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B_IMG_1484180037786.jpg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온갖 다이어트 방법을 섭렵하고도 실패를 반복하는 이유다. 영양학자들은 다이어트 수칙을 아는 것과 실천력을 발휘하는 것은 전혀 다른 얘기라고 말한다. 영양학자들이 미국 건강지 프리벤션을 통해 매번 체중조절에 실패하는 사람들에게 건네고 싶은 조언을 밝혔다. 

◆ '진짜 바뀌고 싶은 거 맞아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변화를 원한다고 말한다. 몸매가 바뀌었으면 하고, 패션스타일과 활동반경도 달라지길 희망한다. 그런데 영양학자들은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봤을 때 진짜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개인 맞춤형 식단과 간식, 행동규칙 등에 대한 틀을 제시해도 아직 준비가 안 된 사람은 실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이어트 동기가 막연해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일 수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동기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 '본인에게 좀 더 솔직할 순 없나요?'= 영양학자나 헬스트레이너에게 매번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점심으론 샐러드를 먹었고요, 저녁도 규칙적으로 먹는 편인데 살이 안 빠지네요'와 같은 패턴이다. 이 같은 말에는 진실이 감춰져 있다. 사실 샐러드를 먹지 않았을 수도 있고, 샐러드를 먹긴 했지만 다른 고칼로리 음식과 같이 먹었거나 칼로리 높은 튀김과 드레싱이 들어간 샐러드를 먹었을 수도 있다. 다이어트 결과를 앞당기고 싶다면 창피해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자신의 상태를 솔직히 얘기해야 한다. 

◆ '체중감량은 다이어트의 한 조건에 불과해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정상적인 체중을 가진 사람들이다. 멀쩡한 체중을 갖고도 자신의 몸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체중과 신체성분 사이의 간극 때문이다. 체중은 표준에 속하지만 몸매가 불만족스럽다면 이런 사람들은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지 않아야 한다. 그보다는 근육 형성과 체지방 감량을 통한 신체성분 변화를 꾀해야 한다. 

◆ '체중관리를 1순위로 삼아야죠'= 체중관리가 필요한 사람의 상당수는 시간이 없다거나 피곤하다는 등의 이유로 다이어트를 미루기 일쑤다. 매일 해야 하는 업무를 팽개치고 다이어트를 하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휴식시간이나 허투루 쓰는 시간을 아껴서 관리에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이어트 일지를 기록한다면 관리가 한결 쉬워진다. 일지를 기록하지 않아도 잘 지킬 수 있을 것 같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원래의 나쁜 습관이 나올 확률이 높다.

◆ '보충제로 살을 뺄 순 없어요'= 다이어트를 할 때 체지방을 분해한다거나 식이섬유, 비타민 C 등을 제공하는 보충제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보충제는 보조적인 기능을 할뿐 실제 살이 빠지는데 기여하지는 않는다. 보충제를 먹으면서 관리를 대충하는 것보단 보충제를 먹지 않고 식습관과 운동습관에 좀 더 관심을 두는 편이 낫다.
​​​​​​​FB_IMG_1486128968361.jpg

◆ '체중관리는 원래 어려운 거예요'= 살을 빼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때론 육체적으로 녹초에 이르기도 하고, 감정적 혹은 심리적으로 매우 지칠 때도 있기 때문이다. 다이어트는 결코 편안하고 수월하게 갈 수 있는 길이 아니란 사실을 인지하고, 중간에 실수를 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코리아 메디컬 케어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4
    read more
  2. 쉬어도 피곤하다면 유산소가 도움이 될수 있다.

    근로자의 날 잠깐 꿀 같은 휴식을 가졌지만, 출근과 함께 또 다시 극심한 피로감을 느낀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 목과 허리까지 함께 아픈 사람들도 있다. 만성피로증후군은 직장인이 흔히 겪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오후만 되면 졸음이 쏟아지고...
    Date2019.05.02 Byflexmun Views577
    Read More
  3. 등산후 무릎 허리가 아픈 이유??

    등산하기 좋은 계절이다. 등산은 몸에 큰 이상이 없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 중 하나다. 등산을 통해 자연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산을 오르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극기 정신을 기를 수 있다. 등산은 걷기가 부족한 현대인에게 하체 강화와 ...
    Date2019.04.29 Byflexmun Views658
    Read More
  4. 직장암예방!! 운동으로 혈액성분을 바꿔라

    운동은 건강에 좋다. 심지어 암을 예방한다.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사람은 암에 걸릴 위험이 적어진다. 특히 대장암의 일종인 직장암이 그렇다. 왜 그런 걸까? 운동을 하면 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배변이 쉬워지지만, 그것만으로 암 예...
    Date2019.04.26 Byflexmun Views448
    Read More
  5. 주말에 몰아서 운동 사망률 낮아진다.

    건강을 위한 이상적인 운동 방법은 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좀처럼 시간을 내기 힘든 현실 상황에서 주말에 몰아치기로 운동을 해도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국립노화연구소 역학 연구팀은 40세 이상의 남녀 3400여명을 대상으...
    Date2019.04.19 Byflexmun Views439
    Read More
  6. 당뇨예방 위해서 근력운동을 해라

    당뇨병은 인슐린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핏속의 포도당이 높아진 질환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핏속의 포도당을 에너지로 바꾼다. 포도당이 많은 피는 끈적끈적해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을 발생시킨다. 이런 ...
    Date2019.04.18 Byflexmun Views555
    Read More
  7. 계단을 오르기가 장수에 좋은 이유

    건강하게 오래 사려면 근육의 힘을 키우는 운동에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운동 의학 클리닉인 ‘클리니멕스’ 연구팀은 41~85세 사이의 성인 3900여명을 대상으로 평균 6.5년간의 추적 조사 연구를 ...
    Date2019.04.15 Byflexmun Views443
    Read More
  8. 아이를 번쩍 들어올면 척추가 위험하다.

    벚꽃축제, 튤립축제, 진달래축제 등 봄의 시작을 알리는 다양한 봄꽃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본격적인 나들이 철이 시작된 것. 특히 아이들과 단란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가족 단위로 집을 나서는 나들이객들이 많다. 그런데 아이와 동행하는 어른들이라면 주...
    Date2019.04.15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9. 허리둘레가 5cm늘어날때마다 사망률은 10%이상 증가

    허리둘레가 5cm 늘어날 때마다 사망률은 1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건강에 대한 지표로 체질량지수를 많이 활용하는데, 허리둘레도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같은 체질량지수라 해도 허리둘레에 따라 건강의 위험도가 다르고, ...
    Date2019.04.10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10. 다이어트성공! 그럼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도 힘들지만 이후에도 요요현상을 극복하고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려면 더 힘이 들 수가 있다. 그런데 살을 뺀 뒤 몸매를 지키려면 운동이 비결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안슈츠 건강복지센터 연구팀은 80명의 성인을...
    Date2019.04.05 Byflexmun Views569
    Read More
  11. 10분만 빠르게 걸어도 관절염이 좋아진다.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발 등 하지에 관절염 통증이 있는 사람이 하루에 10분 이하로 빠르게 걷기를 하면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연구팀은 볼티모어, 피츠버그 등의 도시에 거주...
    Date2019.04.03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