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지방은 그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피하지방은 피부 밑 지방을, 내장지방은 몸속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을 말한다.
보통 내장지방이 많이 쌓인 내장비만을 복부비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복부비만 진단은 허리둘레를 재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한국인의 경우 남자 90㎝(35.4인치), 여자 85㎝(33.5인치) 이상을 복부진단으로 진단한다.
이에 비해 하체비만은 복부가 아닌 엉덩이, 허벅지, 다리 등 하체에 지방이 축척된 상태를 말한다.
그런데 이런 비만 중에서도 복부비만이 하체비만보다 건강에 훨씬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복부비만은 면역체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등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체비만은 건강에 이로운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심혈관과학센터 연구팀은 쥐에게 4주간 고지방 식단을 먹이고 비만이 되는 상황을 관찰했다.
그 결과, 지방 속에 ‘11BetaHSD1’이라는 단백질 수치가 높으면 배 주변에 건강에 좋지 않은 지방이 쌓여 뱃살이 나오면서 복부비만이 되고, 이 단백질 수치가 낮으면 엉덩이 주위에 건강에 무방한 지방이 쌓여 하체비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는 지방은 면역체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고 몸 전체 조직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강에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이 단백질이 많은 지방조직은 오히려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키며 이것이 복부비만을 더 위험하게 만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하체에 축적된 지방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좋은 콜레스테롤(HDL)의 수치를 높여주고,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줄인다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팀은 “지방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다”며 “엉덩이 주변의 지방은 당뇨병 위험을 낮춰주며 허벅지 주변에 축적된 지방은 염증성 지방을 없애는 완충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출처 코리아 메디컬 케어
2017.08.11 12:32
뱃살은 빼더라도 허벅지 살은 나둬라
조회 수 602 댓글 0
-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
오다리 관절염이 일찍온다.
다리가 O자 모양으로 휜 사람들이 있다. 흔히 오다리라고 부르는데 의학적인 용어로는 '내반슬(內反膝)'이라 한다. 똑바로 섰을 때 양 무릎 사이가 5cm 이상 벌어진 경우에 내반슬로 진단하다. 이는 외관적으로 다리 모양이 휜 것뿐만 아니라 관절 질환을 일... -
어깨 통증 완화 운동
어깨의 통증을 느끼고 어깨관절에 더 관심을 갖는건 지극히 당연합니다. 하지만 어깨를 관절와상완관절로 제한하면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왜냐면 견흉관절, 흉쇄관절,견쇄관절까지 관절이 세 개 더 있기 때문이죠. 상완골은 쇄골과 견갑골에 의해 매달... -
운동을 싫어하는 유전자가 있다???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사람들이 있다. 반대로 운동을 고통스럽게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최근 연구를 보면 유전자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운동을 좋아하도록 만드는 유전자와 싫어하도록 만드는 유전자가 있을 가능성... -
걷기가 정신건강도 지켜준다.
걷기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루에 몇 분만 걸어도 기분이 긍정적 방향으로 크게 좋아진다는 것이다.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심리학자들은 "걷기라는 신체적 활동은 행복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이는 음... -
십자인대 손상 재활운동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인해 수술을 기다리는 시기나 수술 후 초기에는 근력을 키우는 개념이 아니라 움직임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근력을 키우기 위해는 몇 개월 동안의 시간이 필요하며 초기에는 오히려 금기해야할 사항이다. 손상이나 수술 후 막연한 ... - Read More
-
운동간 호흡법
[운동 중 호흡법] 평소처럼 숨 쉬면 심장 등에 무리 마라톤, 들숨·날숨 각각 두 번씩 운동할 때에는 평소와 호흡법을 달리 해야 한다. 운동 중에는 근육이 수축·이완을 반복하고 산소가 많이 필요해지는 등 몸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한국스포츠개발원 송... -
근력운동이 암을 예방한다.
규칙적으로 근력운동을 하는 남성들은 암으로 숨질 확률이 4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팀은 1980년대부터 23년 간 남성 8677명의 생활방식을 조사하고 근육강도 테스트를 포함한 정기적 검진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또 ... -
뱃살은 빼더라도 허벅지 살은 나둬라
신체 지방은 그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피하지방은 피부 밑 지방을, 내장지방은 몸속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을 말한다. 보통 내장지방이 많이 쌓인 내장비만을 복부비만과 같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 -
잘못된 자세가 병을 키운다.
다리 꼬기, 쪼그려 앉기 등 일상에서 우리가 자주 하는 자세 중에는 건강에 해로운 것이 많다. 특히 현대인은 움직이는 시간보다는 앉거나 서 있는 등 한 가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세가 안 좋으면 척추나 골반 등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