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2.jpg

 

살빼기에 대한 일반통념이 하나 있다. 살빼기 가장 좋은 운동은 유산소운동이란 인식이다. 그런데 이에 반박하는 주장도 있다. 근육운동이 오히려 효과적이란 의견이다. 근육운동을 하면 신진대사가 향상되고 잠을 잘 때도 계속해서 지방이 소모된다는 점에서 체중감량에 유리하단 설명이다. 진짜 체중감량에 보다 효과가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이에 대한 답변을 얻기 위해 두 가지 운동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과체중인 사람들, 또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모집해 근육운동을 하는 팀, 유산소운동을 하는 팀, 두 가지 운동을 병행하는 팀으로 나눠 8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유산소운동이 살을 빼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운동 팀이 평균 0.9㎏ 감량하는 동안, 유산소운동 팀은 1.8㎏을 뺐다. 근육운동 팀의 근육밀도가 높아졌다는 점을 감안해도 유의미한 결과다. 

순수 체지방량만 측정했을 때도 근육운동 팀보다 유산소운동 팀의 감소량이 컸기 때문이다. 유산소운동 팀은 평균 1.6㎏의 지방을 소모한 반면, 근육운동 팀은 일주일 평균 47분 더 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지방 소모가 없었다. 

신체구성성분이 가장 균형적인 형태로 잡힌 그룹은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한 팀이다. 근육량 증가와 체지방 감소가 동시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그룹은 다른 두 그룹보다 2배가량 운동량이 많았다는 함정이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크리스 슬렌츠 교수는 이 같은 결과는 매우 단순한 계산 원리를 따른다고 말했다. 유산소운동을 할 때 분당 칼로리 소모량이 가장 높기 때문에 체지방량을 줄이기 가장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단 급하게 빼야 할 상황이 아니라면 유산소 운동만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결혼식을 앞둔 신부처럼 단기간 급하게 살을 빼야할 때는 유산소운동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땐 근력운동을 병행하는 방식이 더 유익하다. 나이가 많거나 근육량이 적은 사람일수록 근육운동은 더욱 필요하다. 

두 가지 운동을 병행할 때는 근력운동으로 시작해 유산소운동으로 끝내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운동의 순서도 칼로리 소모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근육운동을 하고난 다음 유산소운동을 하면 심박동수가 좀 더 빨라져 칼로리 소모 효과도 높아진다. 

더욱 중요한 점은 운동만으론 큰 체중감량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반드시 식이요법을 함께 해야 한다. 사실상 식사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체중은 줄어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체중이 잘 불어나지 않는 체질을 만들고,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위해서다. 

 

출처 코메디닷컴

 

 

 

체중감량(다이어트)을 원하는 사람들은 너무 너무 많습니다.
머리속으로 생각만 한다고 하는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어마어마한 인구가 있겠네요.
체중감량.jpg 
 
하지만 막상 체중감량을 위해서 피트니스 클럽을 찾게되면 무슨 운동부터 할까요??
대부분 트레드밀이나 고정식 자전거 위로 올라가는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트레드밀.jpg 고정식 자전거.jpg 
 

그렇다면 운동순서가 체지방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유산소운동 후 근력운동(저항운동)을 하는 것과 근력운동 후 유산소운동 하는 것은 어떻게 차이가 있으며, 또 어떤 순서로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증이 생기겠네요.

 

사실 체중감량을 위해 운동을 할 때에는 운동순서가 실제적인 의미에서 큰 차이를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두 가지 형태의 운동을 어느 정도의 운동량(운동강도+운동시간)으로 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체중감량, 즉 지방연소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운동을 할 경우에는 본운동으로 근력운동을 먼저 하고, 다음에 유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지방연소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1) 근력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근,신경계의 자극은 물론, 순환계와 에너지대사계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준비된 상태가 되고, 이후에 유산소운동을 수행하면 에너지소비를 위한 준비가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근력운동에 의해 간에서의 당분해와 지방조직에서의 지질분해를 촉진하는 부신계 호르몬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 등의 분비가 어느 정도 자극된 상태가 된 다음에 전신의 대근육을 사용하는 걷기, 달리기, 자전거타기와 같은 유산소운동을 하면 지질의 연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3) 특히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운동을 시작하여 분비가 자극되기까지 약 20분의 시간적 지연이 있기 때문에 근력운동을 먼저 하면 그 후 유산소운동을 하는 동안 분비자극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4) 또 한 가지는 근육 및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근력운동을 하여 어느 정도 쓰여진 상태에서 유산소운동을 하면 더 많은 지질이 동원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 운동으로 근력운동을 먼저 할 경우에도 꼭 지켜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력운동 전에 스트레칭이나 유연성운동 뿐만 아니라 유산소적 요소도 충분히 가미한 운동을 하여 호흡순환계에 적당한 자극을 주고, 체온을 상승시키는 준비운동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2. 근육증대를 주목적으로 한다면 비교적 짧은 시간의 유산소 운동을 먼저 하고, 보다 긴 시간을 투자해서 저항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그러나 앞서 이야기했듯이 지질연소의 훨씬 중요한 요인은 운동의 순서가 아니라 운동의 형태와 운동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체중감량을 목표로 한다면, 근력운동 다음에 유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유리하며, 근육증대를 목표로 한다면 짧은 유산소운동 후에 긴 시간을 투자하여 근력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저의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체중감량이라는 것은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소비하느냐에 따라서 성공여부가 판가름 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유산소운동보다는 근력운동이 에너지대사라던지 에너지소비율이 훨씬 많습니다. 느낌이 잘 오지 않는다면 "힘들다"라고 느끼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쉽게 접근가능할 것입니다. 체중감량 혹은 근비대를 위해서 운동을 한다는 것은 우리 몸에 평소와는 다른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스트레스(외부자극)에 대항하여 지방이 연소되거나 근육이 비대해져서 몸짱이 될 수가 있습니다. 트레드밀에서 1시간 걷거나 뛰고나면 당일이나 그 다음날 죽을만큼 힘들지는 않습니다. 반면에 점진적인 근력운동을 하면 그날 저녁, 다음날, 그다음날 몸이 뻐근하고 피곤하며 힘들게 느껴집니다. 그만큼 몸에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기 때문이지요.

인체는 스트레스(외부자극)에 따른 항상성을 깨트려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유산소운동이 체중감량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스트레스를 통한 운동량 증가로 원하는 결과를 성취할 수 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출처 https://www.monsterzym.com/training_encyclopedia/5240569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하루종일 몸을 움직이는데 운동이 안되는이유

    몸을 움직여 일을 하는 것 즉, 노동은 어느 정도 운동이 된다. 노동도 근육을 강화하고 칼로리를 소모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부상과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노동과 운동은 우리 몸에 상반된 효과를 일으킨다. 운동은 뼈와...
    Date2019.12.23 Byflexmun Views1078
    Read More
  3. 플랭크는 어떤 운동일까?

    헬스장에서 PT수업을 받든, 집에서 혼자 홈트레이닝을 하든 많이 접하게 되는 운동 동작 중 하나는 플랭크다. 플랭크를 복근 운동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사실 전신의 근육을 전반적으로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기본적인 운동 루틴에 넣어주면 몸의...
    Date2019.12.22 Byflexmun Views660
    Read More
  4. 중년 악력이 약하면 사망률이 올라간다.

    최근 걷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 뿐 아니라 근력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중년 이상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지는 근력에 놀라는 경우가 많다. 40세 이상은 자연스럽게 근육이 감소하는데, 심하면 매년 1%씩 줄어드는 사람도 있다. 근력은 근육이 ...
    Date2019.12.11 Byflexmun Views516
    Read More
  5. 여성들도 격렬한 운동을 해야하는 이유

    달리기 등 고강도의 운동으로 단련된 중년 여성은 심장질환이나 암을 비롯해 여러 원인으로 사망할 위험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 라 코루냐 대학교 연구팀은 4700여명의 중장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6...
    Date2019.12.10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6. 약간에 운동으로도 전립선암 예방 가능하다.

    걷기나 정원 가꾸기 등 가벼운 운동만 해도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브리스틀대학교 연구팀은 전립선암에 걸린 남성 7만9148명과 암이 없는 6만11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디엔에이(D...
    Date2019.12.08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7. 운동을 하면 좋아지는 것들

    운동은 사람이 몸을 단련하거나 건강을 위하여 몸을 움직이는 일을 말한다.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도 향상된다. 운동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헬스닷컴’에 따르면, 운동은 우리 몸에 다...
    Date2019.12.05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8. WHO 한국소소운동량 최저수준

    운동은 몸과 마음, 양쪽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특히 성장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에 운동은 중요하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운동 부족은 국가를 막론하고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연구진은 2001...
    Date2019.11.24 Byflexmun Views766
    Read More
  9. 여성이 건강하게 앉는 방법

    여성도 다리를 꼬거나 붙이고 앉지 말고, 남성처럼 다리를 벌리고 앉아야 무릎이나 고관절 통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의 정형외과 전문의인 바바라 버진 박사는 “무릎이나 엉덩이에 통...
    Date2019.11.22 Byflexmun Views441
    Read More
  10. 중년 근력운동 심장을 강화한다.

    근육을 잘 유지한 중년의 남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하로코피오대학교 보건학과 연구팀은 45세 이상의 건강한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추적 조사연구를 실시했다. 연구기간 동안 대상자 중 2...
    Date2019.11.19 Byflexmun Views726
    Read More
  11. 당뇨 천식등 만성질환별 좋은 운동법

    운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방 측면에서 보면 빠르게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운동을 1주일에 150분 정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와 함께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면 당뇨병 발병 위험을 30% 이상 줄일 수 있으며, 좋은 콜레스...
    Date2019.11.17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