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릴 적엔 나잇살이 쪘다는 어른들의 말이 핑계인 줄로만 알았다. 조금만 덜 먹고, 조금만 더 움직이면 빠지는 게 살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약간만 관리에 소홀해도 삐죽 튀어나오는 옆구리가 만져질 때마다 어른들이 말한 나잇살을 실감하게 된다.

stock-photo-women-body-fat-belly-and-stretch-mark-306975536.jpg


나잇살은 유독 빼기 힘든 복부에 주로 생긴다. 이는 나잇살이 호르몬 변화로 생겨나기 때문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나잇살은 성호르몬 분비가 줄면서 붙기 시작한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는 내장지방을 억제하는 성질이 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성호르몬 분비량이 줄어 억제하는 작용이 사라지니 내장지방이 쌓이기 시작한다. 


나잇살을 조심해야 하는 건 두둑이 집히는 뱃살이 보기 싫기 때문만은 아니다. 몸의 근육량은 30세를 전후해 줄기 시작한다. 나잇살을 가만히 두면 노화의 작용으로 우리 몸이 형편없이 늙어갈 수 있다. 의도적으로 노력하지 않는 한 신체는 근육은 잃어버리고 불필요한 지방만 얻는다. 이렇게 되면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쉽게 살이 찌는 몸으로 변한다. 고지혈증, 당뇨, 지방간 같은 질병이 생길 가능성도 커진다.


근육이 줄어드니 기초대사량도 낮아진다. 남성의 경우 30대만 되어도 20대보다 근육량이 줄어들어 하루 기초대사량이 평균 50kcal 이상 차이 난다. 하루에 겨우 50kcal밖에 차이가 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이게 1년이 되면 1만8250kcal다. 지방이 1g당 9kcal라고 하니 30대가 되어도 20대와 똑같이 먹는다면 일 년에 지방만 2kg이 넘게 몸에 쌓이게 된다.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다. 


겨울엔 2~3kg 몸무게 늘어



'이제 나잇살을 빼보자'라고 다짐하려니 곧 겨울이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이 계절에는 보통 몸무게가 2~3kg 정도 늘어난다. 날씨가 추우니 열량이 높은 음식이 당기고, 낮이 짧아져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어 식욕은 더욱 오른다.


하지만 살을 빼려는 사람에게 겨울은 오히려 환영해야 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겨울은 잘만 이용하면 체중 감량을 위한 최적의 시기이다. 우리 몸의 베이지색 지방 덕분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엉덩이와 배에 쌓이는 지방은 백색지방이다. 착한 지방으로 잘 알려진 ‘갈색지방’이란 것도 있는데, 이 지방은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열로 소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갈색지방은 어린아이의 몸에는 충분하지만, 성인의 신체에선 찾아보기가 힘들다. 다만 우리에겐 베이지색 지방이 있다. 


베이지색 지방은 평소에는 백색지방과 똑같지만, 저온에 노출되거나 운동을 할 경우 갈색지방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겨울철에는 밖에 나가기만 해도 베이지색 지방이 활성화해 에너지를 평소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살을 뺀다고 야외에서 덜덜 떨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미련하게 추위에 후들거릴 필요 없이 따뜻한 실내에 들어와 운동해도 베이지색 지방은 에너지 소모 작용을 시작한다. 겨울철엔 이처럼 바깥에서도, 안에서도 살을 뺄 수 있는 여건이 잘 마련되어 있다. 

stock-photo-hands-measuring-waist-with-a-tape-fit-and-healthy-woman-on-white-background-523056832.jpg


그렇다면 실내에선 어떻게 운동을 할 것인가. 의욕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건 좋지만, 겨울철에 운동할 때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다. 가장 큰 요인은 온도다. 낮은 기온에 근육이 경직되는 증상이 생기는데, 이는 밤과 새벽에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무릎 등 관절의 이완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함부로 운동했다가는 뼈의 손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상처를 입을 수 있다. 그러니 새벽 운동은 되도록 자제하자. 겨울철엔 체온 유지를 위해 기본적인 에너지 소비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장시간 운동하는 것도 몸에 무리가 된다. 운동 시작 전, 아래의 겨울철 운동 수칙을 숙지하자. 


겨울철 운동 수칙


1) 새벽 운동보다 오후 운동

기온이 가장 낮은 새벽 온도에 신체가 노출되면 근육과 관절이 굳으며 혈압도 떨어져 심장마비,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 발병률이 높아진다. 우리 몸이 어느 정도 활동을 시작한 뒤인 오전 11시 ~ 오후 2시쯤에 운동하는 게 적절하다. 


2) 체온 유지를 위한 레이어드 옷차림

얇은 옷을 여러 벌 껴입으면 체온 유지에 효과적이다. 땀을 잘 흡수하는 면 소재의 옷을 입고, 모자·목도리 등으로 머리와 얼굴을 감싸는 게 좋다. 


3) 준비운동은 스트레칭보다 ‘걷기’ 먼저 

추운 날씨에 근육과 관절이 굳었을 때 준비운동은 필수적이다. 준비운동은 근육을 늘리는 스트레칭보다 20분 정도의 가벼운 걷기를 통해 몸에 열을 내주는 게 더 안전하다. 



4) 운동은 1시간 이내

겨울철 운동의 강도는 평소보다 20~30% 정도 낮춰 1시간 안에 끝낸다. 신체가 평소보다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무리하지 않는 게 건강에 좋다. 


5) 운동 후 철저한 마무리 

준비 운동과 마무리 운동을 각각 5~10분간 반드시 실행한다. 특히 허리와 허벅지 뒤쪽을 충분히 스트레칭해 근육이 뭉치는 걸 방지해야 한다.


위 수칙을 잘 숙지해 운동을 시작해 보자. 아래 영상에서는 실내에서도 할 수 있으며 조금만 해도 금세 땀 흘릴 수 있는 효율적인 운동법을 소개한다. 준비물도 간단하고 어렵지 않으니 집에서 꼭 따라 해 보자. 


현명하게 보내는 겨울은 나잇살과 멀어지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춥다고 움츠러들어 있지 말고, 추위를 이용해 건강과 젊음을 지켜내자. 

stock-photo-women-body-fat-belly-and-stretch-mark-306975536.jpgstock-photo-woman-with-a-body-lines-before-loose-weight-weight-loss-concept-511137829.jpg

겨울철 실내 운동


1. 쓰러스터

(1) 발을 골반 넓이로 넓혀준다.

(2) 500mL 물병을 양손에 쥐고 팔을 올린다.

(3) 스쿼트를 하며 무릎을 굽히면서 팔을 내리고, 일어나면서 팔을 머리 위로 올린다. 

(4) 15회씩 4세트 진행한다.


2. 슈퍼맨

(1) 팔을 쭉 펴고 편안하게 엎드린다.

(2) 상, 하체를 공중으로 띄운다.

(3) 팔을 몸쪽으로 당긴다.

(4) 팔은 빠르게 당기고 천천히 뻗는다.

(5) 10회씩 4세트 진행한다.



정수덕 눔코리아 총괄이사 sooduck@noom.com


원문보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25&aid=0002772514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해서 걷기와 근력운동이 중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다보니 운동부족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헬스장 출입을 자제하며 본격적인 운동을 쉬는 사람이 많다. 코로나19를 조심하다 비만 등 다른 병을 앓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
    Date2020.07.14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3. 걷기는 질보다 양이 중요하다.

    걷기로 운동 효과를 보려면 땀이 날 정도로 속보를 해야 한다는 게 지금까지 건강 상식이었다. 그런 속설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걸을 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양이라는 것. 미국 국립 암 연구소, 테네시 대학교 등 연구진은 40세 이상 미국인 4,840...
    Date2020.07.10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4. 운동으로 살을 빼면 인지능력이 다시 좋아진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살이 쪄서 비만한 상태가 되거나 당뇨병에 걸리면 인지능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운동을 해서 비만을 개선하면 나빠졌던 인지능력이 다시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조지아대학교 연구팀이 인간과 동물을 상대로 한 연구 결과...
    Date2020.07.03 Byflexmun Views411
    Read More
  5. 허벅지가 건강에 근원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운동부족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사람들이 모이는 헬스장 출입을 꺼리고 동네 걷기도 소홀히 하면 운동부족이 되기 쉽다.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않고 집에만 있다 보면 근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자연적으로 근육이 감...
    Date2020.07.02 Byflexmun Views528
    Read More
  6. 근육유지가 중요한 이유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있는 시간이 늘면서 몸의 근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사람이 있다. 활동량이 감소한데다 헬스클럽 출입을 자제하면서 근력운동 시간이 적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40대 이후는 자연적으로 근육이 줄어들기 때문에 중년, 노년은 근력 ...
    Date2020.06.30 Byflexmun Views432
    Read More
  7. 운동하면 400만명 조기사망 예방

    운동을 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거의 400만명의 조기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권장량의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168개국의 자료를 분석했다. 세계...
    Date2020.06.22 Byflexmun Views522
    Read More
  8. 코로나 기간에 얼마나 자주 운동해야하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이어지는 동안에도 운동은 지속해야 한다. 운동을 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르는 상황 속에서 얼마나 해야 하는 걸까?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공간 중 하나가 헬스시설인 만큼, 올해는 운동에 소홀해진 사람들이 많다. 헬스시설은 ...
    Date2020.06.18 Byflexmun Views457
    Read More
  9. 안좋은 식습관이 여대생 골밀도를 위협한다.

    밤에는 술 마시고, 점심은 라면, 간식은 과자. 누가 봐도 건강에 나쁜 식생활습관이다. 그런데 국내 여대생에게 이런 ‘문제적 식습관’이 두드러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가천대 교육학과에서 최근 경기 지역 여대생 326명을 대상으로 식생활습관을 ...
    Date2020.06.09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10. 손톱으로 보는 건강상태

    손톱은 각질화된 ‘죽은’ 세포이기 때문에 감각이 없고, 잘라내도 아프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단서가 된다. 손톱의 색깔과 질감 등을 통해 현재의 영양 상태부터 건강상 이상 징후까지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손...
    Date2020.05.28 Byflexmun Views489
    Read More
  11. 브라 안하면 가슴 처지나???

    브라의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여성들이 점점 늘고 있다. 따라서 캡을 넣은 러닝셔츠, 맨투맨 티셔츠 등의 인기도 날로 높아간다. 편하긴 한데, 정말 브라를 하지 않아도 괜찮은 걸까? 가슴이 처진다거나 하는 부작용은 없는 걸까? 미국 ‘헬스닷컴’...
    Date2020.05.24 Byflexmun Views10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