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7.10.20 06:54

골다공증 예방습관

조회 수 5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금연·금주, 근력 운동, 유제품 섭취로 뼛속까지 꽉 채워야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거리를 걷다보면 허리가 많이 굽은 노인을 종종 만나게 된다. 이런 증상의 원인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골다공증으로 인한 허리뼈 골절이다.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지고 그로 인해 쉽게 골절에 이르는 질환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골다공증 자체로는 증상이 거의 없고, 골절된 후에 알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그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세계 골다공증의 날(10월 20일)을 맞아 정호연 강동경희대병원 교수(내분비내과)의 도움말을 통해 골다공증에 대한 궁금증과 예방수칙을 알아보자. 

폐경 겪은 50~70대 여성환자가 대부분 차지=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진료코드:M80,M81,M82) 2012년 794,618명이었던 환자는 지난해 854,215명으로 8% 가까이 증가했다.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2016년 전체 골다공증환자 854,215명 중 여성이 800,401명으로 남성보다 15배 정도 많았다. 특히 골다공증은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폐경 이후 급증하는 양상이 보인다. 2016년 여성환자 중에서 △50대 20% △60대 35% △70대 31%로 폐경기 이후 환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부분 골절 후 발견되는 골다공증=골다공증은 그 자체만으로는 거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뼈가 부러져서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잘 부러지는 부위는 손목, 척추(허리뼈), 대퇴골(넓적다리뼈)이다. 통계 분석에 의하면 50세 성인이 평생 살아가는 동안에 이런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될 수 있는 확률은 여성에서 59.5%, 남성에서 23.8%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호르몬 감소하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골다공증은 크게 일차성과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 일차성 골다공증은 특별한 원인질환이 없는 경우로 폐경 후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폐경 후 골다공증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차성 골다공증은 특정한 질병이나 약제 등의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 골다공증이다.

건강한 뼈 유지를 위해서는 집을 재건축하듯 지속적으로 오래된 뼈를 새로운 뼈로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정량의 뼈가 파괴되면 다시 이 뼈를 보충하는 것인데, 파괴된 양보다 보충된 양이 적으면 뼈의 양이 점차 줄면서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뼈의 발달은 여러 호르몬의 영향을 받고, 그중 남성 및 여성 호르몬은 뼈 발육에 매우 중요하다. 남성·여성 호르몬이 우리가 섭취한 칼슘을 뼈로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의 급격한 증가는 바로 여성호르몬의 감소 때문으로 실제 폐경 후 첫 5~10년 동안 골밀도는 약 25~30% 가량 줄어들 수 있다.  
 


청소년기 ‘운동·영양’관리가 평생 뼈건강 결정=성인이 되는 동안 우리 몸의 뼈는 일정 시기가 되면 일생 중 가장 튼튼한 뼈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최대골량이라 한다. 주로 10~20대에 형성되며, 평생 뼈건강을 좌우하게 된다. 정호연 내분비내과 교수는 “최대골량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전적 성향이다.”라며 “하지만 청소년기의 걷기나 달리기와 같은 신체 활동과 칼슘과 비타민D 충분한 섭취가 최대골량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성인 골다공증 예방도 운동과 식이요법 중요=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생활양식의 변화가 중요하다. 우선 담배를 끊고 과도한 음주를 삼가는 것이 좋다. 체중이 실리거나 근력을 키우는 운동은 노화를 억제하고 체력과 균형감각을 증가시켜 추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적극 권유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환자에게 적당량의 칼슘이 필요하며 특히 노인에게는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하다. 칼슘과 비타민D를 보충하는 식품으로는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의 유제품이 과일이나 채소에 비해 효과적이다. 식이요법으로 충분한 양이 보충되지 않는 경우에는 칼슘 제제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골다공증 골절을 예방하는 치료제는 다양한 용법의 경구 혹은 주사 제제로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ip 이런 분 골다공증 조심하세요] 

- 성인이 된 후에 골절을 경험한 사람 

- 신장이 4cm 이상 감소된 사람 

- 일찍 폐경이 된 여성 

- 골다공증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 65세 이상의 여성이나 70세 이상의 남성 

 

출처 원문보기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1019000132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근육이 줄어든다... 근감소증

    최근 노령화로 인한 척추 주변 근육의 감소증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근육량의 절대적인 감소는 노인 무력감을 일으키며, 순차적인 심부근육의 약화는 허리를 펴기 힘들게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 약화된 근육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면 복부비만...
    Date2017.11.17 Byflexmun Views765
    Read More
  3. 척추 측만증 이것만은 알자

    척추에 발생하는 통증은 순간적인 고통이라고 생각해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척추 질환은 타 신경계통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순한 통증으로 생각하고 넘기다간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척추 통증은 척추 질환을 알리는 몸의 신호라고 할 수 있다. ...
    Date2017.11.16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4. 운동후 12시간 좋은 기분유지

    운동을 적절하게 하고 난 뒤 상쾌한 감정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12시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버몬트 대학교 연구팀은 18~25세의 건강한 남녀 48명을 두 팀으로 나눠 한 팀은 운동을 하지 않게 하고 다른 한 팀은 실내 자전거를 20분 동안 타...
    Date2017.11.1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5. 서울대 8년추적조사 유방암 재발방지법

    서울대병원, 환자 8년간 추적조사 결과 ​​​​​​​ 젊은 연령대에 유방암 진단을 받은 경우 체중이 증가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체중 증가는 암 재발 확률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젊은 유방암 환자는 체중관리에 더 주의해야 ...
    Date2017.11.02 Byflexmun Views507
    Read More
  6. 허리통증별 수면자세

    편안하고 충분한 수면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고 호르몬을 정상적으로 분비하게 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척추나 목 등 뼈가 아픈 사람들은 오래 누워있기 힘들어 잠을 설치기 마련이다. 질환에 따라 통증을 줄이고 수면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알...
    Date2017.11.01 Byflexmun Views1025
    Read More
  7. 남자보다 여자가 살이 안빠지는 이유

    여성은 남성보다 살을 빼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그럴까.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가 있다. 영국 애버딘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미국 미시간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식욕과 신체 활동 등을 조절하는 효소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살을 빼기 어...
    Date2017.10.27 Byflexmun Views596
    Read More
  8. 척추를 위한 올바른 자세

    취업준비생 김모(24·서울 종로구)씨는 지난해 허리 통증을 참다 못해 병원을 찾았다. 처음에는 진통제를 먹으며 견뎠지만 통증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자 통증이 다리까지 퍼졌다. X선 검사 결과 척추가 약간 휘어진 측만증이 발견됐다. 또 자...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9. 골다공증 예방습관

    -금연·금주, 근력 운동, 유제품 섭취로 뼛속까지 꽉 채워야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거리를 걷다보면 허리가 많이 굽은 노인을 종종 만나게 된다. 이런 증상의 원인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골다공증으로 인한 허리뼈 골절이다. 골다공증은 ...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50
    Read More
  10. 20대 관절염증가????

    #1. 주말마다 동호회에서 축구를 하는 대학생 박지환(25)씨는 경기 도중 무릎이 뒤틀리면서 주저앉았던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동네병원에서 X선을 찍어봤으나 뼈에 이상이 없다고 해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았다. 간혹 축구 경기 후 무릎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
    Date2017.10.20 Byflexmun Views621
    Read More
  11. 어깨 비대칭 원인 근육

    Date2017.10.18 Byflexmun Views10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