. 

간단한 운동법 한 가지 알려드릴게요. 

☞ 무릎 주변 근육 강화 운동
1. 다리를 어깨너비로 벌린 후 발끝을 안쪽으로 모은다 
2. 양쪽 무릎이 닿도록 구부린다 ☞ 통증이 없는 정도까지
3. '구부렸다 폈다' 반복한다 ☞ 50회씩 하루 3세트

 

출처 http://www.ytn.co.kr/_ln/0486_201604180659061789

 

 

관절소리에 관한 기사

관절 분리될 때 공간 확장, 활액 내 압력 떨어져 빈공간 생성

실시간 연속장면 관측…1947년 '버블형성 때문' 해석 뒷받침


00knucklecracker.jpg» 손가락 관절을 꺾거나 잡아당길 때 나는 '뚝' 소리는 관절 사이에 갑자기 빈 공간(버블)이 생기면서 비롯하는 것이라는 자기공명영상 관찰 결과가 발표됐다. 출처/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가락을 잡아당기거나 마디를 꺾을 때 나는 '뚝' 소리는 어디에서 나는 것일까?

손가락 관절에서 나는 뚝 소리는 관절을 잡아당기거나 꺾을 때 관절을 이루는 뼈가 떨어지는 순간에 공간이 확장하면서 갑자기 빈 공간(cavity, 버블)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관찰됐다고 캐나다 연구진이 보고했다. 손가락 관절의 뚝 소리는 손가락을 잡아당길 때 관절 분리 순간에 '버블'이 형성되기 때문이라는 설(1947년)과 그게 아니라 형성된 버블이 붕괴하는 순간에 소리가 난다는 설(1971년)이 제시돼 왔는데, 이번 연구는 1947년의 설명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재활의학과의 그레고리 카우추크(Gregory Kawchuk) 등 연구진은 최근 공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에서, 손가락을 잡아당길 때 뚝 소리가 날 때 손가락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실시간 관측해보니 관절 부위가 어느 순간에 갑자기 분리될 때 급속하게 빈 공간이 생기면서 소리가 나는 것으로 관찰됐다고 보고했다.

00knucklecracker2.jpg» 손가락을 잡아당길 때(가운데) 관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기공명영상(오른쪽)으로 관측하기 위한 실험장치. 출처/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연구진은 논문의 제2 저자로서 참여한 지압요법사의 열 손가락을 뚝 소리가 날 때까지 하나씩 잡아당기면서 손가락 내부의 변화 과정을 자기공명영상 장치로 1초당 3장면 정도의 속도로 실시간 촬영했다. 뚝 소리는 어느 순간에 관절이 갑자기 분리될 때 생기는 빈 공간과 연관된 것이었다.

 

모든 경우에, 뚝 소리와 관절 분리는 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는 미끄러운 물질인 활액(synovial fluid) 내에 기체 있는 빈 공간(gas-filled cavity)이 급속히 만들어지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우추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건 진공이 만들어지는 것과 약간 비슷해요. 관절 표면이 갑자기 분리되면, 커진 관절 부피를 다 채울 만한 활액은 부족해지죠. 그래서 빈 공간이 생기고, 이런 현상이 소리와 연관되는 것입니다.” (앨버타대학교 보도자료)

 

 

[유투브 동영상 https://youtu.be/BHEcQluSzmM ]

 

연구진은 이런 현상을 영국 신문 <더 가디언>에 다른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과학저널 <플로스 원>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우추크는 관절이 갑자기 분리될 때 뚝 소리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그리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는 활액 안에서 기체 있는 빈 공간[버블]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설명한다. 그 버블은 활액의 압력이 급강하할 때 활액에서 생겨나는 기체에서 비롯한 것이다.… 카우추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유리판을 씻어본 적 있다면, 여러분은 유리판들이 물에 젖어 있을 때 분리하기 힘들 수 있다는 걸 알 겁니다. 유리판 사이의 물막이 압력(tension)을 만들어내는 데 유리판을 분리하려면 그것보다 큰 힘이 필요하죠. 관절도 비슷합니다. 관절을 잡아당기면 처음엔 관절이 버티다가 나중에는 갑자기 분리되지요.” (더 가디언 뉴스)

 

00knucklecracker3.jpg» 손가락 관절을 잡아당기기 전(왼쪽)과 후(오른쪽)의 자기공명영상. 화살표가 가리키는 검은 부분이 순간적으로 생성된 빈공간이다. 출처/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이때에 갑자기 분리된 관절 사이에는 빈 공간(버블)이 순간적으로 생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관절에서 나는 뚝 소리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더 가디언>은 이를 탄산음료 병뚜껑을 딸 때의 상황에 비유했으며, 다른 매체인 <사이언스 뉴스>는 유리판에 달라붙은 흡착고리가 잡아당기는 힘에 버티다가 갑자기 떨어질 때의 상황에 비유했다. 이렇게 생긴 관절의 빈 공간 상태는 20여 분가량 유지되며 이후에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 다시 관절을 잡아당기면 뚝 소리가 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1940년대 이후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았던 손가락 관절 소리의 원인을 실시간으로 관측해 직접 증거를 제시하는 실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논문을 보면, 1947년 영국 연구진이 손가락 관절을 잡아당기기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엑스선으로 촬영해 ‘관절 사이의 활액에 압력이 급강하면서 거품(bubble)이 형성되는 현상이 소리의 원인’이라는 설명을 제시했으나, 20여 년 뒤인 1971년에 다른 영국 연구진은 비슷한 실험을 벌여 관절의 소리는 거품의 형성이 아니라 ’거품의 붕괴’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이번 자기공명영상의 실시간 관측은 반박된 1947년의 결론을 복원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 유투브 동영상 https://youtu.be/ZIVB5l2FNyQ ]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손가락 관절 소리가 관절 건강에 끼치는 영향과 관련해, 관절이 분리되며 뚝 소리가 날 때 생기는 에너지는 관절에 해를 끼칠 만큼 크다는 연구도 있으며 습관적인 손가락 관절 꺾기가 장기적인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관절 소리와 관절 건강의 관계를 분명하게 말하기는 힘들다고 전했다. 이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절 소리와 관절 건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논문 초록 일부

…이 연구에서 우리는 관절 소리의 매커니즘이 버블 붕괴(bubble collapse)보다는 빈 공간(cavity)의 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직접 증거를 실시간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장축의 잡아당김을 하는 데 쓰는 긴 케이블에다 고정한 굴정성 튜브에 손가락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10개 손가락 관절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잡아당김 이전과 이후에 정지 3차원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했다. 잡아당기는 동안에는, 뚝 소리가 날 때까지 1초당 3.2개 프레임의 속도로 관절 중간선의 빠른 연속장면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했다. 잡아당김 힘이 증가하면서 실시간 연속 자기공명영상은 관절이 분리되고 소리가 생성될 때에 빈 공간(cavity)이 급속히 생성됨을 보여주며, 이후에 빈 공간은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됨을 보여준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관절의 뚝 소리가 그 이후에 나타나는 버블 붕괴와 관련된 게 아니라 빈 공간의 생성과 관련된 것이라는 직접적인 실험 증거를 제시한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한겨레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직장인에 건강 적신호

    사무실에서 하루 종일 앉아 컴퓨터 작업 등을 하는 직장인들은 찌릿찌릿한 손목과 뻐근한 뒷목,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대표적인 게 손목터널증후군이다. 이 질환은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에게 쉽게 발생한다....
    Date2017.05.29 Byflexmun Views625
    Read More
  3. 관절소리에 대해서

    관절 소리에 대한 여러 기사들........ 통증이 수반되는 관절소리에 대한 질병 무릎·고관절·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날 때 의심해야 할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사진=헬스조선 DB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계단을 오를 때 관절에서 &lsqu...
    Date2017.05.25 Byflexmun Views1096
    Read More
  4. 장수 비결은 근육이다

    근육이 많은 노인일수록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에 일정한 수준의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 인체의 대사기능 악화를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의과대학 내분비학과 연구팀은 미국 국민건강영...
    Date2017.05.24 Byflexmun Views509
    Read More
  5. 골반 전방경사원인 4가지

    Date2017.05.19 Byflexmun Views1320
    Read More
  6. 사진으로 보는 스퀏

    Date2017.05.16 Byflexmun Views537
    Read More
  7. 운동과 식욕

    운동을 하였더니 오히려 식욕이 나서 체중이 증가하더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우선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그 운동을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행하였는가 운동으로 체중감량이 되지 않았다는 사람을 보면 주당 한두 차례...
    Date2017.05.16 Byflexmun Views557
    Read More
  8. 근육별 명칭/형태/기능

    Date2017.05.16 Byflexmun Views687
    Read More
  9. “운동 좀 하라” 몸이 보내는 신호 5

    현대를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할 시간을 좀처럼 내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가까스로 피트니스센터에 등록하더라도 힘든 운동은 하기가 싫고 운동하는 흉내만 내다가 오기 일쑤다. 이러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몸매가 엉망이 될 수 있...
    Date2017.05.15 Byflexmun Views560
    Read More
  10. 뒷목·등 근육 자주 뭉치면 담 아닌 ‘이 질환’ 의심해야

    목 뒤쪽이나 등, 어깨 근육이 딱딱하게 뭉쳐 통증이 생기면 흔히 ‘담에 걸렸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증상의 정확한 이름은 ‘근막통증증후군’이다. 국내 성인의 60~80%가 한 번쯤은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 그런데 담에 자주 걸리거나...
    Date2017.05.12 Byflexmun Views855
    Read More
  11. 어깨 충돌증후근이 있는경우

    운동을 즐겨하는 분들 중에 어깨질환, 특히 충돌증후군이라고 일컫는 증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어깨 충돌증후군은 대부분 어깨질환으로 불편함을 겪는 44~65%의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충돌증후군은 대표적인 어깨의 장애와 기...
    Date2017.05.08 Byflexmun Views118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