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지방은 그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피하지방은 피부 밑 지방을, 내장지방은 몸속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을 말한다.
보통 내장지방이 많이 쌓인 내장비만을 복부비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복부비만 진단은 허리둘레를 재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한국인의 경우 남자 90㎝(35.4인치), 여자 85㎝(33.5인치) 이상을 복부진단으로 진단한다.
이에 비해 하체비만은 복부가 아닌 엉덩이, 허벅지, 다리 등 하체에 지방이 축척된 상태를 말한다.
그런데 이런 비만 중에서도 복부비만이 하체비만보다 건강에 훨씬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복부비만은 면역체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등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체비만은 건강에 이로운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심혈관과학센터 연구팀은 쥐에게 4주간 고지방 식단을 먹이고 비만이 되는 상황을 관찰했다.
그 결과, 지방 속에 ‘11BetaHSD1’이라는 단백질 수치가 높으면 배 주변에 건강에 좋지 않은 지방이 쌓여 뱃살이 나오면서 복부비만이 되고, 이 단백질 수치가 낮으면 엉덩이 주위에 건강에 무방한 지방이 쌓여 하체비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는 지방은 면역체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고 몸 전체 조직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강에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이 단백질이 많은 지방조직은 오히려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키며 이것이 복부비만을 더 위험하게 만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하체에 축적된 지방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HDL)의 수치를 높여주고,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줄인다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팀은 “지방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다”며 “엉덩이 주변의 지방은 당뇨병 위험을 낮춰주며 허벅지 주변에 축적된 지방은 염증성 지방을 없애는 완충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출처 코리아 메디컬 케어
2017.08.11 12:32
뱃살은 빼더라도 허벅지 살은 나둬라
조회 수 605 댓글 0
-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
쉬어도 피곤하다면 유산소가 도움이 될수 있다.
근로자의 날 잠깐 꿀 같은 휴식을 가졌지만, 출근과 함께 또 다시 극심한 피로감을 느낀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 목과 허리까지 함께 아픈 사람들도 있다. 만성피로증후군은 직장인이 흔히 겪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오후만 되면 졸음이 쏟아지고... -
등산후 무릎 허리가 아픈 이유??
등산하기 좋은 계절이다. 등산은 몸에 큰 이상이 없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 중 하나다. 등산을 통해 자연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산을 오르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극기 정신을 기를 수 있다. 등산은 걷기가 부족한 현대인에게 하체 강화와 ... -
직장암예방!! 운동으로 혈액성분을 바꿔라
운동은 건강에 좋다. 심지어 암을 예방한다.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사람은 암에 걸릴 위험이 적어진다. 특히 대장암의 일종인 직장암이 그렇다. 왜 그런 걸까? 운동을 하면 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배변이 쉬워지지만, 그것만으로 암 예... -
주말에 몰아서 운동 사망률 낮아진다.
건강을 위한 이상적인 운동 방법은 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좀처럼 시간을 내기 힘든 현실 상황에서 주말에 몰아치기로 운동을 해도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국립노화연구소 역학 연구팀은 40세 이상의 남녀 3400여명을 대상으... -
당뇨예방 위해서 근력운동을 해라
당뇨병은 인슐린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핏속의 포도당이 높아진 질환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핏속의 포도당을 에너지로 바꾼다. 포도당이 많은 피는 끈적끈적해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을 발생시킨다. 이런 ... -
계단을 오르기가 장수에 좋은 이유
건강하게 오래 사려면 근육의 힘을 키우는 운동에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운동 의학 클리닉인 ‘클리니멕스’ 연구팀은 41~85세 사이의 성인 3900여명을 대상으로 평균 6.5년간의 추적 조사 연구를 ... -
아이를 번쩍 들어올면 척추가 위험하다.
벚꽃축제, 튤립축제, 진달래축제 등 봄의 시작을 알리는 다양한 봄꽃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본격적인 나들이 철이 시작된 것. 특히 아이들과 단란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가족 단위로 집을 나서는 나들이객들이 많다. 그런데 아이와 동행하는 어른들이라면 주... -
허리둘레가 5cm늘어날때마다 사망률은 10%이상 증가
허리둘레가 5cm 늘어날 때마다 사망률은 1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건강에 대한 지표로 체질량지수를 많이 활용하는데, 허리둘레도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같은 체질량지수라 해도 허리둘레에 따라 건강의 위험도가 다르고, ... -
다이어트성공! 그럼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도 힘들지만 이후에도 요요현상을 극복하고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려면 더 힘이 들 수가 있다. 그런데 살을 뺀 뒤 몸매를 지키려면 운동이 비결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안슈츠 건강복지센터 연구팀은 80명의 성인을... -
10분만 빠르게 걸어도 관절염이 좋아진다.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발 등 하지에 관절염 통증이 있는 사람이 하루에 10분 이하로 빠르게 걷기를 하면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연구팀은 볼티모어, 피츠버그 등의 도시에 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