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B_IMG_1484180037786.jpg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온갖 다이어트 방법을 섭렵하고도 실패를 반복하는 이유다. 영양학자들은 다이어트 수칙을 아는 것과 실천력을 발휘하는 것은 전혀 다른 얘기라고 말한다. 영양학자들이 미국 건강지 프리벤션을 통해 매번 체중조절에 실패하는 사람들에게 건네고 싶은 조언을 밝혔다. 

◆ '진짜 바뀌고 싶은 거 맞아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변화를 원한다고 말한다. 몸매가 바뀌었으면 하고, 패션스타일과 활동반경도 달라지길 희망한다. 그런데 영양학자들은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봤을 때 진짜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개인 맞춤형 식단과 간식, 행동규칙 등에 대한 틀을 제시해도 아직 준비가 안 된 사람은 실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이어트 동기가 막연해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일 수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동기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 '본인에게 좀 더 솔직할 순 없나요?'= 영양학자나 헬스트레이너에게 매번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점심으론 샐러드를 먹었고요, 저녁도 규칙적으로 먹는 편인데 살이 안 빠지네요'와 같은 패턴이다. 이 같은 말에는 진실이 감춰져 있다. 사실 샐러드를 먹지 않았을 수도 있고, 샐러드를 먹긴 했지만 다른 고칼로리 음식과 같이 먹었거나 칼로리 높은 튀김과 드레싱이 들어간 샐러드를 먹었을 수도 있다. 다이어트 결과를 앞당기고 싶다면 창피해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자신의 상태를 솔직히 얘기해야 한다. 

◆ '체중감량은 다이어트의 한 조건에 불과해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정상적인 체중을 가진 사람들이다. 멀쩡한 체중을 갖고도 자신의 몸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체중과 신체성분 사이의 간극 때문이다. 체중은 표준에 속하지만 몸매가 불만족스럽다면 이런 사람들은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지 않아야 한다. 그보다는 근육 형성과 체지방 감량을 통한 신체성분 변화를 꾀해야 한다. 

◆ '체중관리를 1순위로 삼아야죠'= 체중관리가 필요한 사람의 상당수는 시간이 없다거나 피곤하다는 등의 이유로 다이어트를 미루기 일쑤다. 매일 해야 하는 업무를 팽개치고 다이어트를 하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휴식시간이나 허투루 쓰는 시간을 아껴서 관리에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이어트 일지를 기록한다면 관리가 한결 쉬워진다. 일지를 기록하지 않아도 잘 지킬 수 있을 것 같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원래의 나쁜 습관이 나올 확률이 높다.

◆ '보충제로 살을 뺄 순 없어요'= 다이어트를 할 때 체지방을 분해한다거나 식이섬유, 비타민 C 등을 제공하는 보충제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보충제는 보조적인 기능을 할뿐 실제 살이 빠지는데 기여하지는 않는다. 보충제를 먹으면서 관리를 대충하는 것보단 보충제를 먹지 않고 식습관과 운동습관에 좀 더 관심을 두는 편이 낫다.
​​​​​​​FB_IMG_1486128968361.jpg

◆ '체중관리는 원래 어려운 거예요'= 살을 빼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때론 육체적으로 녹초에 이르기도 하고, 감정적 혹은 심리적으로 매우 지칠 때도 있기 때문이다. 다이어트는 결코 편안하고 수월하게 갈 수 있는 길이 아니란 사실을 인지하고, 중간에 실수를 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코리아 메디컬 케어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허리통증 바른자세를 강조하지말고 조금이라도 움직여라

    우리는 대개 두 가지 자세가 있다고 여긴다. 의자 깊숙이 엉덩이를 넣은 다음 등을 쭉 펴고 앉는 건 ‘좋은’ 자세, 등을 구부린 채 얼굴을 앞으로 쑥 내밀고 앉는 건 ‘나쁜’ 자세. 그리고 허리가 아픈 이유를 자세에서 찾는다. 좋은 자...
    Date2019.08.29 Byflexmun Views569
    Read More
  3. 근력운동이 꼭 필요한 이유

    운동의 장점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모든 원인에 의한 전체 사망률을 30% 가량 줄여준다. 암 환자라도 움직일 수 있다면 병실 복도를 걷는 등 운동을 해야 한다. 고혈압, 당뇨병 뿐 아니라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인...
    Date2019.08.25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4. /근력운동 여성은 어떻게 해야하나

    요즘 근력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 몸에서 근육의 중요성을 몸소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근력운동은 특히 여성들에게 더욱 필요하다. 여성의 경우 폐경 첫 5년간 급속도로 골밀도가 약해지는데, 근력운동을 한 사람은 뼈의 양이 빠르게...
    Date2019.08.19 Byflexmun Views574
    Read More
  5. 관절이 안좋아도 운동을 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쉬어야 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비활동적인 생활이 관절 퇴화와 염증 악화를 더 부추길 수 있다. 관절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산소와 근력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프리벤션닷컴’이 관절이 ...
    Date2019.08.15 Byflexmun Views534
    Read More
  6. 아프면 근육 부족을 후회한다 젊었을때 열심히 운동하자

    ‘근육’을 얘기하면 남성의 육체미가 떠오른다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근육은 골격근육, 심장근육, 내장근육 등 다양하다. 심장근육은 수축을 반복하며 혈액이 온 몸을 돌게 한다. 내장근육은 위나 대장이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나르게 한다. ...
    Date2019.08.14 Byflexmun Views436
    Read More
  7. 연구결과 발목을 자주 삐는 이유가 있었다.

    발목을 자주 삐는(염좌) 사람은 걷거나 뛰는 자세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의 자세나 각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미국 조지아대학교 교육대학 운동생리학과 연구팀은 취미로 운동을 하는 남자 30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해당 남...
    Date2019.08.01 Byflexmun Views583
    Read More
  8. 근력운동을 하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면 기억력이 개선된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주리 대학교 연구진은 쥐에게 작은 추를 지고 사다리를 오르는 근력 운동을 시켰다. 그 결과, 운동한 쥐들은 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 속도가 줄거나 오히려 기억력이 좋아지는 ...
    Date2019.07.26 Byflexmun Views467
    Read More
  9. 매일하는운동 왜 효과가 없을까?

    몇 달간 또는 몇 년간 꾸준히 운동을 해왔지만 별로 효과를 못 느낀다면…. 당신의 운동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셰이프닷컴’이 소개한 잘못된 운동법 4가지와 그에 대한 해결책을 알아본다. 1. 운동 균형이 맞지 않는다 ...
    Date2019.07.24 Byflexmun Views479
    Read More
  10. 연구결과 관절염이 있어도 운동을 해야한다.

    무릎이나 엉덩 관절에 염증이 있는 사람들은 심장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관절염은 나이 들수록 걸리기 쉬운 퇴행성 질환이다. 60대 이상 여성 가운데 13%, 남성 중에는 10% 가량이 관절염으로 고통을 받는다. 그러나 아직 확실한...
    Date2019.07.23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11. 남자3명중 2명이 고혈압 무슨 운동해야하나?

    최근 고혈압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남자 3명 중 2명이 고혈압 유병자이거나 고혈압 전단계(2018년 질병관리본부)로 나타났다. ‘고혈압 대란’이 휘몰아치고 있다는 지적이 결코 과장된 표현이 아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30%가 넘...
    Date2019.07.18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