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4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이어트시 단백질섭취 얼마나?

단백질 많이 먹어도 살이 안쪄?

단백질위주의 식사 왜 배고픈가? 

stock-photo-set-of-amino-acids-aakg-alc-bcaa-cla-coq-gaba-dgl-hmb-mct-msm-same-dmg-paba-d-652740199.jpg

단백질은 신체의 구성분, 호르몬,효소,면역물질의 원료이자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근육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단백질이 근육을 구성하지만 많은 단백질이 있다고 해서 더 많은 근육을 만드는 것은 아니며 우리몸에서

단백질이 부족할 상황은 그리 많지 않다.

결국 체중1kg당 2g의 초과 단백질 섭취는 필요치 않으며 특정상황이 아니면 평균 체중1kg당 1.2g~1.4g정도면 적정하다. 


단백질은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찐다는 이유를 살펴보면 

그것은 단백질이 다른 영양소에 비해 소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기때문이다.


평균적으로 지방은 1%정도, 탄수화물은 7%정도,그리고 단백질은 22%정도가 소화에너지로 사용된다.

즉, 단백질은 소화에너지로 소비하는 에너지가 높아 에너지 흡수가 적게 된다.


다이어트시 단백질위주의 식사나 단백질 섭취량을 늘려도 흡수되는 열량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다.

분명히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에 비해 소화흡수효율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당신생에 대한 효율도 떨어진다.

stock-photo-amino-acid-word-cloud-concept-516346330.jpg

단백질위주의 식사를 하면 우리 몸에 필요한 포도당을 우선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다른 영양소들이 동원된다.

이때 단백질도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포도당으로 변화되는데 이때 단백질은 그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먹는 양보다 에너지 생산량도 적고 흡수량 자체도 적다. 즉,살이 찔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만약 과도한 단백질 섭취로 체중이 빠지지 않을때 단백질 섭취량도 줄여야 한다.


몸에서 필요한 양 이외에 단백질 들이 당신생에 동원되기 때문에 당연히 단백질 섭취도 

최소수준까지 줄여야 다이어트가 된다. 

다이어트시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하면 왜 배가 고픈가?


대부분의 단백질 식품은 위액의 분비를 자극한다.

단백질섭취시 소화효소를 분비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위액 분비에 따라 쉽게 배고픔을 느끼게 되고

이럴경우 다이어트를 힘들게 하는 요인이 된다.


탄수화물이나 지방을 먹는 것에 비해 포만감 유지가 힘들어 먹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는 이유이다. 

근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섭취해야 하는 단백질 권장 섭취량은 1kg당 남자 1.4g~2.4g, 여자 1.2g~2.0g 이다.


다이어트를 하면 열량 섭취가 감소하다보니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동원될 가능이 크다.

그래서 열량 섭취가 감소함에 따라 1kg당 남자 2.4g, 여자 2.0까지 늘려주는것이 좋다. 


그 이상의 단백질 섭취도 단기간에는 크게 문제가 없겠지만 영양학적으로 이정도(남2.4g, 여2.0g) 단백질 섭취량을 유지하면서 탄수화물과 필수지방산을 섭취하는게 좋다.


탄수화물을 적당히 먹어야 단백질이 단백질로서 기능을 할 수 있고 필수지방산을 먹어야

단백질이 올바로 전달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불포화 지방은 필수지방산으로 체내 호르몬을 합성하여 근육형성과 체지방 연소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또한 비타민의 흡수를 돕고 관절의 윤활유, 내부 장기를 보호하며 피부 조직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기능도 있으니 적당량의 지방을 섭취하는게 좋다.

적절한 단백질 섭취를 하면서 전체적으로 열량 섭취를 감소시킨다면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글 : 미스터코리아 박기석 선수 


  1. 몸속 염증을 줄이는 식품

    음식 중에는 통증을 감소시키고 병을 치유하는 데 있어 약 못지않게 효과가 있는 것이 있다. ‘프리벤션닷컴’이 이런 힐링 푸드 6가지를 소개했다. 1. 요구르트 미국 국민 약 20%가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위 통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
    Date2017.10.31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2. 개한테 물렸을때 중요한 3가지

    개에 물렸을 때 알아야 할 3가지 – 홍혜걸 칼럼 개에 물려 사람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불행한 일입니다. 연일 언론에 보도되고 인터넷 공간을 통해 많은 격론이 오고가고 있습니다. 개를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 사이 갈등도 더욱 심각...
    Date2017.10.24 Byflexmun Views734
    Read More
  3. 식사를 줄였는데 왜 나만 안빠질까?

    <앵커> 늦은 시간에 야식 먹으면 다 살로 간다고 하죠? 그래서 야식 증후군이란 말까지 생겼습니다. 또 아침은 많이 먹고 저녁은 되도록 적게 먹는 것이 다이어트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게 다 얼마나 맞는 말일까요?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따...
    Date2017.10.20 Byflexmun Views299
    Read More
  4. 몸에 좋은 음식 과식하면 생기는 일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도 과잉 섭취하면 몸에 해롭다. 적당 섭취량을 지키라는 권고는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건강 식품으로 손꼽히는 음식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프리벤션닷컴'이 몸에 유익하지만 섭취량에는 좀 더...
    Date2017.10.20 Byflexmun Views416
    Read More
  5. 단백질 얼마나 먹어야 하나

    다이어트시 단백질섭취 얼마나? 단백질 많이 먹어도 살이 안쪄? 단백질위주의 식사 왜 배고픈가? 단백질은 신체의 구성분, 호르몬,효소,면역물질의 원료이자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근육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단백질이 근육을 구성하지만 많은 단백질이 있...
    Date2017.10.16 Byflexmun Views421
    Read More
  6. 바나나에 대한 모든것

    바나나는 중요한 상업용 과일이다. 바나나의 경작지는 열대 지방이지만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소비되는 과일 중 하나다. 농작물 수입이 제한되던 1970~1980년대에는 바나나 한송이당 가격이 당시 기준으로 1만원 정도로 굉장히 비싼 과일이었다. 선물용으로 ...
    Date2017.10.13 Byflexmun Views438
    Read More
  7. 5kg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이어트를 할 때 적정 체중감량 속도는 어느 정도일까. 보통 주 1㎏ 혹은 월 3~4㎏ 정도 빠지면 적당한 속도로 혹은 건강한 방식으로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는 평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지속적으로 감량할 수 있는가의 여부다....
    Date2017.09.22 Byflexmun Views552
    Read More
  8. 과식한 다음날

    과식한 다음날이면 찾아오는 찜찜하고 불편한 느낌. 무리한 식사와 더부룩한 속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 건강지 프리벤션에 따르면 과식한 다음날 하루 건강한 일정을 계획해 이를 착실히 수행하면 전날 범한 실책을 만회할 수 있다. ◆ 6~7시 사...
    Date2017.09.20 Byflexmun Views453
    Read More
  9. 주름살 관리

    주름을 늘리는 안좋은 습관 6가지 피부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관리하기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거창하게 관리하지 않고도 평소 생활습관 중 피부에 해가 되는 몇 가지 행동만 개선해도 피부 노화를 늦추는데 도움이 된다....
    Date2017.09.18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10. 지방 왜 안빠질까?

    뱃살을 빼기 위해 나름 노력하지만 잘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관련해 '셰이프닷컴'과 '멘스 저널'이 뱃살이 잘 안 빠지는 이유 7가지를 소개했다. 1. 스트레스가 많다 스트레스도 뱃살이 늘어나는 원인이다. 만성적인 불안감이나 ...
    Date2017.09.15 Byflexmun Views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