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9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건강 상태 따라 수면 자세 각기 달라

사람은 하루 7~8시간 잠을 잔다. 일생의 3분의 1 가까운 시간을 잠으로 보내는 만큼 이 시간이 편안해야 삶의 질이 높아진다. 

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282.jpg

각자의 컨디션에 맞는 수면 자세를 취해야 하는 이유다. 코를 고는 사람, 속이 쓰린 사람, 허리가 아픈 사람들에게 맞는 적절한 수면 자세가 있다. 오늘부터라도 자세를 교정해나간다면 수면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 


◆ 코를 곤다면...
= 코골이는 침대를 같이 공유하는 상대방에게만 괴로운 일이 아니다. 코를 고는 당사자도 괴롭다. 깊은 잠을 자기 어렵고 입으로 숨을 쉬는 과정에서 입안이 건조해지고 인후염이 오기도 한다. 

코골이는 목구멍과 혀 부위의 근육이 이완되거나 살이 쪘을 때 기도가 좁아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기류가 좁아진 통로로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진동이 소음을 일으킨다. 등을 바닥에 대고 똑바로 누운 자세는 중력의 영향으로 코골이를 더욱 심하게 만든다. 

코를 고는 사람은 반듯하게 누워 자는 것보다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코골이 완화에 도움이 된다. 턱과 혀가 뒤로 쏠리지 않아 호흡하기 한결 수월해진다. 
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192.jpg
◆ 허리가 아프다면...= 허리 통증에 시달리는 사람도 수면자세가 중요하다. 잠을 자는 동안 척추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자세는 반듯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다. 

베개를 잘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등을 바닥에 대고 잔다면 무릎 아래에 베개를 두는 것으로 척추의 자연스러운 곡선 유지를 돕고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옆으로 누워 잔다면 무릎 사이에 베개를 두어 골반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든다.

◆ 가슴이 크다면...= 등을 바닥에 댄 상태로 잘 때 가장 편안하게 잘 수 있다. 가슴이 거추장스럽게 느껴지지 않고 가슴 무게로 인해 등 통증이 생길 확률도 낮은 자세이기 때문이다. 옆으로 눕거나 배를 바닥에 대고 자는 사람이라면 베개를 몸에 바짝 밀착시켜 가슴을 받쳐주는 것이 좋다. 요통이 있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반듯하게 누웠을 땐 무릎 아래에 베개를 놓는다. 

◆ 목 통증이 있다면...= 전반적인 자세보다는 베개 높이에 신경 써야 한다. 목의 근육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피로하다는 느낌이 든다면 베개가 받쳐주는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너무 딱딱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물렁한 베개는 좋지 않다. 반듯하게 누웠을 때 턱이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쳐지지 않고 정면을 보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면 베개가 목 뒤를 잘 받쳐주고 있는 것이다. 베개는 머리보다 움푹 파인 목 부위가 높은 형태여야 목 부분을 잘 받쳐줄 수 있다. 
​​​​​​​stock-vector-orthopedic-pillows-for-a-comfortable-sleep-and-a-healthy-posture-best-and-worst-positions-for-594794255.jpg
◆ 속 쓰림이 있다면...= 위산이 역류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이라면 베개 높이가 약간 높아야 한다. 머리가 위쪽에 놓이면 중력에 의해 위산이 역류할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자세는 등을 대고 반듯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우면 되는데, 옆으로 누워 잘 땐 가급적 오른쪽이 아래로 가지 않도록 한다. 오른쪽이 아래로 가는 자세는 식도조임근을 이완시켜 위산이 더욱 잘 역류한다는 보고가 있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5771&type=HealthNews#backPopup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439
    read more
  2. 명절 스트레스 운동을 해결할 수 있다.

    명절처럼 짧은 기간 동안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다 보면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는다. 스트레스가 기억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운동이 스트레스로부터 기억을 보호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 ...
    Date2018.02.19 Byflexmun Views597
    Read More
  3. 발로 보는 건강체크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도 불린다. 우리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내 몸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발이 건강해야 우리 몸도 건강하다. 이와 관련해 ‘웹 엠디’가 발을 보면 알 수 있는 우리 몸의 건강 상태에 대해 소개했다. 1. 발이 너무 차다...
    Date2018.02.12 Byflexmun Views544
    Read More
  4. 어떻게 근육을 만들어야하나? 근성장에 관한 기본이론

    체육관, 헬스클럽에서 훈련을 따로 해왔던 사람들이라면 물론 지방을 없애려고도 하겠지만 근육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그리고 흘리는 땀만큼이나 기본적 이론 정립은 필요합니다. 근성장에 관한 기본적 이론 요약 이 글은 많은 사람들의...
    Date2018.02.08 Byflexmun Views1254
    Read More
  5. 나이별 어깨관리법

    연령대별 잦은 어깨통증…"스트레칭·근력 강화 필수"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 어깨 관절 주변의 근육이나 힘줄의 균형이 망가지면 통증이 찾아온다. 연령이 높으면 오십견과 같은 관절 염증이 생기기 쉽고, 젊은 층은 근육이나 힘줄 손상의 우려가 높다.일...
    Date2018.02.06 Byflexmun Views630
    Read More
  6. 근력운동이 유산소보다 암예방에 효과적이다.

    근력운동이 유산소운동보다 암에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이런 논란이 있다. 사람 건강에 달리기 같은 유산소운동(또는 심폐지구력운동)이 더 이로울까 아니면 근력운동이 더 이로울까? 이번에 발표된 시드니대학교의 연구가 결정적인 답을 제시할...
    Date2018.02.02 Byflexmun Views669
    Read More
  7. 통증에 시작 근막에 주목해라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이라는 뜻의 ‘근막’. 근막은 근육뿐만 아니라 뼈, 내장, 신경 등 신체의 다양한 조직을 감싸면서 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골격’이라고도 불린다. 근막은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몸의...
    Date2018.01.31 Byflexmun Views555
    Read More
  8. 당뇨를 예방 할려면 20분마다 움직이어야 한다

    업무 중에 의자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은 주위 사람에게 눈치가 보이는 일이다. 그러나 건강을 생각한다면 요령껏 20분마다 일어나 몸을 움직이는 게 좋을 것 같다.​​​​​​​ 호주 멜버른의 베이커 심장 및 당뇨병 연구소 연구팀은 규칙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걷는...
    Date2018.01.25 Byflexmun Views523
    Read More
  9. 제2의 심장 발 건강을 지키자

    사람은 일생동안 지구 4바퀴 반을 돈다고 할 정도로 발을 많이 사용한다. 발은 걸을 때 심장에서 보낸 혈액을 받아 다시 온몸으로 보내는 펌프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발 관리에 소...
    Date2018.01.22 Byflexmun Views575
    Read More
  10. 운동 중년에 시작해도 심장을 살린다.

    중년에 시작하는 운동도 의미가 있다. 비활동적인 사람도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면 심장 건강이 급격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자나 소파에서 보내는 시간이 긴 중년이 운동을 하면 장시간 앉아있을 때 일어나는 부정적인 효과들이 상쇄된다는 연구결...
    Date2018.01.16 Byflexmun Views552
    Read More
  11. 젊게 살고 싶은가?

    “올해 어느새 마흔이 되고, 둘째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요. 그런데 20대 때 에너지가 그대로라는 칭찬을 자주 들어요.” 미국 패션 브랜드 나우(NAU) 남윤주 마케팅팀장이 쑥스럽게 말했다. “루이뷔통 계열사 뵈브 클리코의 전 시이오(CEO)인 미레유 길리아노의 <...
    Date2018.01.12 Byflexmun Views5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06 Next
/ 106
위로