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58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tock-vector-infographics-detail-of-presentation-about-of-health-care-concept-for-fat-man-obesity-and-body-475548730.jpg


암(癌)만큼이나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당뇨병’. 다른 신체기관까지 침범해 무서운 합병증을 불러오는 데다 한 번 발생하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해 우리가 각별히 경각심을 가져야 할 질환이다.

특히 비만은 당뇨병의 강력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당뇨병을 관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마른 사람은 당뇨병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있을까. 또 비만인 경우와 아닌 경우 당뇨병 관리법에 차이가 있을까.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장이선 교수의 도움말로 당뇨병에 관한 궁금증에 대해 자세히 풀어봤다.

■체중과 당뇨,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비만인구가 꾸준히 증가함과 동시에 비만을 동반한 당뇨환자도 눈에 띄게 늘었다. 2015년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처음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 중에서 과체중 혹은 비만을 보인 비율이 77.3%였고 인슐린 저항성을 보인 환자는 59.5%를 차지했다.

당뇨병은 인슐린이라는 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슐린은 혈액 속의 포도당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우리가 에너지를 낼 수 있도록 돕는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에 문제가 생겨 제대로 분비되지 못하거나(제1형 당뇨병) 인슐린은 제대로 분비되지만 어떤 원인에 의해 가로막혀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혈액 속의 당이 증가하면서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즉 인슐린저항성을 생기게 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인슐린 기능장애를 보상하기 위해 인슐린 분비가 오히려 증가하는 고인슐린혈증을 보인다. 인슐린 기능장애와 고인슐린혈증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면 혈당 역시 유지되지만 인슐린 분비가 서서히 감소하면 균형이 깨지면서 혈당이 오르기 시작하고 결국 당뇨병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 모두 당뇨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은 마른 당뇨병 환자가 많다?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체구가 작기 때문에 이에 비례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 부피도 작아 인슐린 분비가 더 적다고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인슐린저항성이 당뇨병의 주된 원인으로 보는 서양인과 달리 인슐린 분비의 감소가 한국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의 주요 원인이란 보고도 있고 마른 당뇨병이란 말도 나오게 됐다.

하지만 마른 당뇨병이란 용어는 당뇨병의 정식분류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비만하지 않은 당뇨병을 지칭하기 때문에 적절한 용어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체중 따라 관리법도 달리 해야?

당뇨병은 약 복용과 더불어 자신에게 맞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전반적인 생활습관을 개선해 이를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른 당뇨환자의 경우 비만 자체로 인한 문제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지만 혈당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합병증 발생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안심하지 말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관리에 신경써야한다.

비만은 당뇨병뿐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 다른 질환의 발생위험도 높인다. 따라서 비만인 당뇨환자의 경우 체중관리에 좀 더 중점을 두고 혈당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운동이나 식이조절만으로 체중감량이 잘 되지 않는다면 약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해 결정해야한다.

■혈당관리 위해 무조건 소식해야?

많이 먹으면 당이 올라갈까 걱정돼 적게 먹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무조건 조금 먹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며 활동 열량에 맞춰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단 음식은 싱겁게 먹고 당질이 포함돼 있는 음료수나, 요구르트, 설탕 등은 피해야한다. 하루에 필요한 열량은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영양사와 상담해 자신에게 맞는 식사법을 교육받는 것이 좋다.

장이선 교수는 “보통 혈당은 서서히 증가하기 때문에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모른 채 혈당이 높은 상태로 계속 있다 보면 이로 인한 급성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의식혼수를 겪을 수 있다”며 “심한 갈증으로 물을 많이 먹거나 소변을 자주 보게 되고 잘 먹는데도 오히려 체중이 빠지는 증상은 고혈당일 경우 나타나므로 평소 몸의 변화를 잘 체크해 당뇨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운동은 식사 후에 하는 것이 좋다?

운동 역시 당뇨병을 관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공복상태로 운동하면 혈당이 급격히 떨어지는 저혈당이 올 수 있으므로 식후 1시간 뒤에 하는 것이 좋다.

운동 전 혈당을 쟀을 때 100 이하로 나오면 약간의 탄수화물을 미리 섭취해야하며 혈당이 250 이상으로 높게 나오면 운동이 혈당조절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혈당을 조절한 후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18세 이상 성인은 중간 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 또는 높은 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75분 이상 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인 경우 동반돼 있는 질환에 따라 적절하게 운동량을 조절해야한다.

높은 강도의 운동으로는 달리기, 에어로빅, 등산 등이 있고 중간 강도의 운동으로는 빨리 걷기, 배드민턴, 볼링 등이 있다. 운동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저혈당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예방책으로 사탕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 운동 시간은 1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헬스경향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1. 다이어트의 적, 중독성 먹거리 5

    도넛 같은 달콤한 음식은 먹고 싶은 욕망을 억누르기 어렵게 한다. 푸짐하게 식사를 했더라도 바로 손이 가는 먹거리들. 미국 건강, 의료 매체 '프리벤션닷컴'이 다이어트의 적으로 꼽히는 중독성 강한 음식들을 소개했다. 1. 감자튀김 프렌치프라이라...
    Date2017.07.12 Byflexmun Views285
    Read More
  2. 고지방 다이어트 미심장학회장 권고안 요약

    불포화지방,포화지방,탄수화물 -the Good, the Bad, the Ugly- 미국 심장 협회 의장 권고안 해설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포화지방은 LDL콜레스테롤을 올리며 심장병의 중요 원인이다. 포화지방을 불포화지방으로 바꾸면 LDL콜레스테롤을 낮추며 심장병을 감...
    Date2017.06.19 Byflexmun Views228
    Read More
  3. 고지방다이어트 결국 문제

    (속보)지방논쟁에 대한 미국 심장학회의 의장 권고안(AHA Presidential Adivsory) 발표 매스미디아와 일부 의사와 영양학자에 의해 촉발된 '지방이 오히려 건강에 좋다'고 하는 근거가 희박한 주장이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스럽게 하고 불필요한 위험에 빠트리...
    Date2017.06.16 Byflexmun Views319
    Read More
  4. 잠이부족하면 살찐다

    원문보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80846&cid=58390&categoryId=58390 잠 부족하면 살찌는 이유 4가지 잠이 부족하면 비만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수면과 비만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미국 ‘폭스뉴스&rs...
    Date2017.06.15 Byflexmun Views399
    Read More
  5. 안먹어도 살찔수 았다

    많이 먹고 잘 운동하지 않으면 살찌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그렇지도 않은데 체중계 바늘이 계속 올라간다면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기존에 발표된 여러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중을 증가시키는 숨어 있는 요인을 꼽아본다. 1.수면 부족 미국 컬럼비아대학...
    Date2017.06.13 Byflexmun Views302
    Read More
  6. 장수에 필요조건

    장수하는 사람의 공통 습관 7가지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수의 비결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자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 생활하는 방식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 의과 대학 연구 팀은 100세 이상 사는 사람들은 먹는 것이나 스트레스 ...
    Date2017.06.05 Byflexmun Views244
    Read More
  7. 식욕을 억제 기사모음

    단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4가지 카페인이나 수면제, 알코올 중독만큼 늘어나는 것이 당분(설탕) 중독이다. 연구에 따르면 당분 중독은 약물 중독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비만과 당뇨병, 암, 심장병 위험을 증가시...
    Date2017.06.02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8. 먹방이 만든 질병 당뇨

    암(癌)만큼이나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당뇨병’. 다른 신체기관까지 침범해 무서운 합병증을 불러오는 데다 한 번 발생하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해 우리가 각별히 경각심을 가져야 할 질환이다. 특히 비만은 당뇨병의 강력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졌다. ...
    Date2017.05.31 Byflexmun Views581
    Read More
  9. 편의점 혼밥 > 복부비만 > 미세먼지 취약????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김현진·박진호·조비룡·김종일 교수팀은 2009~2014년 검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남성 18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남성의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를 바...
    Date2017.05.30 By문종수 Views433
    Read More
  10. 실제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음식 6가지

    식품에 따라 열을 더 많이 내는 것이 있다. 즉, 칼로리를 더 태우는 것이다. 또 어떤 음식들에는 신진대사를 더욱 활발하게 해주는 영양소와 화합물이 들어있다. 미국 건강, 의료 매체 헬스닷컴이 특히 지방을 많이 태우는 식품 6가지를 소개했다. ◆살코기=단...
    Date2017.05.25 Byflexmun Views3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