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7.11.01 12:34

허리통증별 수면자세

조회 수 10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tock-vector-correct-and-incorrect-curvature-of-the-spine-in-various-mattresses-orthopedic-mattress-and-pillow-517315387.jpg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192.jpg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255.jpg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282.jpg

편안하고 충분한 수면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고 호르몬을 정상적으로 분비하게 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척추나 목 등 뼈가 아픈 사람들은 오래 누워있기 힘들어 잠을 설치기 마련이다. 질환에 따라 통증을 줄이고 수면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알아본다.

허리디스크

허리디스크는 척추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추간판이 노화·손상돼 튀어나오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앉거나 상체를 굽히는 등 척추에 압력이 가해지면 통증이 심해진다. 따라서 허리디스크 환자는 똑바로 누운 채 무릎 아래에 베개를 두고 자는 게 좋다. 무릎이 허리보다 올라가면 척추가 S자가 돼 압력을 덜 받는다. 엎드리거나 옆으로 몸을 굽히는 자세는 금물이다.
목디스크

목디스크는 목뼈의 추간판이 탈출해 신경을 누르며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목디스크 환자는 자세보다 적절한 베개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베개를 벴을 때 목이 부드러운 곡선이 돼야 하는데, 6~8cm 높이가 적당하다. 너무 높으면 어깨 근육이 압박되고, 낮으면 목이 일자가 돼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또 베개의 목 부분이 머리 중앙 부분보다 살짝 높아야 누웠을 때 목이 부드럽게 곡선을 유지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을 앓는 사람은 옆으로 누워 다리 사이에 베개를 끼고 자는 게 좋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눌리고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허리를 펴면 신경 통로가 더 좁아져 통증이 심해진다. 따라서 천장을 보고 반듯이 눕기보단 옆으로 누워 허리를 구부리면 척추관이 넓어져 통증이 줄어든다.

강직성 척추염

강직성 척추염은 말 그대로 척추에 염증이 생겨 척추가 뻣뻣해지는 질환이다. 허리가 굳으며 몸이 앞으로 굽는 경우가 많다. 발병이 드문 희귀난치성 질환이지만 관리를 잘 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정도로 통증이 줄어들 수 있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딱딱한 침대에 몸을 일자로 누워야 한다. 반듯이 누워야 허리가 굽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통증도 줄어든다. 엎드린 자세도 도움이 되는데, 하루 15~30분 정도 엎드려 있으면 척추가 굽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346&aid=0000017723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근육이 줄어든다... 근감소증

    최근 노령화로 인한 척추 주변 근육의 감소증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근육량의 절대적인 감소는 노인 무력감을 일으키며, 순차적인 심부근육의 약화는 허리를 펴기 힘들게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 약화된 근육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면 복부비만...
    Date2017.11.17 Byflexmun Views765
    Read More
  3. 척추 측만증 이것만은 알자

    척추에 발생하는 통증은 순간적인 고통이라고 생각해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척추 질환은 타 신경계통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순한 통증으로 생각하고 넘기다간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척추 통증은 척추 질환을 알리는 몸의 신호라고 할 수 있다. ...
    Date2017.11.16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4. 운동후 12시간 좋은 기분유지

    운동을 적절하게 하고 난 뒤 상쾌한 감정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12시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버몬트 대학교 연구팀은 18~25세의 건강한 남녀 48명을 두 팀으로 나눠 한 팀은 운동을 하지 않게 하고 다른 한 팀은 실내 자전거를 20분 동안 타...
    Date2017.11.1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5. 서울대 8년추적조사 유방암 재발방지법

    서울대병원, 환자 8년간 추적조사 결과 ​​​​​​​ 젊은 연령대에 유방암 진단을 받은 경우 체중이 증가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체중 증가는 암 재발 확률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젊은 유방암 환자는 체중관리에 더 주의해야 ...
    Date2017.11.02 Byflexmun Views507
    Read More
  6. 허리통증별 수면자세

    편안하고 충분한 수면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고 호르몬을 정상적으로 분비하게 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척추나 목 등 뼈가 아픈 사람들은 오래 누워있기 힘들어 잠을 설치기 마련이다. 질환에 따라 통증을 줄이고 수면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알...
    Date2017.11.01 Byflexmun Views1025
    Read More
  7. 남자보다 여자가 살이 안빠지는 이유

    여성은 남성보다 살을 빼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그럴까.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가 있다. 영국 애버딘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미국 미시간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식욕과 신체 활동 등을 조절하는 효소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살을 빼기 어...
    Date2017.10.27 Byflexmun Views596
    Read More
  8. 척추를 위한 올바른 자세

    취업준비생 김모(24·서울 종로구)씨는 지난해 허리 통증을 참다 못해 병원을 찾았다. 처음에는 진통제를 먹으며 견뎠지만 통증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자 통증이 다리까지 퍼졌다. X선 검사 결과 척추가 약간 휘어진 측만증이 발견됐다. 또 자...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9. 골다공증 예방습관

    -금연·금주, 근력 운동, 유제품 섭취로 뼛속까지 꽉 채워야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거리를 걷다보면 허리가 많이 굽은 노인을 종종 만나게 된다. 이런 증상의 원인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골다공증으로 인한 허리뼈 골절이다. 골다공증은 ...
    Date2017.10.20 Byflexmun Views550
    Read More
  10. 20대 관절염증가????

    #1. 주말마다 동호회에서 축구를 하는 대학생 박지환(25)씨는 경기 도중 무릎이 뒤틀리면서 주저앉았던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동네병원에서 X선을 찍어봤으나 뼈에 이상이 없다고 해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았다. 간혹 축구 경기 후 무릎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
    Date2017.10.20 Byflexmun Views621
    Read More
  11. 어깨 비대칭 원인 근육

    Date2017.10.18 Byflexmun Views10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