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4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취업준비생 김모(24·서울 종로구)씨는 지난해 허리 통증을 참다 못해 병원을 찾았다. 처음에는 진통제를 먹으며 견뎠지만 통증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자 통증이 다리까지 퍼졌다. X선 검사 결과 척추가 약간 휘어진 측만증이 발견됐다. 또 자기공명영상촬영(MRI)에서 척추뼈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하는 말랑말랑한 디스크가 삐져나와 있었다. 김씨는 취업 준비를 하느라 6개월째 하루 12시간 이상 앉아서 공부했다. 운동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러는 동안 체중이 5㎏ 증가했다. 

 

 

좋은 자세도 오래 안 움직이면 독
컴퓨터·스마트폰 안 쓸 수 없는 현실
체중 관리하며 즐기는 운동 꾸준히

조재환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운동하지 않고 체중이 늘면 배가 나오면서 허리가 굽어 자세가 더 불량해진다”며 “체중의 90% 이상이 허리에 실려 허리 통증이 심해진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김씨에게 신경주사를 처방해 급한 통증을 가라앉혔다. 그리고 김씨에게 “본인이 꾸준히 할 수 있는 좋아하는 운동을 하라”고 했다. 김씨는 하루에 30분씩 가볍게 달리기를 했다. 집에서는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뒤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허리 근력 강화 운동을 수시로 했다. 이렇게 생활한 지 3개월이 지나자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만큼 통증이 나아졌다. X선 검사에서도 휘어진 척추가 많이 회복됐다.
 
젊을 때 바른자세·운동으로 ‘기초공사’를
 
20, 30대에 목·허리 건강이 나빠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 30대 경추·척추 환자의 5년(2012~2016)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4.8%, 2.1%였다. 40, 50대는 같은 기간 평균 증가율이 각각 1.9%, 1.3%였다. 조 교수는 “스마트폰·컴퓨터가 생활화하면서 구부정한 자세가 습관화된 게 목뼈·척추에 부담을 주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예전엔 택시기사가 많이 앓은 직업병이었지만 요즘은 20, 30대 환자가 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대학원생 이선영(26·여·서울 마포구)씨는 목이 늘 뻐근할 뿐만 아니라 어깨가 결리고 두통에 시달린다. 이씨는 “똑바로 앉으려 해도 컴퓨터·스마트폰을 보다 보면 어느새 고개가 앞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이용택 강북삼성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목뼈 신경은 머리 위·아래로 연결돼 있다”며 “자세가 나빠 승모근(어깨와 목을 연결하는 삼각형의 근육)이 긴장하면 경추성 두통과 어깨 통증이 잘 생긴다”고 말했다.
 
정상적인 C자형 목뼈(왼쪽)와 거북목(일자목).

정상적인 C자형 목뼈(왼쪽)와 거북목(일자목).

다행히 20, 30대 환자는 40대 이상 환자에 비해 목뼈·허리뼈 변형이 상대적으로 경미한 경우가 많다. 환자가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회복하기가 훨씬 수월하다. 이용택 교수는 “20, 30대는 디스크·관절·근육·인대의 재생력이 좋다”며 “나쁜 자세 때문에 손상이 축적됐더라도 운동을 하고 자세를 교정하면 회복이 빠르다”고 말했다.
 
회사원 박모(34·여·서울 서대문구)씨는 10년째 만성 목 통증을 앓고 있다. 아침 9시부터 퇴근할 때까지 컴퓨터 앞에 앉아 업무를 본다. 그러다 왼쪽 어깨까지 통증이 퍼져 지난 4월 병원을 찾았다. X선 촬영 결과 일자목(거북목)이었고 목뼈에 디스크가 발견됐다. 약을 처방 받고 병원을 다니며 자세 교정을 받았다. 또 틈이 나면 일어나 앉아 있는 시간을 줄였다. 이렇게 2주를 했더니 목 통증이 많이 나아졌다. 이 교수는 “스마트폰·컴퓨터 화면을 오래 들여다보는 생활 환경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바른자세와 운동으로 기초공사를 튼튼히 다져 놔야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른자세

바른자세

 
컴퓨터 자판은 몸쪽으로 최대한 붙여야
 
전문가들은 목·허리 질병을 예방하거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50분 앉아 있었으면 10분은 일어나라고 말한다. 아무리 좋은 자세라 해도 같은 자세로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힘을 받는 뼈 주변의 근육·인대·관절이 굳어 통증이 생긴다.  
     
또 스트레칭 동작을 익힌다. 키를 잴 때처럼 벽에 등을 대고 선 뒤 엉덩이·어깨·뒤통수를 벽에 붙인다. 그다음 목을 좌우로 크게 움직여 준다. 앉은 상태에서 목만 뒤로 젖히는 자세는 단순히 목뼈만 움직이는 것이라 별 효과가 없다.
 
컴퓨터를 쓸 때 자판은 최대한 몸쪽으로 당겨 팔꿈치가 몸통 옆에 오게 한다. 모니터는 눈높이에 맞춘다. 스마트폰을 쓸 땐 눈높이 가까이 올려 고개를 내리지 않고 시선만 내려보면서 사용한다.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한다. 걷기·자전거타기·수영 등 유산소 운동이 좋다. 척추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하게 해 뼈를 단단하게 잡아 준다. 조재환 교수는 “자세 교정기 같은 제품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므로 여기에 의존해선 안 된다”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며 본인이 재미를 느끼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건강한 당신] 앉아서 50분 서서 10분, 목·허리 지키는 법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근육이 줄어든다... 근감소증

    최근 노령화로 인한 척추 주변 근육의 감소증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근육량의 절대적인 감소는 노인 무력감을 일으키며, 순차적인 심부근육의 약화는 허리를 펴기 힘들게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 약화된 근육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면 복부비만...
    Date2017.11.17 Byflexmun Views765
    Read More
  3. 척추 측만증 이것만은 알자

    척추에 발생하는 통증은 순간적인 고통이라고 생각해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척추 질환은 타 신경계통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순한 통증으로 생각하고 넘기다간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척추 통증은 척추 질환을 알리는 몸의 신호라고 할 수 있다. ...
    Date2017.11.16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4. 운동후 12시간 좋은 기분유지

    운동을 적절하게 하고 난 뒤 상쾌한 감정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12시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버몬트 대학교 연구팀은 18~25세의 건강한 남녀 48명을 두 팀으로 나눠 한 팀은 운동을 하지 않게 하고 다른 한 팀은 실내 자전거를 20분 동안 타...
    Date2017.11.1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5. 서울대 8년추적조사 유방암 재발방지법

    서울대병원, 환자 8년간 추적조사 결과 ​​​​​​​ 젊은 연령대에 유방암 진단을 받은 경우 체중이 증가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체중 증가는 암 재발 확률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젊은 유방암 환자는 체중관리에 더 주의해야 ...
    Date2017.11.02 Byflexmun Views507
    Read More
  6. 허리통증별 수면자세

    편안하고 충분한 수면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고 호르몬을 정상적으로 분비하게 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척추나 목 등 뼈가 아픈 사람들은 오래 누워있기 힘들어 잠을 설치기 마련이다. 질환에 따라 통증을 줄이고 수면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알...
    Date2017.11.01 Byflexmun Views1025
    Read More
  7. 남자보다 여자가 살이 안빠지는 이유

    여성은 남성보다 살을 빼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그럴까.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가 있다. 영국 애버딘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미국 미시간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식욕과 신체 활동 등을 조절하는 효소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살을 빼기 어...
    Date2017.10.27 Byflexmun Views596
    Read More
  8. 척추를 위한 올바른 자세

    취업준비생 김모(24·서울 종로구)씨는 지난해 허리 통증을 참다 못해 병원을 찾았다. 처음에는 진통제를 먹으며 견뎠지만 통증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자 통증이 다리까지 퍼졌다. X선 검사 결과 척추가 약간 휘어진 측만증이 발견됐다. 또 자...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9. 골다공증 예방습관

    -금연·금주, 근력 운동, 유제품 섭취로 뼛속까지 꽉 채워야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거리를 걷다보면 허리가 많이 굽은 노인을 종종 만나게 된다. 이런 증상의 원인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골다공증으로 인한 허리뼈 골절이다. 골다공증은 ...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50
    Read More
  10. 20대 관절염증가????

    #1. 주말마다 동호회에서 축구를 하는 대학생 박지환(25)씨는 경기 도중 무릎이 뒤틀리면서 주저앉았던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동네병원에서 X선을 찍어봤으나 뼈에 이상이 없다고 해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았다. 간혹 축구 경기 후 무릎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
    Date2017.10.20 Byflexmun Views621
    Read More
  11. 어깨 비대칭 원인 근육

    Date2017.10.18 Byflexmun Views10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