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78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jpg

 

 

다리 꼬기, 쪼그려 앉기 등 일상에서 우리가 자주 하는 자세 중에는 건강에 해로운 것이 많다. 특히 현대인은 움직이는 시간보다는 앉거나 서 있는 등 한 가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세가 안 좋으면 척추나 골반 등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 경우에 따라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잘못된 자세가 유발하는 질병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를 알아보자.

 

잘못된 자세 쪼그려 앉기

1. 쪼그려 앉기

주부들은 흔히 쪼그려 앉아 집안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쪼그려 앉기는 척추나 무릎에 압박을 줘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불러온다. 장시간 압박을 받은 뼈나 인대가 붓게 되면 다리 쪽으로 내려가는 신경까지 누르면서 통증을 유발하고, 부기로 인해 척추관(척추 중앙으로 신경이 지나는 통로)을 좁아지게 만들면서 각종 퇴행성질환으로 이어진다. 보통 엉덩이뼈가 빠질 듯 아프거나 허벅지, 무릎 뒤, 종아리, 발목, 발바닥까지 저리고 쑤시는 증상이 나타난다.

 

쪼그려 앉기가 유발하는 대표 질환

척추관협착증
말 그대로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 신경을 압박해 허리뿐만 아니라 다리의 저림이나 통증 등 복합적인 증상
을 일으킨다. 5분만 걷거나 서 있어도 허리가 뻐근하고 저린 증상이 심해져 자꾸만 주저앉게 된다.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덜하고,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해진다.

무릎점액낭염 쪼그려 앉기는 척추뿐만 아니라 무릎에도 문제를 일으킨다. 쪼그려 앉기와 함께 무릎을 꿇고 걸레질하는 등의 습관이 있으면 무릎점액낭염이 생기기 쉽다. 무릎점액낭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얇은 막 주머니인 점액낭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인데, 점액낭은 무릎에 튀어나온 부위를 일컫는다. 무릎이 벌겋게 붓고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퇴행성관절염과 헷갈리기 쉬운데, 무릎 양쪽 염증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에 무릎관절 깊숙한 곳에서 느껴지는 퇴행성관절염과는 다르다.
자세 교정
쪼그려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면 무릎 등 하체로 몸무게의 약 9배에 달하는 하중이 전달된다. 따라서 되도록 쪼그려 앉아서 하는 작업을 삼가야 하는데, 보통 걸레질할 때 많이 하는 자세이기 때문에 막대걸레 등을 사용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손빨래할 때도 되도록 바닥보다는 세면대에서 하는 것이 좋다. 평소 무릎 관절을 단련해주는 것도 좋은데, 보통 이 부위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등이 도움이 된다.

 

잘못된 자세 양반다리와 팔자걸음

2. 양반다리와 팔자걸음

양반다리는 한쪽 다리가 위로 향하고, 반대쪽 다리는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골반이 비대칭적으로 굳어질 수 있다. 또한 골반이 옆으로 벌어지고, 무릎이 바깥으로 향하기 때문에 O자형 다리를 유발하기도 한다. 팔자걸음도 양반다리와 마찬가지로 골반을 벌어지게 하는 자세다. 팔자걸음으로 걸으면 엉덩이뼈가 바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양반다리와 팔자걸음이 유발하는 대표 질환

척추측만증 지속적으로 골반이 틀어지면, 바깥으로 향한 무릎이 굳어지면서 O자형 자리가 심해진다. O자형 다리가 전신의 불균형을 초래하면, 척추까지 좌우로 휘게 되면서 ‘척추측만증’을 유발한다. 척추는 정면에서 보면 일직선이고, 옆에서 보면 S자를 그리고 있다. 그런데 척추측만증의 경우에는 정면에서 본 척추가 옆으로 휘어 있거나 옆에서 본 S자가 굽어 있다. 보통 척추가 10도 정도 휘어지면 초기, 15도 이상이면 중증, 30~40도 이상이면 악성으로 본다. 요통이 주요 증상인데,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병을 키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휘어진 척추로 인해 폐가 압박을 받으면서, 폐활량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자세 교정
침대, 테이블, 의자 등에 앉는 자세로 생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걸을 때는 의도적으로 팔자걸음을 하지 않아야 하는데, 걸을 때 무릎부터 앞으로 내밀되 양쪽 무릎 사이에 책 한 권이 끼어있다고 생각하면서 무릎을 스치듯 걸으면 도움이 된다.
의자에 앉아서 일할 때나 걸을 때에 아랫배에 힘을 주고 복식호흡을 하면 자연적으로 허리가 곱게 펴질 수 있다. 골반 휘어짐이 있다면, 규칙적으로 골반교정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바닥에 앉아서 양 발바닥을 맞댄 자세로 앉은 후에 발 뒤꿈치를 최대한 몸쪽으로 끌어당긴다. 발을 잡은 상태로 숨을 들이쉬면서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숨을 내쉬면서 상체를 다시 들어 올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잘못된 자세 다리꼬기

3. 다리 꼬기 자세

다리를 꼬거나 뒷주머니에 지갑을 넣고 앉는 자세도 질병을 유발하는 나쁜 자세다. 골반과 근육이 비뚤어지면서 좌골신경(허리와 다리를 지나는 신경다발)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엉덩이부터 다리로 이어지는 부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다리 꼬기가 유발하는 대표 질환

이상근증후군 이상근은 골반 깊숙한 곳에 있는 조그만 근육이다. 엉덩이 뒤쪽에서 척추와 대퇴골에 걸쳐 분포하는 근육으로 엉덩이관절을 회전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다리 꼬는 습관은 이상근을 과도하게 경직시키면서 붓게 해 비대해지게 만든다. 이로 인해 이상근 밑으로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하면 허리디스크와 비슷한 통증이 나타나는 ‘이상근증후군’을 유발한다. 엉덩이 부위를 손으로 누를 때 통증이 느껴지며, 허리와 엉덩이에 뻐근함이 생긴다. 때때로 다리 저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허리디스크와 유사하지만, 발가락에 힘이 빠지거나 반사기능이 떨어지는 허리디스크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좌골신경통 좌골신경이 손상돼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휴식만으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통증이 4~6주 이상 계속되면 수술까지 필요할 수 있다. 통증은 아리거나 전기가 오듯 쩌릿한 느낌이 드는 특징이 있으며, 허벅지 바깥쪽이나 엉덩이로 이어진 후 종아리 바깥쪽과 뒤쪽까지 내려오는 양상을 보인다. 배변할 때나 무거운 것 들 때, 기침할 때 등 순간적으로 복부 압력이 증가하면 통증이 심해진다.
자세 교정
한 자세로 오랜 시간 앉아 있으면, 피로해지고 자세를 바꾸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다리 꼬기 자세는 이런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취하게 되는 자세다. 따라서 앉은 자세에서도 안정적이고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 밑에 발판을 놓고 발을 올려놓으면 도움이 된다. 책상과 의자를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고, 팔걸이를 이용해 무게를 팔로 분산시키는 것도 좋다.

 

잘못된 자세 전방 머리 자세

4. 전방 머리 자세 (거북목)

흔히 거북이처럼 머리를 길게 빼는 자세라 해 ‘거북목’ 자세라고 불리는 전방 머리 자세는 의자에 앉아 모니터 화면을 응시하거나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할 때 흔히 하는 자세다. 거북목 자세는 몸의 왼편에서 봤을 때 C자 곡선을 이뤄야 하는 목뼈를 지속적으로 앞쪽으로 빼면서 일자로 변하거나 거꾸로 된 C형으로 변형시킨다.

 

전방 머리 자세가 유발하는 대표 질환

거북목증후군 목뼈 형태가 변형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변형된 목뼈가 머리 주변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키면서 두통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목 주변에 있는 압통점(압력이 가해지거나 누르면 통증이 나타나는 지점)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만성적인 목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목을 뒤로 젖힐 때 아프거나 뻣뻣한 느낌이 들고, 어깨와 등이 굽거나 귀가 어깨보다 나와 있을 때 거북목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목디스크 거북목중후군일 때 자세를 교정하는 등 치료하지 않으면 목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다. 목디스크는 목 뒷부분 척추인 경추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탈출하거나 파열되면서 경추신경을 자극하는 질환이다. 목디스크일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탈출된 디스크가 단순 신경압박에서 척추 내 위치한 중추신경인 척수까지 압박해 마비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자세 교정
PC를 비롯해 전자기기 등을 사용할 때 목을 쭉 빼는 자세를 취하는 것을 삼간다. 가슴을 천장으로 향하게 하면 어깨가 자연히 펴지고 아래쪽 목뼈의 배열도 잡힌다. 거북목 증상으로 인해 긴장성 두통 등이 나타났다면, 턱을 당기는 ‘친인 자세’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친인 자세는 턱을 안쪽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다. 턱끝이 목을 누른다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이 자세는 거북목 자세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짧아진 목 뒤 근육을 늘림과 동시에 신체를 곧게 정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잘못된 자세 턱 괴는 자세

5. 턱 괴는 자세

턱을 괴면 어깨 부분의 근육은 이완되어 편안할 수 있으나 목에 가해지는 힘이 비대칭적으로 작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자세가 지속되면 목관절에 불균형으로 인한 비틀림 작용이 일어나고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턱 괴는 자세가 유발하는 대표 질환

턱관절장애 턱관절은 하악골(턱뼈)과 측두골(머리뼈) 사이에 위치해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양쪽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말하기, 삼키기, 씹기 등 복합적인 활동을 담당한다. 턱 괴는 자세는 이런 턱관절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턱관절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음식을 씹거나 하품 할 경우 양쪽 귀 옆의 아래턱뼈와 저작근육에 통증을 느끼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입을 열 때마다 턱 관절에서 딱딱거리는 관절 잡음이 들리기도 한다.

경추부 염좌 한쪽으로만 턱을 괴다보면, 전체적인 얼굴의 균형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무너지게 된다. 이는 얼굴 형태가 변형되는 안면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와 함께 목뼈까지 비틀어지는 ‘경추부염좌’를 일으키기도 한다. 턱을 괼 때,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추부 인대가 압박을 받으면서 심하게 휘거나 인대나 근육이 손상되면서 발생한다. 목 주위에 통증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에는 구토나 두통, 시력장애, 이명 등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자세 교정
무엇보다 턱을 괴는 등의 자세를 피해야 하는데, 습관이 굳어진 경우에는 턱관절장애 등이 생겨도 쉽게 고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때는 턱관절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가벼운 턱 운동을 자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하루 6회 정도 혀를 위 앞니 안쪽에 가볍게 대고, 혀가 이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까지 최대한 입을 벌려 6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6회 반복하는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0/2017071001076.html
 
 
1.jpg

 

{앵커:-다리를 꼬거나 등을 구부리는 것은 허리에 나쁜 대표적인 잘못된 자세입니다. 이렇게 오랜시간 취해온 잘못된 자세는 척추를 틀어지게 만들어 다양한 척추 질환을 불러오는데요. 건강365에서 관련 정보 만나보시죠.}

{리포트}
잘못된 자세는 몸의 균형을 깨뜨려 체형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여러 척추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오늘은 잘못된 자세와 척추질환에 대해 알아봅니다.
————
{최경보 척시원병원 대표 원장/ 동아대병원 의대, 영국 왕립외과학회 학사원, 미국 최소침습 척수수술 전문의, 대한 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척추질환 하면 퇴행성으로 나타나는 노인성질환이라고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요

현대사회를 생활하면서 젊은층에서도 척추질환 환자가 많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 IT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게임 등을 즐길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우리몸에 가해지는 부담감은 그만큼 더 높습니다.

평소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이 가장 큰 원인인데요.

이는 목과 허리 통증을 유발할수 있으며 대수롭지 않게 방치했다간 목, 허리디스크 와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허리가 아프다고 무조건 디스크는 아닙니다.

급성으로 나타나는 허리 통증은 근육이나 인대 쪽에 자극이나 긴장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

3.jpg

 

척추질환은 증상이 아주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약물치료, 물리치료, 근육강화운동등을 먼저 시행하게 됩니다.

이전에는 수술로만 해결이 가능했던 부분들도 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90% 정도는 비수술요법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며 척추전문병원에서 시행되는 대표 방법이 신경성형술입니다.

신경성형술은 꼬리뼈 구멍 부위에 부분 마취를 하고, 1mm 큭ㅣ의 특수관을 신경병증 부위에 삽입해 염증을 없애고 유착된 싱경을 박리시키고 신경압박 감소, 신경부종을 없애줍니다.

한번에 여러 부위, 고령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한 장점들을 지니고 있는 시술이기도 합니다.
———–
정상적인 신체는 어깨와 골반, 무릎이 좌우 평행을 이루지만 잘못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면 신체가 불균형해지는데요.

잘못된 자세로 비롯된 척추질환, 어떻게 해야 몸의 균형을 찾을 수 있을까요?
————
{최경보/ 척시원병원 대표 원장}

척추건강을 해치는 자세는 보통 출퇴근시간대 지하철이나 버스 앉아 있을때의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아 허리를 앞으로 쏠린채 고개를 과도하게 숙여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리를 꼬고 앉거나 의자에 기댄채 고개를 옆으로 돌려 잠을 자거나 등을 구부정하게 굽은 자세로 서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무의식적인 자세가 습관적, 반복적으로 지속되면 척추의 S자 곡선이 사라지고 일자목이 되는 등 척추건강을 해치는데 한몫을 하는 자세입니다.

건강한 척추를 위해선 상체를 똑바로 세우고 허리 엉덩이가 등받이에 닿도록 하며 중간중간 에 몸을 풀어주는 기지개 등 스트레칭등으로 경직된 척추근육들을 풀어주는게 중요합니다.
—————-
오랜 시간 일하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죠.

하지만 잘못된 자세가 허리 질환을 부른다는 사실 명심하셔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출처 http://www.knn.co.kr/28575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4
    read more
  2. 쉬어도 피곤하다면 유산소가 도움이 될수 있다.

    근로자의 날 잠깐 꿀 같은 휴식을 가졌지만, 출근과 함께 또 다시 극심한 피로감을 느낀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 목과 허리까지 함께 아픈 사람들도 있다. 만성피로증후군은 직장인이 흔히 겪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오후만 되면 졸음이 쏟아지고...
    Date2019.05.02 Byflexmun Views577
    Read More
  3. 등산후 무릎 허리가 아픈 이유??

    등산하기 좋은 계절이다. 등산은 몸에 큰 이상이 없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 중 하나다. 등산을 통해 자연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산을 오르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극기 정신을 기를 수 있다. 등산은 걷기가 부족한 현대인에게 하체 강화와 ...
    Date2019.04.29 Byflexmun Views658
    Read More
  4. 직장암예방!! 운동으로 혈액성분을 바꿔라

    운동은 건강에 좋다. 심지어 암을 예방한다.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사람은 암에 걸릴 위험이 적어진다. 특히 대장암의 일종인 직장암이 그렇다. 왜 그런 걸까? 운동을 하면 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배변이 쉬워지지만, 그것만으로 암 예...
    Date2019.04.26 Byflexmun Views448
    Read More
  5. 주말에 몰아서 운동 사망률 낮아진다.

    건강을 위한 이상적인 운동 방법은 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좀처럼 시간을 내기 힘든 현실 상황에서 주말에 몰아치기로 운동을 해도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국립노화연구소 역학 연구팀은 40세 이상의 남녀 3400여명을 대상으...
    Date2019.04.19 Byflexmun Views439
    Read More
  6. 당뇨예방 위해서 근력운동을 해라

    당뇨병은 인슐린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핏속의 포도당이 높아진 질환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핏속의 포도당을 에너지로 바꾼다. 포도당이 많은 피는 끈적끈적해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을 발생시킨다. 이런 ...
    Date2019.04.18 Byflexmun Views555
    Read More
  7. 계단을 오르기가 장수에 좋은 이유

    건강하게 오래 사려면 근육의 힘을 키우는 운동에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운동 의학 클리닉인 ‘클리니멕스’ 연구팀은 41~85세 사이의 성인 3900여명을 대상으로 평균 6.5년간의 추적 조사 연구를 ...
    Date2019.04.15 Byflexmun Views443
    Read More
  8. 아이를 번쩍 들어올면 척추가 위험하다.

    벚꽃축제, 튤립축제, 진달래축제 등 봄의 시작을 알리는 다양한 봄꽃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본격적인 나들이 철이 시작된 것. 특히 아이들과 단란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가족 단위로 집을 나서는 나들이객들이 많다. 그런데 아이와 동행하는 어른들이라면 주...
    Date2019.04.15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9. 허리둘레가 5cm늘어날때마다 사망률은 10%이상 증가

    허리둘레가 5cm 늘어날 때마다 사망률은 1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건강에 대한 지표로 체질량지수를 많이 활용하는데, 허리둘레도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같은 체질량지수라 해도 허리둘레에 따라 건강의 위험도가 다르고, ...
    Date2019.04.10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10. 다이어트성공! 그럼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도 힘들지만 이후에도 요요현상을 극복하고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려면 더 힘이 들 수가 있다. 그런데 살을 뺀 뒤 몸매를 지키려면 운동이 비결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안슈츠 건강복지센터 연구팀은 80명의 성인을...
    Date2019.04.05 Byflexmun Views569
    Read More
  11. 10분만 빠르게 걸어도 관절염이 좋아진다.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발 등 하지에 관절염 통증이 있는 사람이 하루에 10분 이하로 빠르게 걷기를 하면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연구팀은 볼티모어, 피츠버그 등의 도시에 거주...
    Date2019.04.03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