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령화로 인한 척추 주변 근육의 감소증이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근육량의 절대적인 감소는 노인 무력감을 일으키며, 순차적인 심부근육의 약화는 허리를 펴기 힘들게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 약화된 근육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면 복부비만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이나 척추 협착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척추의 심부근육은 바르게 걸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육의 약화는 허리를 구부러지게 해 요부후만증이 생기며 디스크나 척추간 협착증의 발병률을 높이게 된다. 손문호 손정형외과 원장의 도움말로 근감소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뼈와 근육의 역할= 뼈와 근육은 우리의 몸을 지탱하는 것은 물론 움직일 때 중심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흔히 우리가 섭취하는 육류에도 부위가 나눠져 있듯이, 사람도 몸의 중심인 척추 뼈를 중심으로 심부(코어) 근육과 겉 근육으로 나눠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움직임이 적거나 앉아있는 경우에는 심부근육이 중심을 잡아주고, 걷거나 뛰는 경우에는 겉 근육을 사용해 움직임을 돕게 된다. 심부근육과 겉 근육은 밀도와 성상도가 다르기 때문에 피로도와 노화의 속도에 차이가 나게 된다.
근육은 신진대사로 생성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역할을 하지만 포도당이나 지방의 보관창고로도 이용되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섬유조직으로 연결로 돼 있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탄력성을 유지하고 뼈와 내부장기를 보호한다. 때문에 주 근육량의 감소는 골절의 위험성을 높이며 골다공증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무리한 사용이나 지속적인 이완상태가 반복되면 고무줄이 늘어나는 것처럼 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 근육의 노화가 진행되며 근육세포의 크기도 줄어들게 된다.
◇노화로 인한 근 감소증 = 모든 신체기관이 마찬가지이지만 근육은 25세를 정점으로 조금씩 노화가 진행된다. 근육세포도 신생과 소멸을 반복하다 30세가 넘으면서 매년 0.5% 정도로 조금씩 소실되고 40세가, 지나면서 매년 1%씩 감소하게 되는데 55세 이후 여성에서는 보다 급격하게 진행된다. 물론 건강관리와 영양관리 여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육 속의 단백질 감소는 무기력증이나 노인성 우울증의 중요한 원인이 되거나 다양한 감염성 질환의 노출 위험도를 높인다. 국소적인 근감소증은 주위관절에 과도한 압력을 받게 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척추에 생기면 노인들의 전신상태를 극도로 떨어뜨리게 된다.
◇근 감소증의 진단 및 치료= 근감소증의 경우 CT나 MRI를 통해 전반적인 근육량과 노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국소적인 경우는 근골격계 초음파를 통해 확인 및 치료가 가능하다. 전반적인 근감소증에 대한 치료는 영양상태 회복과 수액 공급을 통해 신진대사를 회복시켜 줘 자연회복을 도와주면 좋다. 국소적인 근감소증이 있는 경우에는 초음파기기를 이용한 근육 재생술을 시술하면 근육이 일정부분 회복될 수 있으며 체외충격파치료술을 이용해 재생을 도울 수 있다.
◇근감소증 예방= 노인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균형 잡힌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 동물성 단백질과 비타민D나 칼슘을 섭취하는 것이 근감소증 예방에 반드시 필요하다. 노인에게 발생하는 근감소증은 성장호르몬·남성호르몬 등의 감소, 체내 단백질 합성 능력의 감소, 근육의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단백질과 칼로리 흡수 능력의 약화 등 다양한 이유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노인성 근감소증이 의심된다면 근력운동, 동물성 단백질과 비타민D 등의 적절한 영양 섭취가 최선이다.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함께 아령 등 근력 운동이 필수적이다. 팔굽혀 펴기, 앉았다 일어나기 등 본인의 체중을 이용하는 운동 방법이나 탄력밴드 등 소도구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매일 수행할 것을 권장하는 유산소·심폐 운동과 비교했을 때 근력 운동은 격일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근감소증이 우려되는 노인은 권장 섭취량보다 많은 양이 필요하며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또한 비타민D 혈중 수치를 확인한 후 낮다면 비타민D 보충제를 먹거나 햇빛을 자주 쬐는 것이 근감소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박영문 기자
출처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82228
나이 들수록 신체는 전반적으로 노화하는데, 그중 눈에 띄게 달라지는 것이 있다. 바로 근육량이다. 근육량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하게 감소하고, 이를 '근감소증'이라 한다. 근감소증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근육량, 60대 30%, 80대 50% 소실돼
근육은 대개 30세 전후부터 줄기 시작해 60세 이상에서 약 30%, 80세 이상에서 약 50%가 사라진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2014년)에 따르면, 85세 이상 노인의 절반 이상(56%)이 앉기·걷기·식사하기 등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집안일 하기·교통수단 이용하기 등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은 간병인의 도움 없이 걷거나 식사하기도 어려운 상태였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실태의 주요 원인을 근육 감소로 본다.
근감소증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노화로 인해 근육세포가 주는 데다 활동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병원에 입원해 활동할 수 없는 노인의 경우 3일만 지나도 제지방(체중에서 지방을 뺀 것)의 10%가 준다. 제지방이 10% 줄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커진다. 제지방량이 30% 감소하면 힘이 없어 앉기 어렵고 폐렴을 겪을 수도 있다.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력이 떨어지면 3가지 이상의 신체 장애를 동반할 위험이 4배로 높아지고, 신체균형 장애도 2~3배로 늘어난다.
◇1kg당 1~1.2g 단백질 섭취 기억해야
근감소증을 예방하려면 근육을 이루는 단백질을 부족하지 않게 섭취해야 한다. 노인은 몸무게를 기준으로 1kg당 1~1.2g 정도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일반 성인의 1일 권장 단백질 섭취량은 몸무게를 기준으로 1kg 당 0.8g이다. 늦어도 20~30대부터 웨이트 트레이닝 등의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필수다. 근력 운동이 어렵다면 수영·실내 자전거 타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라도 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28/201707280224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