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B_IMG_1484180037786.jpg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온갖 다이어트 방법을 섭렵하고도 실패를 반복하는 이유다. 영양학자들은 다이어트 수칙을 아는 것과 실천력을 발휘하는 것은 전혀 다른 얘기라고 말한다. 영양학자들이 미국 건강지 프리벤션을 통해 매번 체중조절에 실패하는 사람들에게 건네고 싶은 조언을 밝혔다. 

◆ '진짜 바뀌고 싶은 거 맞아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변화를 원한다고 말한다. 몸매가 바뀌었으면 하고, 패션스타일과 활동반경도 달라지길 희망한다. 그런데 영양학자들은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봤을 때 진짜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개인 맞춤형 식단과 간식, 행동규칙 등에 대한 틀을 제시해도 아직 준비가 안 된 사람은 실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이어트 동기가 막연해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일 수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동기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 '본인에게 좀 더 솔직할 순 없나요?'= 영양학자나 헬스트레이너에게 매번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점심으론 샐러드를 먹었고요, 저녁도 규칙적으로 먹는 편인데 살이 안 빠지네요'와 같은 패턴이다. 이 같은 말에는 진실이 감춰져 있다. 사실 샐러드를 먹지 않았을 수도 있고, 샐러드를 먹긴 했지만 다른 고칼로리 음식과 같이 먹었거나 칼로리 높은 튀김과 드레싱이 들어간 샐러드를 먹었을 수도 있다. 다이어트 결과를 앞당기고 싶다면 창피해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자신의 상태를 솔직히 얘기해야 한다. 

◆ '체중감량은 다이어트의 한 조건에 불과해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정상적인 체중을 가진 사람들이다. 멀쩡한 체중을 갖고도 자신의 몸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체중과 신체성분 사이의 간극 때문이다. 체중은 표준에 속하지만 몸매가 불만족스럽다면 이런 사람들은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지 않아야 한다. 그보다는 근육 형성과 체지방 감량을 통한 신체성분 변화를 꾀해야 한다. 

◆ '체중관리를 1순위로 삼아야죠'= 체중관리가 필요한 사람의 상당수는 시간이 없다거나 피곤하다는 등의 이유로 다이어트를 미루기 일쑤다. 매일 해야 하는 업무를 팽개치고 다이어트를 하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휴식시간이나 허투루 쓰는 시간을 아껴서 관리에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이어트 일지를 기록한다면 관리가 한결 쉬워진다. 일지를 기록하지 않아도 잘 지킬 수 있을 것 같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원래의 나쁜 습관이 나올 확률이 높다.

◆ '보충제로 살을 뺄 순 없어요'= 다이어트를 할 때 체지방을 분해한다거나 식이섬유, 비타민 C 등을 제공하는 보충제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보충제는 보조적인 기능을 할뿐 실제 살이 빠지는데 기여하지는 않는다. 보충제를 먹으면서 관리를 대충하는 것보단 보충제를 먹지 않고 식습관과 운동습관에 좀 더 관심을 두는 편이 낫다.
​​​​​​​FB_IMG_1486128968361.jpg

◆ '체중관리는 원래 어려운 거예요'= 살을 빼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때론 육체적으로 녹초에 이르기도 하고, 감정적 혹은 심리적으로 매우 지칠 때도 있기 때문이다. 다이어트는 결코 편안하고 수월하게 갈 수 있는 길이 아니란 사실을 인지하고, 중간에 실수를 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코리아 메디컬 케어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하루종일 몸을 움직이는데 운동이 안되는이유

    몸을 움직여 일을 하는 것 즉, 노동은 어느 정도 운동이 된다. 노동도 근육을 강화하고 칼로리를 소모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부상과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노동과 운동은 우리 몸에 상반된 효과를 일으킨다. 운동은 뼈와...
    Date2019.12.23 Byflexmun Views1078
    Read More
  3. 플랭크는 어떤 운동일까?

    헬스장에서 PT수업을 받든, 집에서 혼자 홈트레이닝을 하든 많이 접하게 되는 운동 동작 중 하나는 플랭크다. 플랭크를 복근 운동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사실 전신의 근육을 전반적으로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기본적인 운동 루틴에 넣어주면 몸의...
    Date2019.12.22 Byflexmun Views660
    Read More
  4. 중년 악력이 약하면 사망률이 올라간다.

    최근 걷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 뿐 아니라 근력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중년 이상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지는 근력에 놀라는 경우가 많다. 40세 이상은 자연스럽게 근육이 감소하는데, 심하면 매년 1%씩 줄어드는 사람도 있다. 근력은 근육이 ...
    Date2019.12.11 Byflexmun Views516
    Read More
  5. 여성들도 격렬한 운동을 해야하는 이유

    달리기 등 고강도의 운동으로 단련된 중년 여성은 심장질환이나 암을 비롯해 여러 원인으로 사망할 위험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 라 코루냐 대학교 연구팀은 4700여명의 중장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6...
    Date2019.12.10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6. 약간에 운동으로도 전립선암 예방 가능하다.

    걷기나 정원 가꾸기 등 가벼운 운동만 해도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브리스틀대학교 연구팀은 전립선암에 걸린 남성 7만9148명과 암이 없는 6만11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디엔에이(D...
    Date2019.12.08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7. 운동을 하면 좋아지는 것들

    운동은 사람이 몸을 단련하거나 건강을 위하여 몸을 움직이는 일을 말한다.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도 향상된다. 운동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헬스닷컴’에 따르면, 운동은 우리 몸에 다...
    Date2019.12.05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8. WHO 한국소소운동량 최저수준

    운동은 몸과 마음, 양쪽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특히 성장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에 운동은 중요하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운동 부족은 국가를 막론하고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연구진은 2001...
    Date2019.11.24 Byflexmun Views766
    Read More
  9. 여성이 건강하게 앉는 방법

    여성도 다리를 꼬거나 붙이고 앉지 말고, 남성처럼 다리를 벌리고 앉아야 무릎이나 고관절 통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의 정형외과 전문의인 바바라 버진 박사는 “무릎이나 엉덩이에 통...
    Date2019.11.22 Byflexmun Views441
    Read More
  10. 중년 근력운동 심장을 강화한다.

    근육을 잘 유지한 중년의 남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하로코피오대학교 보건학과 연구팀은 45세 이상의 건강한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추적 조사연구를 실시했다. 연구기간 동안 대상자 중 2...
    Date2019.11.19 Byflexmun Views726
    Read More
  11. 당뇨 천식등 만성질환별 좋은 운동법

    운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방 측면에서 보면 빠르게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운동을 1주일에 150분 정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와 함께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면 당뇨병 발병 위험을 30% 이상 줄일 수 있으며, 좋은 콜레스...
    Date2019.11.17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