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7.09.08 00:02

스티프 데드리프트

조회 수 11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jpg

 

 

KakaoTalk_20160718_145022602.gif 

 

덤벨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는 하체 후면의 근육 발달에 가장 대표적인 운동으로 햄스트링과 함께 둔근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운동법이다. 스쿼트가 하체 전체 운동이라고 하지만 전통적으로 보디빌딩의 운동방식은 스쿼트로 대퇴사두에 집중적인 공략을 하기에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는 굿모닝 등과 함께 햄스트링/둔근 발달을 위해 시행되어져 왔다. 굿모닝에 비해 안정적으로 중량을룰 수 있고 집중도가 좋은 편이라 많은 사람들이 레그컬, 백익스텐션과 함께 사용하는 후면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데드리프트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루나미안 데드리프트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몬스터짐 스포츠 사이언스팀에서 제시하는 덤벨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 A TO Z 를 통해 이 운동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자.

 

 

크기변환_덤벨스티프레그데드-덤벨잡는자세 복사.jpg

바벨을 사용하지 않고 덤벨을 사용한 덤벨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는 바벨에 비해 가동이 자유롭고 중량을 조금 더 몸통에 가깝게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가 있어 허리에 오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 햄스트링/둔근에 더 효과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와 다르게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는 덤벨을 사용한 운동을 훈련 루틴에 주로 포함시킨다. 

 

덤벨을 잡는 자세는 다양한데 보통 사진 왼쪽처럼 바지 봉제선에 붙이거나 가운데처럼 대퇴사두근 앞에 가지런하게 위치시키는 경우가 많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이 두가지보다 덤벨을 45도로 잡아서 이 두가지 위치의 가운데에 위치하라고 제안하고 싶다. 그 이유는 바지 봉제선 옆에 둘 경우 올라온 위치에서 상체에 부담이 가장 적지만 내려갔을때 덤벨의 위치가 복숭아뼈 옆에 위치하게 되어 중량감이 이질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정확히 해부학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느낌 자체가 고관절이 뒤로 빠진 상태에서 중량이 앞쪽에 실려있어야 뒤에 긴장이 가해지는데 덤벨의 위치가 이를 감소시키는 느낌이다.

 

반대로 대퇴사두근 앞에 높으면 서 있는 상태에서 어깨가 앞으로 말리기 때문에 불편하며 내려갔을때는 발목 위치에 붙여서 고정시킬 수가 있어서 햄스트링이나 둔근에 자극감이 좋으나 덤벨이 서로 닿는 경우가 많아 가끔 중량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국 서있을 때도 부담이 없고 내려갔을때도 덤벨이 충돌하거나 중량감을 분산시키는 경우가 없게 하기 위해 45도 각도로 해서 발목 앞부분에 밀착시켜 준다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크기변환_덤벨스티프레그데드-발폭 복사.jpg

서는 발폭의 경우 어느게 꼭 맞다고 할 수는 없다. 개인의 유연성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 부분으로 개인적으로 유연성이 좋기 때문에 최대한 양발의 간격을 좁게 두는 것을 좋아한다(10cm 이내). 너무 붙이면 다리의 형태에 따라 발목에 부담이 갈 수 있으므로 발의 내측이 10cm정도 간격을 두고 운동하는 것을 가장 추천한다. 다만, 유연성이 떨어진다면 사진 오른쪽처럼 발 폭을 넓혀서 어깨 폭 정도로 두고 가동범위를 제한두어야 할 것이다. 우연성이 받쳐준다면 가벼운 중량에서는 스탠스를 좁혀서 최대한의 가동이 나올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덤벨스티프레그데드-움직이는 순서 복사.jpg

덤벨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의 동작 순서는 고관절의 단순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슬관절은 고관절의 가동범위가 제한될 때 움직이는 것이 맞으며 사진 왼쪽처럼 고관절과 슬관절이 같이 움직인다면 이미 햄스트링의 자극감은 감소하고 보다 큰 근육인 대퇴사두에 힘이 실리게 된다.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를 할 때에는 슬관절은 고정한채 고관절(엉덩관절)을 뒤쪽으로 수평이동시켜(수평이동이다,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다). 덤벨이 다리를 스치듯이 발목 윗부분을 목표로 내려준다. 

 

 

크기변환_덤벨스티프레그데드-내려간자세 복사.jpg

모든 중량 운동을 할때 강조하듯이 척추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사진 2번째처럼 척추중립을 유지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 좋으나 초보자의 경우 척추중립을 하기가 어렵다면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에 한해서면 사진 왼쪽처럼 아치를 만들도록한다(사진이 좀 이상하게 찍혔다, 일반적인 아치로 이해하면 좋겠다). 덤벨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 할 때 주의사항은 사진 우측의 2개처럼 허리가 새우등으로 말리거나(일부 선수들에게서 둔근에 집중하기 위해 저중량으로 해당방식으로 운동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초보자들이 따라해서는 안된다), 덤벨이 다리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중량에 대한 컨트롤이 안되는 조건이라면 무조건 덤벨이든 바벨이든 데드리프트를 할 때에는 다리를 스치듯이 내려간다(실제로 스치고 내려가야 한다. 초반에 연습할 때 무릎 많이 까졌다). 또한, 중량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전/후방 십자인대 부위에 부담이 가므로(다리를 쫙 펴고있으면), 자연스럽게 슬 관절을 굽혀 햄스트링과 둔근에 자극이 풀리지 않은 선에서 동작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슬관절을 굽힐 때, 주관절인 고관절을 뒤로 빼면서 자연스럽게 따라가는 것이지 슬관절로 주동을 넘겨버리면 안된다.

 

 

크기변환_덤벨스티프레그데드-내려간높이 복사.jpg

내려갈 때에는 사진 왼쪽처럼 등허리가 굽으면 안된다. 그래서 유연성이 적은 사람은 사진과 같이 등허리가 말리지 않는 선까지 동작한다(그정도만 내려가도 워낙 뻑뻑하기 때문에 충분한 자극이 올 것이다). 정말 저질적으로 유연성이 좋지 못하다면 스티프 레그데드리프트를 하기 전에 근막이완용 소도구인 폼롤러를 이용해서 후면부를 충분히 마사지하고 스트레칭을 한 후에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발 앞에 5kg짜리 원판을 양발발바닥 시작부(발가락과 발바닥이 연결되는 시작부)까지 올려놓고 실시한다면 적은 가동범위로도 더 많은 자극을 받을 수 있으니 해보도록 한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글 감수 : 오경모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법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법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 ‘정신이 없어...
    Date2019.06.12 Byflexmun Views491
    Read More
  3. 살을 빼면 인지능력이 다시 높아진다.

    살을 빼면 인지기능 다시 정상화 된다. 비만하거나 당뇨병에 걸리면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운동 등을 해서 비만을 개선하면 떨어졌던 인지능력이 다시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조지아 의과대학 연구팀은 동물과 인간을 ...
    Date2019.06.03 Byflexmun Views485
    Read More
  4. 살빼기위해 효과적인 운동법

    살을 빼기 위해서 무조건 뛰는 것보다 효과적인 방법 살을 빼려면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운동을 하면 칼로리가 많이 소모돼 체중을 빨리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트레드밀이나 실내 자전거 등 유산소운동 기구들은 운동을 하면서 태우는 칼로리를 보...
    Date2019.05.28 Byflexmun Views522
    Read More
  5. 살을 뺄려면 체중계 부터 사라

    살을빼기 위해서는 체중계부터 사라 몸무게가 늘어날까 걱정된다면 체중계부터 사는 게 좋을 것 같다. 매일 몸무게를 재는 사람은 과음과 폭식이 이어지기 마련인 연말 연휴 기간에도 체중 증가를 예방할 수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아 대학교 ...
    Date2019.05.27 Byflexmun Views415
    Read More
  6. 뇌건강에 가장 좋은 운동

    달리기 같은 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이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와 마이애미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876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5년 간격으로 뇌 스캔과 기억력 및 사고력 테스트를 실시해 그 결과를 비...
    Date2019.05.22 Byflexmun Views441
    Read More
  7.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을 들어 보셨나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을 들어 보셨나요? 국내 연구진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새로이 발견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은 넙다리 뼈 위쪽의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막혀 뼈 조직이 죽는 병을 말한다. 가톨릭대학교 은평...
    Date2019.05.21 Byflexmun Views530
    Read More
  8. 체중에 상관없이 빠르게 걸으면 오래 산다.

    체중에 상관없이 빠르게 걸으면 오래 산다. 보행 속도가 빠른 사람들은 저체중, 비만 등 체중 상태와 상관없이 오래 산다고 밝혀졌다. 레스터대학교 연구진은 영국 성인 약 47만 명을 대상으로 평소 걷는 속도와 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등을 측정한 후 ...
    Date2019.05.17 Byflexmun Views454
    Read More
  9. 중노년 건강 근육이 지킨다.

    건강을 위해 걷기를 하는 사람이 많다. 걷기는 부상 위험 없이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하지만 뭔가 부족하다. 바로 근력 운동이다. 근육을 키우고 보존하는 운동 없이는 건강을 지킬 수 없다. 근육은 몸의 동작과 자세 유지 뿐 아니라 심장 등 여러 장...
    Date2019.05.09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10. 운동하면 폐암 77% 대장암 89% 사망 위험이 감소한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폐암 발병 위험이 77% 낮아지고,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8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교 종양학과 연구팀은 평균 나이 54세의 미국인 4만9143명을 대상으로 운동이 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
    Date2019.05.07 Byflexmun Views578
    Read More
  11. 뼈건강 적신호 3가지

    골조소증, 뼈엉성증으로도 불리는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숭숭숭’ 있는 병을 말한다. 이런 골다공증은 노인 질환으로 인식돼 젊은 사람들의 관심 밖 문제가 되곤 한다. 하지만 뼈 건강은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척추, 엉덩이, 팔 등에서 일어...
    Date2019.05.06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